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2:36:31

2024 자낳대: 발로란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발낳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전 대회에 대한 내용은 틀:자낳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자낳대심볼.png 자낳대
역대 대회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5px -10px -5px -10px; padding: 2.5px 0px 0px 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50%;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리그 오브 레전드 ]
2019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파이널
2020
시즌 1 · 시즌 2
2021
시즌 1 · 시즌 2 · 외전
2022
시즌 1 · 시즌 2
2023
시즌 1 · 외전 · 시즌 2
}}}}}}
[ 그 외 종목 ]
||<width=1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2c8ff> 와일드 리프트 ||<bgcolor=#000000><width=33%> 스타크래프트 ||<bgcolor=#000000><width=33%> 서든어택 ||
2020 2021 2021 · 2022 · 2023
발로란트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베일드 엑스퍼트
2022 · 2023 · 2024 2022 2023
시즌 1 · 시즌 2
사이퍼즈 PUBG: 배틀그라운드
2023 · 2024 2024
}}} ||

<colbgcolor=#101a24>파일:발낳대3로고.png
<colcolor=#fff> 2024 자낳대: 발로란트
지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최, 주관 인챈트 엔터테인먼트
후원 스틸시리즈, 치지직
중계진 <colbgcolor=#101a24><colcolor=#fff> 캐스터 최광원
해설 너불, 미르다요
송출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경기장 전 경기 온라인
진행 방식 라운드로빈, 플레이오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회 일정
팀원 경매 2024년 6월 22일 (토) 18:00
라운드로빈 1일차 2024년 6월 28일 (금) 18:00
라운드로빈 2일차 2024년 6월 29일 (토) 18:00
준결승전 및 결승전 2024년 6월 30일 (일) 18:00
상금
우승 1,500만 원
준우승 800만 원
3위 500만 원
4위 200만 원

1. 개요2. 라인업
2.1. 코치2.2. 선수
3. 팀원 경매 및 대진 추첨 결과
3.1. 팀원 경매3.2. 경기 일정 추첨
4. 참가팀 로스터
4.1. 돈톡식 (자몽뀨 팀)4.2. 레전드 사건 발생 (츈츈 팀)4.3. 발로당 (크포 팀)4.4. 콧김나옴 (행돌 팀)
5. 스크림 전적6. 경기 진행7. 주요 기록
7.1. 대회 MVP7.2. 에이스
8. 총평 및 결산
8.1. 최종 순위
9. 여담
9.1. 팀원 경매 및 연습 기간9.2. 대회 기간

[clearfix]

1. 개요

자낳대: 발로란트의 세 번째 시즌.
===# 대회 규정 및 경기 방식 #===
  • 경기 방식
    • 총기 및 요원 선택 제한 없음
    • 게임 모드: 토너먼트 모드 - [ 연장전: 2점차 승리 ] 옵션 적용
      • 무승부 선택 불가
  • 참가자 규정
    • 참가자들은 코치 /메이저 / 비기너 / 유스 그룹으로 사전 분류됩니다.
    • 코치 그룹은 팀 대표가 되어서 경매를 진행하며, 메이저, 비기너 그룹 각 1명, 유스 그룹 3명으로 팀을 구성합니다.
  • 코치(팀 대표) 규정
    • 코치 그룹은 각 팀의 대표가 되어 경매를 진행합니다.
    • 경매 이후, 연습 및 대회 기간 중 팀의 코칭을 진행합니다.
    • 팀이 참가하는 모든 경기에 출입할 수 있으며, 각 경기의 준비 단계, 요원 선택 도중, 세트 사이 기간 중 선수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 경기 중 전반 1회, 후반 1회, 연장전 시 추가 1회 타임 아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반 2회, 후반 2회 등으로 몰아서 사용할 수 없음
  • 서브 코치 규정
    • 코치(팀 대표)를 통한 코칭 외에, 추가 코치가 필요한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 코치(팀 대표)가 사전에 고지된 시간 내에 운영팀에게 서브 코치를 신청해야 합니다.
    • 운영팀에서 신청 내역을 확인한 후, 대회 디스코드 서버에 서브 코치 역할을 부여합니다.
    • 서브 코치는 본 대회 진행 중에는 디스코드 서버 권한이 회수되며, 경기에 개입할 수 없습니다.
  • 경매 규정
    • 경매 시작 전, 경매 순서를 무작위로 추첨하여 미리 결정한 후 경매를 진행합니다.

