2010년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이 분출했을 때 에이야파틀 지역의 사진. 화산재로 구성된 구름이 하늘을 뒤덮고 있다. 이 사진은 한낮에 찍은 것이다.
1997년 7월 몬트세랫(Montserrat)의 전경. 수프리에르 화산이 분출하면서 화산재를 뒤집어쓴 잿빛 마을은 폐허가 되었다.
흰 화산재 모습. USGS 자료사진. 이런 게 공기 중에 휘날리면 건강에 좋을 리 없다. 오른쪽 작은 사진은 SEM으로 촬영한 화산재의 한 조각. 마그마 파쇄 작용 중 휘발성 물질에 의한 거품들이 잘 발달해있다.
1. 개요
화산 분출물의 한 종류로, 화산쇄설물의 한 분류이다. 정의상 화산쇄설물 중에서 크기가 모래 이하(2 mm 이하)인 것을 총칭한다. 폭발적인 화산 분출에 곧잘 수반되는 흔한 분출물이며, 폭발적인 분출에서 분출물 중 부피상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2. 형성 원리
마그마가 지하에서 형성되면 여러 작용을 거쳐 지표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지표 근처로 올라온 마그마는 필연적으로 온도와 압력의 감소를 수반한다. 이때 마그마는 처음 형성되었을 때보다 휘발성 물질(volatiles)[1]를 안정적으로 담아낼 수 없게 된다. 즉, 마그마의 포화기체압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휘발성 물질이 마그마에서 분리된다. 만약 휘발성 물질이 강한 기체압을 행사하게 되면 마그마는 파쇄(fragmentation)되며, 화산쇄설물을 만든다.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이라면 마그마 파쇄가 이뤄지기 힘들다.
- 마그마가 휘발성 물질을 충분히 담아낼 수 있어 가스 방출량이 적거나[2],
- 유체가 빠져나갈 경로가 확보되어 있거나[3],
- 압력이 매우 높은 곳[4]이라서 빠져나간 휘발물질이 기체가 아니라 초임계유체나 액상이라 주변 압력에 비해 강력한 기체압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
그러나 이에 해당하지 않고 기체압이 강력하면 마그마는 산산이 조각나버리며, 셀 수 없이 많은 규모의 분쇄물 덩어리와 기체의 혼합물로 변하게 된다. 이때 문자 그대로 내부에서 끓어오르는 기체의 압력에 찢겨져 가루가 되어버린 마그마가 바로 화산쇄설물이며, 그중에서 '가루' 즉, 2 mm 이하의 물질이 화산재가 되는 것이다.
3. 분출 및 퇴적
1994년 타르부르 화산의 분화로 하얗게 덮인 라바울 일대.
화산 활동이 시작되면, 하부의 압력이 상부를 밀어올리면서 화도 혹은 새롭게 열리는 균열을 따라 물질을 터뜨려 내보낸다. 이 압력에 밀려 다량의 화산재가 부석이나 화산탄과 함께 공기 중으로 분사되는데, 보통 온도가 600~1100도 정도의 다양한 범위를 갖는다. 대부분의 화산재를 동반한 폭발적인 분출[5]은 분연주를 이루게 된다. 분연주는 주로 화산 가스와 주변에서 섞여들어온 공기, 그리고 화산재가 섞여 있다. 분연주가 공기로 퍼져나가면서, 화산재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 흩뿌려져 퇴적되게 된다. 분연주의 규모가 크면, 화산재가 흩뿌려진다기보다는 퍼부어지지만...
화산재의 퇴적은 보통 비나 눈처럼 흩날려 퇴적되기 때문에, 지형을 피복한다. 대체로 일정한 두께로 퇴적되지만, 처음에는 단단하게 굳지 않고 얼기설기 내려앉은 형태라, 다시 움직이는 것[6]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특히 강수에 의해 재동될 경우, 라하르와 같은 2차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강한 바람에 의해 다시 흩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벼운 화산재는 얼마든지 멀리 갈 수 있어, 중위도나 적도에서 일어난 특정한 강력한 폭발이 남극과 같이 먼 대륙에 쌓이기도 한다.[7]화산쇄설물 중에서 2mm 이하의 물질을 총칭하는 것이므로, 화산쇄설성 밀도류 등에 의한 기작으로 퇴적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구분하여 위 방식으로 비교적 조용히 쌓인 퇴적물이나 퇴적층을 "화산재 강하 퇴적물(ash-fall deposit)"이라고 부른다.
4. 재해
▲ 2010년 인도네시아 메라피(Merapi) 화산이 분출할 때 자원자들에 의해 구출된 생존자들의 모습. 화산 분출물을 뒤집어 쓰고 화상[8]을 입었다. 당시 분출로 여러 차례 일어난 화산쇄설류가 마을을 덮쳤고 353명이 사망했다. 사진: BBC (이미지 출처)
화산재가 가장 강력하게 피해를 주는 경우는 화산쇄설성 밀도류 형태로 밀려올 때이다. 해당 현상은 문서를 참고하라. 그러나 화쇄류가 주를 이루는 펠레식 분출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분출은 화산재 강하(ash-fall)로 피해를 준다. 화산재가 그저 유유자적 흩날리는 게 별 일 아닌 것 같아 보이겠지만 사실 화산재 강하가 이뤄지는 지역은 말 그대로 생지옥이 펼쳐진다.
