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 ||||||
<colbgcolor=#ee3224> 조별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대한민국 경기 (A조) 아르헨티나전 (1차전) · 불가리아전 (2차전) · 이탈리아전 (3차전) | ||||||
결선 토너먼트 | 16강 | 8강 | 준결승, 결승 |
1. 개요2. 경기 전
2.1. 1경기: 불가리아 1 : 1 이탈리아2.2. 2경기: 대한민국 1 : 3 아르헨티나2.3. 3경기: 이탈리아 1 : 1 아르헨티나2.4. 4경기: 대한민국 1 : 1 불가리아2.5. 5-1경기: 대한민국 2 : 3 이탈리아2.6. 5-2경기: 아르헨티나 2 : 0 불가리아
1. 개요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아르헨티나 | 3 | 2 | 1 | 0 | 6 | 2 | +4 | 5 | |
2 | | 이탈리아 | 3 | 1 | 2 | 0 | 5 | 4 | +1 | 4 | |
3 | | 불가리아 | 3 | 0 | 2 | 1 | 2 | 4 | -2 | 2 | |
4 | | 대한민국 | 3 | 0 | 1 | 2 | 4 | 7 | -3 | 1 | |
■ 16강 진출 | ■ 탈락 |
2. 경기 전
대한민국이 드디어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16개국 본선에 진출(16위) 이후 32년 만에 당당히 동아시아 지역 1위로 24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나, 정작 24강 조 편성 결과는 최악이었다. 디에고 마라도나라는 레전드가 있는데다 그 외에 호르헤 발다노, 호르헤 부루차가, 세르히오 바티스타, 네리 품피도 등 당시 아르헨티나 국대에서 상위급이었던 선수들이 있었으며 전전 대회 우승국이자 이 대회 우승까지 하는 아르헨티나, 전 대회 우승국이자[1] 비록 전 대회 득점왕 및 MVP였던 파올로 로시가 부상으로 벤치를 지켜도[2] 가에타노 시레아, 주세페 베르고미, 브루노 콘티, 마르코 타르델리 등 레전드들이 포진한 이탈리아와 한 조가 되었다. 결국 이 대회 챔피언과 디펜딩 챔피언을 동시에 만나는, 대한민국의 입장에서 보면 하늘이 무너질 수준의 조편성이었다. 그나마 쉬운상대가 불가리아였지만, 이들도 유럽 예선에서 미셸 플라티니가 있는 프랑스를 2:0으로 격파하기도 하며(원정에선 1:0으로 졌다.) 5승 1무 2패로 유고슬라비아, 동독 등을 제치고 프랑스와 같은 점수로 골득실에서 밀려 2위로 24강 본선에 진출한 나라였다.2.1. 1경기: 불가리아 1 : 1 이탈리아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1경기 1986. 05. 31. (토) 12:00 (UTC-6) |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 멕시코 시티) | ||
주심: | ||
| 1 : 1 | |
| ||
85' 나스코 시라코프 | 득점 | 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
관중: 96,000명 |
2.2. 2경기: 대한민국 1 : 3 아르헨티나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2경기 1986년 6월 2일 월요일 12:00 (UTC-6) | ||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멕시코, 멕시코 시티) | ||
주심: | ||
관중: 60,000명 | ||
| 3 : 1 | |
| ||
6', 46' 호르헤 발다노 18' 오스카 루게리 | | 73' 박창선[3]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2.3. 3경기: 이탈리아 1 : 1 아르헨티나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3경기 1986. 06. 05. (목) 12:00 (UTC-6) | ||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멕시코 푸에블라) | ||
주심: | ||
| 1 : 1 | |
| ||
6' (PK)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 득점 | 34' 디에고 마라도나 |
관중: 32,000명 |
2.4. 4경기: 대한민국 1 : 1 불가리아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4경기 1986년 6월 5일 목요일 16:00 (UTC-6) | ||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멕시코, 멕시코 시티) | ||
주심: | ||
관중: 45,000명 | ||
| 1 : 1 | |
| ||
70' 김종부 | | 11' 플라멘 게토프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2.5. 5-1경기: 대한민국 2 : 3 이탈리아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5-1경기 1986년 6월 10일 화요일 12:00 (UTC-6) | ||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멕시코, 푸에블라) | ||
주심: | ||
관중: 20,000명 | ||
| 2 : 3 | |
| | |
62' 최순호 83' 허정무 | | 17', 73'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82' (OG) 조광래 |
2.6. 5-2경기: 아르헨티나 2 : 0 불가리아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A조 5-2경기 1986. 06. 10. (화) 12:00 (UTC-6) | ||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멕시코 멕시코 시티) | ||
주심: | ||
| 2 : 0 | |
4' 호르헤 발다노 77' 호르헤 부루차가 | 득점 | - |
관중: 65,000명 |
[1] 단, 1982 스페인 월드컵 24강 조별리그 1조 1차전에서 당시 이탈리아, 폴란드와 같은 조에 속한 팀이었던 페루와 카메룬의 1차전 경기에서 카메룬 선수의 로저 밀러의 득점이 온사이드 상황에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프사이드로 득점이 취소되었다. 즉, 당시 카메룬 입장에서는 페루와의 첫 경기에서 나온 오심으로 인해 12강 조별리그에 진출하지 못하게 되었다. 반면에 같은 조에 속한 이탈리아 입장에서는 카메룬과 승점, 득실차가 동률이었음에도 득점에서 1점 앞서 12강 조별리그에 진출했고 이후 승승장구해서 우승하게 된다. 특히, 브라질과의 12강 조별리그 경기에서 파올로 로시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그 브라질을 3:2로 꺾은 것이 압권이었다.[2] 한국전에 대비한 중국전에서 부상을 입었다.[3] 대한민국 월드컵 역사상 첫 본선 득점.[4] 당시에는 승리했을 때에 주어지는 승점이 2점이었다. 그래서 1승했을 때와 2무했을 때의 총 승점이 2점으로 같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결국 1994 FIFA 월드컵 미국 본선 때부터 승리했을 때에 주어지는 승점을 3점으로 상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