      • (경매 순서를 사전에 파악한 후, 안정적이고 계획적인 경매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경매 마무리 후,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이 라운드 로빈 대진표 자리를 먼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라운드 로빈 규정
    • 경매를 통해 구성된 4개의 팀은 이틀에 걸쳐 라운드 로빈을 진행합니다.
    • 라운드 로빈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며, 각 매치는 2세트로 진행됩니다.
      • 1일차 경기: 팀 A vs 팀 B, 팀 C vs 팀 D, 팀 A vs 팀 C
      • 2일차 경기: 팀 B vs 팀 D, 팀 B vs 팀 C, 팀 A vs 팀 D
    • 각 세트는 사전에 맵이 정해져 있으며, 경기 시작 전 코인 토스를 통해 1세트 시작 진영을 선택하고, 2세트는 1세트 패자가 진영을 선택합니다.
  • 라운드 로빈 대진 선택 방식
    • 경매 후,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부터 팀 A, 팀 B, 팀 C, 팀 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잔여 포인트가 동률이라면, 운영팀의 코인 토스를 통해 순서를 결정합니다.
  • 라운드 로빈 승점 방식
    • 경기 결과 2선승 시 3점, 무승부 시 양 팀 1점, 2선패 시 0점을 승점으로 획득합니다.
    • 라운드 로빈 경기가 모두 종료되면 순위를 책정합니다.
      라운드 로빈 성적 4위는 탈락하며, 3위 이상 성적을 거둔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합니다.
      • 두 팀 이상 승점이 동률일 경우
        승점 비교 > 세트 득실차 비교 > 라운드 득실차 비교 > 동률인 팀 간 상대 전적 비교 > 총 킬 수 비교
  • 플레이오프 및 결승전 규정
    •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3개 팀은 하루에 걸쳐 플레이오프와 결승전을 진행합니다.
    • 플레이오프와 결승전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며, 각 매치는 3전 2선승으로 진행됩니다.
      • 플레이오프 1경기: 라운드 로빈 2위 vs 라운드 로빈 3위
      • 결승전: 라운드 로빈 1위 vs 플레이오프 1경기 승자
===# 사용 맵 및 맵 규정 #===
[[발로란트/맵#어비스|파일:발로란트-어비스-1.png
어비스
]]
[[발로란트/맵#바인드|파일:발로란트-바인드-1.png
바인드
]]
[[발로란트/맵#어센트|파일:발로란트-어센트-1.png
어센트
]]
  • 라운드로빈
    • 1경기: 어비스, 바인드
    • 2경기: 어비스, 어센트
    • 3경기: 어비스, 바인드
    • 4경기: 어센트, 어비스
    • 5경기: 바인드, 어비스
    • 6경기: 어센트, 어비스
  • 결승 진출전: 바인드, 어비스, 어센트
  • 결승전: 어센트, 어비스, 바인드

2. 라인업

파일:2024 발낳대 참가자.png
참가 명단

2.1. 코치

코치
닉네임 참가 경력 전 소속팀 우승 비고
자몽뀨 첫 참가 강행돌파 일일코치 1회강행돌파
츈츈
크포 강행돌파, FPs(VVL) 일일코치 2회강행돌파, (VVL)
행돌 1회 강행돌파, FPs(VVL) 일일 코치 1회(VVL)
기울임체: 라이엇 게임즈 및 인챈트 주최 발로란트 리그[리그] 참여

