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5 17:03:53

𧶠

𧶠
팔 육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이 글자를 성부로 쓰는 한자

[clearfix]

1. 개요

𧶠은 '팔 육'이라는 한자로, '팔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27DA0에 배당되어 있다.

현대에는 사실상 사어나 다름없는 한자이지만, (읽을 독), (더러울 독), (이을 속) 등 음이 '독', '속'인 한자들의 성부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사실상 같은 모양이라고 해도 될 수준으로 비슷한 모양인 상용한자 (팔 매)와 자주 혼동된다. 두 글자는 전서까지는 구분이 되지만 예서부터는 거의 구분되지 않는다. 賣는 알아도 𧶠은 모르는 사람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𧶠이 음부로 들어가는 형성자를 형성자로 알아채기는 어렵다. 賣로 보면 당연히 형성자가 될 수 없으니.

《설문해자》의 분석에 따르면, 𡍬(화목할 목의 고자)와 (조개 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전서로는 다음과 같다.

파일:팔 육.png

𡍬 역시 형성자로 圥(버섯 록)이 음부이니 근본적으로는 圥의 음을 취한 셈이다. 이 글자가 사실상 형성자의 음부로만 쓰이는 걸 감안하면 圥의 음 록, 륙[1]을 '독', '속' 등으로 바꾸는 데에 보조자를 囧과 貝 두 글자나 쓰고 있는 모양이다. 뭐 이건 결과론이고, 사실 상고음으로는 𧶠이 음부인 글자들 모두 圥과 비슷한 음이다. 𧶠은 자주 혼동되는 賣와 마찬가지로 세 글자가 합쳐진 것으로, 비교해보면 𧶠은 圥(버섯 록)+囧(빛날 경)+貝고 賣는 出(날 출)+网(그물 망)+貝이다. 따로따로 써놓으면 많이 다른 글자 같지만, 圥과 出이 모두 土로 간략화되고 囧과 网이 모두 罒이 되면 똑같아지므로 구분할 수가 없게 된다. 사실 𡍬의 囧은 目의 잘못임이 유력한데, 그러면 目을 세로로 눕힌 게 그냥 网의 이체자 罒이니 가운뎃부분까지 다를 바가 없게 된다.

그런데 선진시대의 자형을 분석해보면 貝의 윗부분이 설문해자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진(秦)계 글자에서는 (싹날 철) 밑에 (한 일), (눈 목)이 차례대로 오고, 진(晉)계 글자에서는 屮 밑에 目만 온다. 진(晉)계 글자에서 𧶠이 성부인 글자들은 대개 貝 대신 를 택해서 屮과 目과 牛가 결합한 글자가 성부가 되는데, 이 글자는 (송아지 독)과 갈은 글자로 추정된다. 초(楚)계 문자에선 屮 밑에 目 대신 𠂤(작은 언덕 퇴)가 결합한 글자도 보인다. 금문을 보면 屮와 目 또는 𠂤가 결합한 형태로 나타난다. 옛 학자들은 대부분 이 글자를 𡍬의 간략형으로 취급했으나 현대에는 𡍬과 별개의 한자로 주장하는 이설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睦과 賣의 상고음이 가까운 것 자체는 사실인 것으로 보이며, 屮과 賣이 해성(諧聲)이라는 주장도 일리는 있다. 따라서 賣의 성부 글자는 이미 허신 당대에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아, 허신이 대신 음이 매우 가깝고 모양도 비슷한 𡍬을 賣의 성부로 제시한 것 같다.[2]

