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6:00:43

2022 부다페스트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22 부다페스트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22-es úszó-világbanjnokság
THE 19TH FINA WORLD CHAMPIONSHIPS
BUDAPEST 2022
파일:2022 부다페스트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로고.svg파일:2022 부다페스트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로고(화이트).svg
대회 기간 2022년 6월 17일 ~ 7월 3일 (16일간)
개최국·지역 헝가리 부다페스트
참가국 185개국
참가 선수 2,060명
경기 종목 5개 종목[1]
개·폐회식장 다뉴브 아레나
개최 선언 노바크 커털린
헝가리 대통령
직전 대회 2019 광주
직후 대회 2023 후쿠오카

1. 개요2. 대회 시설3. 메달 집계4. 여담

[clearfix]

1. 개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제19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다.

2017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의 원래 개최지였던 멕시코 과달라하라가 개최를 포기하면서 원래 2021년 대회 개최 예정지였던 헝가리 부다페스트가 2017년 대회를 개최하게 됐으며, 그 대신 2021년 대회 개최권은 경합을 통해 일본 후쿠오카가 갖게 됐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년 미뤄진 2020 도쿄 올림픽과 겹친다는 이유로 개최가 1년 뒤인 2022년으로 연기됐고, 2022년 들어서는 일본 내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인해 또 개최가 미뤄져 2023년 개최로 연기되었다. 이에 2022년 2월 7일, FINA는 2017년 대회 개최지인 부다페스트에서 2022년 6월에 세계수영선수권을 개최하며, 2023 후쿠오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1년 뒤 예정된 날짜에 개최하기로 결정했음을 발표했다.

2022년 3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러시아벨라루스 국적 선수들의 출전이 금지됐다.

대한민국에서는 tvN SPORTSTVING에서 독점 생중계했다.

2. 대회 시설

  • 개·폐회식, 경영, 다이빙: 다뉴브 아레나
  • 오픈워터 수영: 루파 호
  • 아티스틱 스위밍: 타마스 세치 종합수영장
  • 수구: 알프레드 하요스 국립 수영장, 데브레첸 수영장, 세제드 사비라그 수영장, 소프론 뢰베르 수영장

3. 메달 집계

2022 부다페스트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메달 집계
<rowcolor=#0054a6,#ffffff> 순위 국가 메달 합계
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8 14 17 49
2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8 2 8 28
3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9 7 6 22
4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6 9 4 19
5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3 5 6 14
6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8 3 13
7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7 2 11
8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6 2 10
9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5 3 10
10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2 1 5
11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2 0 4
12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1 2 5
13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 0 0 2
14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 4 6 11
15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 1 3 5
16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 0 1 2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 0 1 2
18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1 1 2
19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1 0 1
20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0 3 3
21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0 2 2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0 2 2
22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0 0 1 1

4. 여담

  • 황선우가 1분 44초 47의 한국 신기록을 세워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7 멜버른, 2011 상하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던 박태환 이후로 경영 종목에서 두 번째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메달리스트다.
  • 이번 대회에서는 하이다이빙이 제외되었다. FINA 측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바쁜 훈련과 회복으로 인한 어려움을 고려하여 3년 전보다 작은 규모의 대회를 만들었다고 한다.


[1] 경영, 다이빙, 수구,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워터 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