2.2. 선수

선수 명단
그룹 닉네임 주포지션 참가 경력 전 소속팀 우승 비고
M 네클릿 파일:Valorant_Duelist-dark.png파일:Valorant_Duelist.png / 파일:Valorant_Sentinel-dark.png파일:Valorant_Sentinel.png 1회 앵그리버니 2023 MVP
치킨쿤 파일:Valorant_Duelist-dark.png파일:Valorant_Duelist.png 1회 어감금, 팀장차이(VCSM)
빅헤드 파일:Valorant_Sentinel-dark.png파일:Valorant_Sentinel.png 1회 강행돌파
행수 첫 참가
B 댕균 첫 참가
렘쨩 첫 참가
아야 Aya 첫 참가
유봄냥 첫 참가 버육수(VVL)
Y 계춘회 첫 참가
고수달 첫 참가
금휘 첫 참가
니니아 첫 참가
루다 첫 참가 항상 의심해(CV)
반님 첫 참가
백곰파 첫 참가
소우릎 첫 참가
에리스 첫 참가
연리 첫 참가
채현찌 첫 참가
흐쟁이 첫 참가
기울임체: 라이엇 게임즈 및 인챈트 주최 발로란트 리그[리그] 참여
주포지션: [자낳대: 발로란트] 또는 타 대회 기록 기준, 첫 참가 시 플레이 기록 기준

==# 모의경매 #==
모의경매 1회차 결과
코치 메이저 비기너 유스 잔여
자몽뀨 빅헤드
330
댕균
100
금휘
5
니니아
10
흐쟁이
555
0
츈츈 행수
0
아야 Aya
265
루다
105
반님
30
고수달
275
325
크포 치킨쿤
800
렘쨩
0
계춘회
200
에리스
0
백곰파
0
0
행돌 네클릿
20
유봄냥
5
연리
100
채현찌
130
소우릎
745
0
모의경매 2회차 결과
코치 메이저 비기너 유스 잔여
자몽뀨 치킨쿤
405
아야 Aya
20
채현찌
50
루다
65
계춘회
460
0
츈츈 빅헤드
210
유봄냥
130
반님
10
고수달
235
금휘
405
10
크포 네클릿
80
렘쨩
0
연리
460
니니아
405
흐쟁이
0
55
행돌 행수
0
댕균
55
소우릎
600
에리스
60
백곰파
5
280

3. 팀원 경매 및 대진 추첨 결과

경매 풀영상
경매 하이라이트
  • 팀원 경매는 2024년 6월 22일에 진행되었다.

3.1. 팀원 경매

  • 참가자들은 코치, 메이저, 비기너, 유스 그룹으로 사전 분류됩니다.
  • 코치 그룹은 팀 대표가 되어 경매를 진행하며, 메이저, 비기너 각 1명씩, 유스 3명, 총 5명을 선발하여 팀을 구성합니다.
  • 경매 시작 전, 경매 순서를 무작위 추첨하여 미리 결정한 후 경매 진행합니다. (경매 순서를 사전에 파악한 후, 안정적이고 계획적인 경매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경매 마무리 후,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이 라운드 로빈 대진표 자리를 먼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코치(팀 대표)
    • 자몽뀨
    • 츈츈
    • 크포
    • 행돌
  • 메이저
    • 네클릿
    • 치킨쿤
    • 빅헤드
    • 행수
  • 비기너
    • 댕균
    • 렘쨩
    • 아야 Aya
    • 유봄냥
  • 유스
    • 계춘회
    • 고수달
    • 금휘
    • 니니아
    • 루다
    • 백곰파
    • 소우릎
    • 에리스
    • 연리
    • 채현찌
    • 흐쟁이

