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주요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행정장관 선거 | 2022년 2022년 5월 8일 | 2027년 2027년 5월 8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입법회 선거 | 2021년 2021년 12월 19일 | 2025년 2025년 12월 19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구의회 선거 | 2023년 2023년 12월 10일 | 2027년 2027년 월 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
1. 개요
2016년 9월 4일에 열린 홍콩 입법회 선거이다. 직선구 35석 직능구 35석으로 총 70석이 선출되었다.투표율은 58.28%로 홍콩인의 반 이상이 참여하였다. 후에 열렸던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랑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긴 하다.
2. 참여 정당
2.1. 건제파(친중파)
- (친중파)
[[무소속(정치)|무소속]]
2.2. 민주파
: 둘 이 단일화해서 인민역량이 1석을 얻었다.- 홍콩 교육단업인원협회
- (민주파)
[[무소속(정치)|무소속]]
2.3. 본토파
- 개헌파에 가깝다.
[1]- Democracy Groundwork - 링크타면 당시 의원의 이름으로 링크된다.
- (본토파)
[[무소속(정치)|무소속]]
2.4. 중간파 및 무소속
- 민주사로
- 무소속 1석
3. 선거 결과
제6대 홍콩 입법회의 원내 구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16.10.01. ~ 2021.09.30.'''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친중파(40석) | |||||
민주건항협진연맹 (12석) | 홍콩 경제민생연맹 (7석) | 홍콩 공회연합회 (5석) | 자유당 (4석) | |||
신민당 (3석) | 신세기논단 (1석) | 홍콩 및 구룡 노동조합 연맹 (1석) | 무소속 (7석) | |||
민주파(23석) | ||||||
민주당 (7석) | 공민당 (6석) | 인민역량 (2석) | 공공단업연맹 (2석) | |||
공당 (1석) | 이웃과 노동자 서비스 센터 (1석) | 홍콩 교육단업인원협회 (1석) | 무소속 (3석) | |||
본토파(6석) | ||||||
청년신정 (2석) | 열혈공민 (1석) | 데모시스토 (1석) | Democracy Groundwork (1석) | |||
무소속 (1석) | ||||||
무소속 | ||||||
무소속 (1석) | ||||||
재적 70석 | }}}}}}}}} |
선거로는 친중파가 40.17%, 민주파는 36.02%, 본토파는 입법회 역사 최초로 19%나 가져갔다.
의석으로는 친중파가 57.14%로 반을 가져갔고, 민주파가 32.86%, 본토파는 8.57%로 비건제파는 패배를 맞이했다.
4. 여담
- 네이선 로는 선서파동으로 입법회에서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출처: 언프리 스피치)
-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이 통과됨에 따라서, 민주파랑 본토파가 입법회랑 구의회에서 대거 사퇴했다. 이후 민주파는 나름 활동을 하고 있지만, 본토파는 계속 체포당하거나 망명하고 있다.
[1] 영문 위키백과에선 본토파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