화산재가 강하하는 지역은 보통 상부에 두터운 화산재 구름(ash cloud)이 버티고 있는데, 당연히 이 구름의 빛 투과율은 무진장 낮다. 즉, 짙은 그림자가 덮이는 것. 심한 경우 두 눈을 떠도 눈 앞의 손바닥이 안보인다. 이 때문에 두꺼운 화산재구름이 있는 곳은 맨 위 사진처럼 대낮인데도 밤처럼 어두워진다. 또한 화산재는 온갖 기계에 말썽을 일으킬 수 있다. 기계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들어가도 좋을 게 없으며 대표적으로 호흡기 질환을 야기한다. 거기에 온 몸에 화산재를 뒤집어 쓰는 것은 보너스. 눈 내리는 것과 사실 크게 다를 게 없는 상황이긴 한데, 얼기설기 엮인 미세한 얼음덩이인 눈과 달리 이건 말 그대로 흩날리는 돌과 유리 가루이다. 밀도가 눈보다 3배나 높기 때문에[9] 가만히 내버려뒀다간 미터 단위로 쌓이는 화산재에 건물이나 차량 등이 막대한 손상을 입게 된다.
눈에 들어가게 될 경우 시력 저하나 심하면 실명의 위험이 따르며, 특히나 렌즈를 끼고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 돌가루가 눈속에 들어가 안구를 흡집내며 이리 저리 돌아다닌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또한 항공교통에도 꽤나 애를 먹이는데, 화산재 구름이 항공로까지 올라가 모르고 화산재 안으로 들어갔다가 엔진 4개가 꺼져버리는 일도 있었다.
결국, 화산재가 떨어지고 있다면, 그곳은 앞을 분간하기 어려운 어둠 속에서 흩날리는 돌가루를 마시며 쌓인 화산재 더미를 헤치고 나아가야 하고, 화산재 무게에 집이 내려앉는 것을 그저 방관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폼페이 문서에서도 나오지만, 화산재로 인해서 도시 하나가 통째로 사라졌다.
5. 연구 대상으로서
화산재는 당연하게도 화산 분출물의 일종이므로, 화산 자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화산재 자체의 성분 조사나 형태 조사도 이뤄지지만, 화산재가 퇴적된 화산퇴적층의 모습과 시대를 조사하게 된다. 특히 화산재는 화산 유리(glass)가 많으므로, 화산유리 성분을 알아내어 마그마의 진화사, 폭발 강도 등을 연구하는 데 이용된다.또한 남극이나 북극과 같이 얼음이 쌓이는 곳에서는, 화산재가 쌓이면 그곳이 얼음이 퇴적된 정확한 시대를 지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산재 속에 섞인 광물의 분출 연대를 측정하면, 그 화산재가 언제 폭발했는지 알게 되는데, 이때가 바로 해당 얼음이 쌓이던 시대인 것이다. 빙하 연구에서는 빙하 몇 미터가 어느 시대의 것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우주에서도 그 위성이나 행성 나이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예시
6. 이점
단기적으로는 큰 피해를 주지만, 장기적으로 안정화하면 상당한 이점을 안겨다 주기도 한다. 화산재가 떨어지면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고 토양에서 단기적으로는 인산이나 유기질과 같은 일부 영양 성분에 대한 흡착능이 강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를 떨어트린다.[10] 인산과 같은 영양 성분이 화산재의 염기성 성분과 단단히 결합되면 식물이 흡수하기 어려워지므로, 같은 양의 인을 식물에 흡수시키기 위해 필요한 비료의 양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옥도가 떨어지는 것이다.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화산재에는 칼륨, 나트륨, 칼슘 등 식물 생장에 필요한 무기질이 풍부하고, 화산재의 영양 성분에 대한 높은 흡착능은 장기적으로 보면 토양으로 유입된 영양 성분이 비에 의해 유실되는 것도 방지하므로 천연 비료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산 인근 지역 중에는 의외로 농업이 성행하는 지역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나폴리. 화산이 분화한 뒤 주위 생태계가 생각보다 빨리 복원이 되는 이유 중 하나도 이 때문이다.
다만 화산재 토양이 농업에 능사는 아니다. 화산회토가 강하게 풍화를 받을 경우 인산고정이 안 되어 농업에 불리하다. 황 성분이 많을 경우 땅이 산성화되기도 한다.
[1] 물, 이산화 탄소, 염소, 플루오린, 황화물질,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한다.[2] 보통 고철질, 고온의 마그마인 경우이다.[3] 용암 호수와 같이 마그마가 지표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극단적인 예이다. 혹은 분기공(fumaroles)이 잘 발달한 경우도 있다.[4] 심성암이 만들어지는, 킬로미터 단위의 하부 공간을 말한다.[5] 즉 불칸, 펠레, 플리니 등의 분출[6] 재동(再動)이라고 한다.[7] 물론 밀리미터가 될까말까한 두께로 쌓인다.[8] 화산쇄설류에 직접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물론 목숨을 잃었지만, 근처에 있었거나 힘을 거의 잃은 경우에는 화상을 입고 생존하기도 한다. 치명적인 화산쇄설류를 내뿜었던 1902년 펠레 화산 분출에서도 화상만 입고 생존한 피해자들이 있었다.[9] 암석의 비중은 2.7~ 3.3 정도 된다.[10] http://www.hort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