그룹 선수명 경매결과
M 네클릿 유찰
M 행수 츈츈 (260P)
Y 연리 크포 (305P)
M 빅헤드 행돌 (10P)
B 아야 Aya 츈츈 (360P)
B 유봄냥 행돌 (300P)
B 댕균 자몽뀨 (175P)
Y 소우릎 크포 (415P)
Y 흐쟁이 크포 (280P)
Y 계춘회 자몽뀨 (385P)
Y 에리스 유찰
Y 니니아 행돌 (140P)
Y 고수달 행돌 (435P)
Y 채현찌 츈츈 (120P)
Y 금휘 츈츈 (125P)
M 치킨쿤 자몽뀨 (5P)
Y 루다 자몽뀨 (140P)
Y 백곰파 행돌 (15P)
B 렘쨩 크포 (자동낙찰)
Y 반님 자몽뀨 (135P)
유찰 경매
M 네클릿 크포 (자동낙찰)
Y 에리스 츈츈 (자동낙찰)
* 남은 포인트- 자몽뀨(160), 츈츈(135), 크포(0), 행돌(100)
2024 자낳대: 발로란트 경매 최종 결과
메이저 비기너 유스 잔여
<colcolor=#fff> 자몽뀨 팀 치킨쿤
5
댕균
175
계춘회
385
루다
140
반님
135
160
츈츈 팀 행수
260
아야
360
채현찌
120
금휘
125
에리스
0
135
크포 팀 네클릿
0
렘쨩
0
연리
305
소우릎
415
흐쟁이
280
0
행돌 팀 빅헤드
10
유봄냥
300
니니아
140
고수달
435
백곰파
15
100

3.2. 경기 일정 추첨

  • 경매후,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부터 TEAM A, B, C, 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잔여 포인트가 동률이라면 운영팀의 코인 토스를 통해 순서를 정합니다.
대진표
1일차 2일차
팀 A 팀 B 팀 B 팀 D
팀 C 팀 D 팀 D 팀 A
팀 B 팀 C 팀 A 팀 C
최종 편성
팀 A 츈츈 팀
팀 B 행돌 팀
팀 C 크포 팀
팀 D 자몽뀨 팀

4. 참가팀 로스터

4.1. 돈톡식 (자몽뀨 팀)

파일:2024 발낳대 돈톡식.png
돈톡식
치킨쿤
DTX 치킨쿤보해
댕균
DTX 댕균
계춘회
DTX 계춘회계추
루다
DTX 루다

DTX 반
코치 <colbgcolor=white,#191919> 자몽뀨
DTX 몽뀨
서브코치 메테오, 너불, 여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에이펙스 무브먼트 데몬 치킨쿤, 타르코프 전문 스트리머 댕균, 이터널 리턴 데미갓 반님에 더해 내전 때부터 뉴비답지 않은 실력으로 고평가받던 계춘회와 루다까지. 타 게임에서 어느 정도 족적을 남긴 겜잘스들과 피지컬좋은 뉴비들을 영입하여 건실한 스쿼드를 구성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어딘가 하나씩 부족한 부분이 존재하는 타 팀과 달리 상하위 매물 어느 한곳도 구멍이 없다는 평가를 받으며 경매 직후 1강팀으로 꼽히고 있다.

4.2. 레전드 사건 발생 (츈츈 팀)

파일:2024 발낳대 레사발.png
레전드 사건 발생
행수
수르수르행수르
아야
아 야
채현찌
채현찌
금휘
김금휘
에리스
er2s
코치 <colbgcolor=white,#191919> 츈츈
GEN ChunChun
서브코치 푸린, 미르다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섭 초월자 출신 행수와 에임만큼은 B티어 최강급이라는 아야를 빠르게 데려왔으나 그 과정에서 포인트 출혈이 너무 컸던 나머지 유스 티어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매물들을 하나도 데려오지 못하면서 어딘가 애매모호한 팀이 되어버렸다는 평가. 여기에 아야가 샷은 좋지만 게임 지식이 부족한 타입이라 이를 보완할 매물들을 유스에서 데려왔어야 했는데 그게 안 되는 바람에 IGL인 행수의 부담이 더 커지고 말았다. 물론 데려온 유스들이 저평가받는 이유가 게임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지 샷빨만큼은 꽤나 괜찮은 자원들이라 지식 주입 성공 여부에 따라 반전을 일으킬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3. 발로당 (크포 팀)