예서부터는 글자 모양이 똑같기 때문에, 해서가 표준 자형인 현대에는 사실상 賣를 훈음이 두 개(팔 매, 팔 육)인 글자로 취급해도 상관없긴 하다. 실제로 옥편에 그렇게 나오는 예로는 亘(걸칠 긍, 펼 선)이 있다. 이 글자 역시 전서까지는 亙(걸칠 긍)과 𠄢(펼 선)로 구분되었으나 예서부터 한 모양이 되었고 옥편에서도 亘 한 글자를 표제어로 삼아 두 훈음을 같이 설명한다. 𧶠도 賣의 이체자로 취급하여 두 글자를 같은 글자로 보는 관점도 있기는 하지만, 강희자전에서 일부러 𧶠의 중간을 구성하는 (빛날 경)을 罒이 아닌 로 간략화하는 방식으로 𧶠과 賣의 자형을 다르게 처리하고 별도의 글자로 수록했기 때문에 둘을 별도의 글자로 보는 옥편이 많다. 사실 四의 이체자에 罒이 있다는 걸 감안하면 자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설령 賣와 𧶠을 하나로 통합한다고 해도, 賣에 '팔 육'이라는 현대에 쓰이지 않는 훈음을 실을 옥편은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賣(실은 𧶠)가 들어가는 형성자를 형성자로 알아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글자에 亻(사람인변)을 붙인 글자 儥도 '팔 육'으로 훈음이 동일하다. 이 글자도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옛 문헌에서는 용례가 좀 있다. 윈도우즈 확장 입력기로도 𧶠은 입력이 안 되지만 儥은 입력이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𧶠 대신 儥을 대표 성부로 제시하기도 한다.

3. 이 글자를 성부로 쓰는 한자

  • 𩧈[⿰馬𧶠](걸어가는모양 독)
  • (궤 독)
  • 𣰬[⿺毛𧶠](기 독)
  • /𦢌[⿰⺼𧶠](낙태할 독)
  • 𧾥[⿺走𧶠](다니는모양 독)
  • (더러울 독)
  • (더럽힐 독)
  • /(도랑 독)
  • (도랑/더럽힐 독)
  • 𨽍[⿰⻖𧶠](도랑 독, 통할 동)
  • (도장상자 독)
  • /𥀲[⿰皮𧶠](매끄러울 독)
  • (무례하고방자할 독)
  • 𢷺(뽑을 독)[⿰扌𧶠]
  • (손궤 독)
  • (송아지 독)
  • /𧸷[⿰𧶠卵](알곯을 독)
  • (옥이름 독)
  • (읽을 독)
  • 𦌷[⿱罒𧶠](작은어망 독)
  • (전동 독)
  • (편지 독)
  • (활집 독)
  • (구멍 두)
  • 𡂝(읽을 두/독)
  • 𨏔[⿰車𧶠](도르래 록)[3]
  • 𥌚[⿰目𧶠](곁눈질할 매, 노려볼 애)
  • 𦏢[⿰羊𧶠](때낀모양 매)
  • 𢖏[⿰彳𧶠](멈추지않을 속)
  • 𩽆[⿰魚𧶠](물고기이름 속)
  • (속죄할 속)
  • (쇠귀나물 속)
  • (이을 속)
  • 𧘅[⿲彳𧶠亍](즐거울 원)
  • (팔 육, 볼 독)
  • 覿(볼 적)
  • 𩴺[⿰𧶠鬼](추할 적)
  • (두루마기 촉)
  • (독)
  • 𣤯[⿰𧶠欠](독/수)
  • 𧔖[⿰虫𧶠](소)
  • 𠠔[⿰𧶠刀]
  • 𠠠[⿰𧶠刃]
  • 𣋺[⿰日𧶠]
  • 𪺁[⿰火𧶠]
  • 𬌏[⿰爿𧶠]
  • 𥖿[⿰石𧶠]
  • 𬔃[⿰禾𧶠]
  • 𥶦[⿱𥫗𧶠]
  • 𮋿[⿰耳𧶠]
  • 𮚧[⿰卯𧶠]
  • 𧸝[⿰𧶠半]
  • 𮨢[⿰𧶠頁]

[1] 圥은 陸(뭍 륙)과도 상통한다.[2] 김준수: 〈'讀'字聲旁考〉, 《중국학논총》, 2014, 45, 1-20[3] (도르래 록)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