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6:27:33

잡을 파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たば
-
표준 중국어
bǎ, b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把는 '잡을 파'라는 한자로, '잡다', '긁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28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手日山(QAU)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꼬리 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그러나 신동윤 교수의 <한자로드(路)>에 의하면 巴는 갑골문에서 손을 뻗고 무릎을 꿇은 사람의 옆모습을 본뜬 글자이며, 이로 미루어 보아 만들어질 당시에는 회의자였을 가능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중국어

把가 구성하는 중국어 단어가 제법 많다.
  • 把关 [bǎ guān] 관문을 지키다, 엄밀히 점검하다, 검사하다.
  • 把手[bǎshou] 손잡이; 손을 잡다.
  • 把握[bǎwò] 자신, 가망; 쥐다, 파악하다.

하지만, 표준 중국어에서 把는 문장을 구성하는 개사로서 더욱 빈번하게 활용되며, 주로 도치구문에 쓴다.

표준중국어의 문장은 주어 - 술어(서술어) - 빈어(목적어)의 순서로 구성되는데, 把를 활용하면 빈어의 위치를 술어 앞에 배치할 수 있다. 아래의 문장에서 술어를 빨간색으로, 빈어를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를 첨가한 상태와 첨가하지 않은 상태를 비교하면 각 문장 요소의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ex) 我昨天用电脑完了作业。 (나는 어제 컴퓨터로 숙제를 다 했다.)
→ 我昨天用电脑作业完了。

화제 구문으로 도치해서 쓸 수 있는 문장은 대개 把 구문을 이용해서 고쳐쓸 수 있다. 단, 把를 써서 도치문을 만들 경우 자칫 상대를 추궁하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把는 처치와 관련된 행동에 대해서 주로 사용된다. 보어가 동사의 처치 결과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나, 경험을 나타내는 문장, 취득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 등의 경우 把 구문을 사용할 수 없다. 이처럼 사용에 제약이 많기 때문에 중국어 화자들은 把구문보다는 화제 구문을 더 많이 쓴다.

칼에서 주전자에 이르는 '손잡이 달린' 물건을 셀 때나 쌀이나 모래, 꽃 따위를 주먹 한 번 쥐어서 들 만한 분량을 셀 때 양사로도 쓰인다.

4. 유의자

  • (잡을 구)
  • (붙잡을 나)
  • (잡을 나)
  • (잡을 병)
  • (쥘 악)
  • (잡을 액)
  • (잡을 조)
  • (잡을 지)
  • (잡을 집)
  • (잡을 착)
  • (잡을 체/탈 태)
  • (잡을 포)
  • (움킬 확)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살찔 비)
  • (뜰 읍)
  • (비파나무 파)
  • (아이 다툴 파)
  • (암퇘지 파)

[1] (병거 파)를 사용해서 鏜鈀로 표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