파일:2024 발낳대 발로당.png
발로당
네클릿
발로당 까졌당
렘쨩
발로당 렘총무
연리
발로당 청년회
소우릎
발로당 보안관
흐쟁이
흐쟁이
코치 <colbgcolor=white,#191919> 크포
GEN kfo
서브코치 무디, 눈꽃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번개를 직격으로 맞아 어려운 경매가 되리라 예상되었으나 아예 상위 매물 입찰을 포기하고 유스 실력자들을 쓸어담은 과감한 판단이 빛을 발했다.[3] 다년간의 타르코프 경험을 통해 오버워치 러너리그에서 에임 몬스터로 맹활약한 소우릎, 내전에서 두각을 드러낸 연리, 처음에는 압도적 유찰로 평가받았으나 빠르게 성장하여 평가가 180도 반전된 흐쟁이까지 유스 티어만 놓고보면 1등이라는 평. 상위티어인 네클릿, 렘짱의 퍼포먼스와 뉴비들의 성장에 따라 충분히 우승도 가능할거란 평가를 받고있다.

4.4. 콧김나옴 (행돌 팀)

파일:2024 발낳대 콧김나옴.png
콧김나옴
빅헤드
우승하면콧김나옴
유봄냥
오더하면콧김나옴
니니아
긴장하면콧김나옴
고수달
오퍼들면콧김나옴
백곰파
잉잉하면콧김나옴
코치 <colbgcolor=white,#191919> 행돌
여자보면콧김나옴
서브코치 남봉, 선데이, 텍스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메이저 자리에 다양한 FPS 경험을 지닌 겜잘스 빅헤드를 10포인트에 가져오면서 비기너 자리에 IGL이 가능한 버발대 준우승자 출신 유봄냥을, 유스 자리에 오퍼수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유스 1티어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롤 마스터 티어 고수달을 데리고 오게 되었다. 다만 상위 티어에 힘을 빡 준 만큼 남은 유스 2자리는 쌩뉴비인 니니아와 백곰파를 받아갔고, 고수달 역시 피지컬과는 별개로 발로란트 이해도는 다른 유스들과 다를바 없다보니 과연 상위 티어가 유스 티어를 얼마나 성장 시켜줄지, 그것을 유스 티어가 얼마나 따라 올 수 있는지에 많은 것이 달린 팀이라 볼수 있다.

1일차(경매당일)
첫내전은 크포팀과 하였다 빅헤드와 유봄냥 그리고 고수달까지는 행돌이 경매에서 예상한 대로 흘러갔지만 니니아와 백곰파는 처음의 평가와는 반대로 되어버리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가장 경악했던 사실은 백곰파는 모니터 반응을 60Hz로 세팅되어있었고 이것을 240Hz로 바꾸었을뿐인데 샷발이 반전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것. 말도안되는 샷과 뉴비이슈로 백곰파는 빠와 까를 만들어내었다. 이후 전체적인 맵탐방과 피드백 후 종료하였다.

2일차
자몽규팀과의 어비스에서의 스크림에서 5연막+삥이라는 재앙을 만난후 상당한 고전을 하였다. 팀원들의 콜이 엇갈리거나 스코어가 밀린 상황에서 정보공유 부분이 숙제가 되었다.

3일차
비선별인원인 힐링캠프+김뿡과 스크림을 진행하였다. 힘캠시너지+저번대회 상위매물 김뿡의 조율로 매우 힘든 게임이 나왔지만 그만큼 많은 도움이 되었다.

