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1:03:59

𢩦에서 넘어옴
잡을 극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キ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자형4. 용례5. 이체자6. 유의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丮은 '잡을 극'이라는 한자로, '잡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E2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Q(弓手)로 입력한다.

막대 모양의 물건을 손에 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3. 자형

파일:41_EE2E.svg 파일:31_EE8C.svg 파일:27_4E2E.svg
갑골문 금문 소전
갑골문에서는 사람이 양손에 뭔가를 쥐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고, 금문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그려져 있었다. 소전에서는 사람 몸에 해당하는 부분이 (활 궁) 비슷한 모양으로 변하고 손으로 뭔가를 쥐고 있는 부분은 (날 출) 비슷한 모양으로 변했다. 해서체에서는 弓 비슷한 부분이 ㇈ 모양으로 단순화되고 出 비슷한 부분은 キ처럼 변해서 지금에 이른다.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이체자

  • 𠃨[⿹㇈⿻屮凵](U+200E8)
  • 𩰊[⿰王丨](U+29C0A)

6. 유의자

  • (잡을 가)
  • /(잡을 거)
  • (잡을 곽)
  • 𢴪[⿰扌款](잡을 관)
  • (잡을 구)
  • /(잡을 나)
  • (잡을 낙)
  • (잡을 남)
  • (잡을 람)
  • (잡을 병)
  • (잡을 부)
  • (잡을 사)
  • (잡을 삼)
  • (다스릴/잡을 섭)
  • (잡을 시)
  • /(잡을 액)
  • 𢷻[⿰扌緣](잡을 연)
  • 𣪮[⿰宰殳](잡을 재)
  • (잡을 조)
  • (잡을 졸)
  • (잡을 지)
  • (잡을 집)
  • (잡을 착)
  • (잡을 책)
  • (잡을 체)
  • 𢺡[⿰扌屬](잡을 촉)
  • (잡을 촬)
  • (잡을 추, 몹시칠 축)
  • 𣑃[⿱汎木](잡을 타)
  • (잡을 파)
  • (잡을 포)
  • (잡을 획, 덫 확)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절 갹, 지칠/절 극)
  • 𢀜[⿰工丮](품을 공)[1]
  • 𢦚[⿰戈丮](발뒤꿈치칠 과/화)
  • 𤜾[⿰犭丮](짐승이름 극)
  • 𡖊[⿰夕丮](이를 숙)[2]
  • 𡎐[⿰坴丮](재주 예)[3]
  • 𡙺[⿰⿳夲日厶丮](실을 재)[4]
  • 𩛥[⿰⿱才𩙿丮](차릴 재)
  • 𦘣[⿰畫丮](깎을 착)[5]
  • 𡙕[⿰㚔丮](잡을 집)[6]

[1] (품을 공)의 본자[2] (이를 숙)의 본자[3] (재주 예)의 동자[4] (실을 재)의 고자[5] (깎을 착)의 동자[6] (잡을 집)의 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