4일차
좋은소식과 나쁜소식이 공존한 하루였다. 좋은소식은 팀의 전체적인 체급이 높다는것을 알수있었으며, 백곰파가 사이퍼를 배운 후 브리핑이 늘어남은 물론 카메라, 덫을 이용하여 말도안되는 캐리력을 보이며 코치진들도 진지하게 사이퍼를 익힐것을 고려하게 되었다면, 나쁜소식은 피로가 늘어나고 게임이 말려버리자 빅헤드는 물론 유봄냥까지 뇌정지가 오면서 오더가 안되는 최악의 상황이 나왔다.

5일차
남봉은 본업으로 코칭에서 빠졌다. 비선별인원 지누팀[4]그리고 크포팀과 스크림을 하였다. 전체적인 문제점은 자금관리와 급하게 샷을 쏘면서 이길 수 있는 라운드도 샷을 아쉽게 패배를 한 라운드가 많았다는것. 개개인으로는 빅헤드의 저점과 유봄냥의 고점, 초고수달과 초하수달을 오고간 고수달, 사이퍼를 가지면서 안정성이 늘어난 백곰파를 보여주었다. 가장 큰 문제를 보여준것은 니니아였는데 기습을 당하면 샷이 흐트러지는것은 물론 죽은 뒤 브리핑이 아닌 미안해등의 사과를 난발, 오더가 묻혀버리게 만들어서 개선이 필요하다는것을 보여주었다.

5. 스크림 전적

상대 전적 돈톡식 레전드 사건 발생 발로당 콧김나옴 총 전적 승률
돈톡식 - 5-1 6-3 3-3 14-7 66.7%
레전드 사건 발생 1-5 - 1-2 2-2 4-9 30.8%
발로당 3-6 2-1 - 2-4 7-11 38.9%
콧김나옴 3-3 2-2 4-2 - 9-7 56.3%

6. 경기 진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 자낳대: 발로란트/경기 진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주요 기록

7.1. 대회 MVP

7.2. 에이스

8. 총평 및 결산

8.1. 최종 순위

최종 순위
순위상금비고
우승 1,500만 원
준우승 800만 원
3위 500만 원
4위 200만 원

9. 여담

===# 명단 공개 이후 #===
  • 트위치 철수 이후 플랫폼이 갈렸고, 대회 기간이 악어의 놀이터 2 같은 대형 이벤트가 겹친데다가, 지난 참가자 중 아프리카 이적 또는 은퇴를 선언한 스트리머도 있었고 롤 자낳대의 지나친 과몰입 현상[5]등 여러 이유로 인해 기존 발로란트를 자주 플레이하던 인물들 대다수가 출전을 하지 않았고 대신 새로운 참가자들이 상당수 합류했다.
    • 이후 행돌, 강지, 김뿡, 눈꽃 등 스트리머들이 푼 섭외 비하인드에 따르면 초기에는 감독에 류제홍, 남봉, 도현, 행돌을 두고 A티어에 너불, 감블러를 기준으로 하여 지난번보다 높은 수준으로 대회를 기획했으나 밸런스 및 일정문제등 여러이유로 거절하는 참가자가 많아지자 아예 기존 플랜을 엎어버린 후 현재와 같은 라인업으로 판을 다시 짠 것이 알려졌다.
  • 이로 인해 지난 대회에 비해 참가자들의 티어가 확 낮아졌다. C급이였던 빅헤드, 치킨쿤, 네클릿이 A티어 팀장으로 참여했으며, 발로란트를 플레이한 경험이 전혀 없는 참가자들도 상당수다. 2023년에 대회 티어 분리를 해야 된다는 말이 나왔던을 감안하면 극적인 변화를 맞은 셈이다. 지난 이벤트성 대회였던 따효니배 발낮대와 비슷하거나 좀 더 낮은 수준.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수준 저하를 우려하면서도 뉴페이스들의 신선한 모습을 볼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으며, 이번 대회를 통해 대회 고정 멤버와 스트리머 내전 멤버를 발굴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희망적인 예측도 있다.[6]
  • 명단 공개 첫날 참가자들 일부가 자체적으로 발로 내전을 열었다. 네클릿이 음주와 격무에 시달린 탓에 컨디션이 매우 좋지 않은 상태로 참여해 파멸적인 저점을 보였고 B티어는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잘 맞는다는 평이다. Y티어에서는 기본기가 탄탄한 계춘회, 연리, 루다가 상위 매물로 꼽히고 있다.
  • 이번 발낳대의 전체적인 수준이 낮아지다보니 팀장들의 부담감이 확 늘어났는데 전체적으로 발로란트 이해도가 떨어지는 편이며 이해도가 아예 없는 사람들도 꽤 있는 편이다보니 지난 대회에서 발로란트에 대해 배운 현팀장들이 재대로 풀리면 상황에 따라서는 1대5도 가능한 상황이 나올정도이며 레벨 차이가 너무 심하다는 얘기도 있을정도. 그렇다보니 지난 발낳대 코치 및 A티어에게 조력을 요청하는 팀장들도 있는 편이다.

9.1. 팀원 경매 및 연습 기간

  • 뉴페이스 다수에 경매 경험이 없는 감독들까지 일반적인 경매였어도 어려울 조건을 덕지덕지 달고있는데 순서까지 초 고난이도로 떠버리며 빅헤드 10포, 치킨쿤 5포, 소우릎 415포 등 장마철의 시작을 알리듯 번개폭풍이 휘몰아쳤지만 크포가 자신이 치킨쿤을 못가져간다는 걸 빠르게 깨닫고 상위권 유스매물을 쓸어담는다는 최선의 판단을 내리고 발낳대 경험자인 행돌이 적절한 포인트 방해를 한결과 결과적으로만 보면 1강팀은 보이나 압도적 최강/최약은 없는 결과가 나오며 어째어째 밸런스가 잘 맞아보이는 경매로 마무리되었다.
  • 첫날부터 모든 팀이 스크림에서 1승을 거두며 '첫 스크림은 무조건 전패팀이 발생한다'는 징크스가 깨졌다.
  • 3일차 힐링캠프 멤버들[7][8]이 비선별인원으로 행돌, 크포팀의 스크림 지원을 해주었다. 다만 행돌팀과의 스크림 중에서는 -김뿡이- 힘 조절하여 경기를 진행했지만 그 뒤 있던 크포팀과의 스크림에서는 진심으로 패달라는 귓말을 받고 13:2로 과하게 패버린 나머지 김뿡이 빠지고 그 자리에 임나은이 들어왔다. 여담으로 급하게 팀이 짜여지고 신규 맵에 대한 정보 부족 이슈에 요원 조합도 스크림팀의 요청에 맞춰 진행했지만 그동안 다져진 내전에서의 힘으로 인해 상당한 차이를 보여준 힐캠멤버들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9.2. 대회 기간


[리그] 발로란트 크리에이터 슈퍼매치(VCSM), 코치 발할라(CV), 버츄얼 발로란트 리그(VVL)[리그] [3] 내전에서 가장 고평가 받았던 유스 4인방인 고수달, 소우릎, 연리, 계춘회 중에서 2명을 데려왔다.[4] 지누는 섭외 및 일일코치로 비선별인원쪽으로 갔다.[5] 발낳대 역시 2023년 대회부터 과몰입이 점차 심해지고 있었다. 실제 롤 자낳대의 과몰입 현상의 여파로 인해 바로 이어서 했던 배그 자낳대의 경우 공식적인 신청까지 받았음에도 마감일 전날까지 참가인원을 다 채우지 못하는 일도 발생했었다[6] 인챈트 이사인 네클릿 역시 이번 발낳대에 참여한 인원들은 다음 발낳대 섭외 시 우선적으로 연락을 할 것이라는 언급을 하였다.[7] 이춘향, 탬탬버린, 삐부, 마뫄[8] 김뿡이 합방중인 힐캠멤버들을 섭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