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횡축 | 22 여수 - 순천 · 28 영주 - 동해 · 30 사천 - 대구 · 32 대전 - 문경 · 56 김포 - 인제 · 58 나주 - 부산 · 60 무안 - 기장 · 68 서천 - 경주 · 70 청양 - 춘천 · 78 김포 - 포천 · 82 평택 - 평창 · 84 강화 - 원주 · 86 남양주 - 춘천 · 88 하남 - 영양 · 96 태안 - 청주 |
종축 | 13 신지 - 완도 · 15 고흥 - 영광 · 20 포항 - 영덕 · 23 천안 - 서울 · 37 남원 - 거창 · 39 양주 - 동두천 · 49 해남 - 원주 · 55 해남 - 금산 · 57 대전 - 안양 · 67 통영 - 칠곡 · 69 부산 - 울진 · 79 창녕 - 안동 · 97 서귀포 - 제주 · 99 서귀포 - 제주 |
순환 | 90 울릉 · 98 수도권 |
고속국도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도로 | 지방도 | 90 | ||
버스 | 농어촌버스 | 울릉군 농어촌버스 · 도동버스승강장 · 천부정류장 · 남양버스승강장 | |||
여객해운 | 사동항, 저동항, 도동항 | ||||
항공 | 2027년 개통 예정 |
경상북도의 교통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43f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43fb7>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43fb7>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간령길 | |
ㄴ | 나리길 · 남서길 · 남양길 | ||
ㄷ | 독도안용복길 · 독도이사부길ㆍ도동길 | ||
ㅁ | 무릉길 | ||
ㅂ | 봉래길 | ||
ㅅ | 사동2길 · 서달길 · 석포길 · 신리길 | ||
ㅇ | 옥천길 · 울릉순환로 | ||
ㅈ | 저동1길 · 저동2길 · 저동3길 · 저동4길 · 죽암길 · 중령길 | ||
ㅊ | 천년포길 · 천부길 · 추산길 | ||
ㅌ | 통구미길 · 태하길 · 태하령길 | ||
ㅍ | 평리길 | ||
ㅎ | 행남길 | ||
경상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울릉순환로 鬱陵循環路 | Ulleungsunhwan-ro (Ulleung Beltway) | ||
기 점 | 90번 지방도 | 종 점 |
노선 번호 | ||
90번 지방도 | ||
기/종점 |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교차로 | ||
연장 | ||
44.5km | ||
관리 | ||
경상북도 | ||
왕복 차로 수 | ||
1~2차로 | ||
주요 경유지 | ||
내수전(저동리) - 도동리 - 남서리 - 천부리 - 내수전 |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은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국가지원지방도이며, 일명 "울릉도 일주도로"라고도 부른다. 도로명 주소로는 울릉순환로에 속한다. 도로 사업 계획이 확정된 지 55년 만인 2018년 12월 28일 완전히 개통되었고, 2019년 3월 29일에 정식 개통했다. 도로명 그대로 울릉도를 한 바퀴 도는 일주도로이며, 이 도로를 달리면서 울릉도를 한 바퀴 돌면서 감상할 수 있다. 가장 긴 터널은 와달리터널로 무려 1,955m에 달한다. 전 구간 최고제한속도는 40km/h이다.
2. 역사
1963년 3월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일주도로 사업계획이 확정된 후 1976년 8월 착공을 시작해 계속하여 공사를 이어오다 2001년 내수전-섬목 구간을 제외한 39.8km가 연결되었다. 하지만 최악의 난공사 구간[1]인 내수전-섬목 구간 4.4km가 개통되지 못한 채 경상북도의 지방 예산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자, 울릉도 주민들은 이 도로의 국도 승격을 요구해왔었다. 2008년 이전에는 926번 지방도[2]였으나, 이 해에서야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어 90번 지방도로 변경되었고, 기존 도로 및 미개통 구간에 대한 정부 예산이 반영되었다.그리고 2011년 11월 무려 10년 만에 내수전-섬목 구간의 공사를 재개했다. 그리고 7년 만인 2018년 12월 28일에 울릉 일주도로 미개통 구간, 내수전~섬목 구간의 공사가 완료되면서 임시 개통하였으며, 2019년 3월 29일에 전 구간 정식 개통했다. 무려 55년 만에 일주도로 공사를 마친 것이다. 2019년 5월 6일, 울릉도 일주도로 전구간 개통과 관련한 다큐멘터리, 〈55년의 길 세 사람의 섬〉이 KBS1에서 방영되었다.
개통 후 울릉읍 저동리에서 북면 천부리간 1시간 30분 이상 걸리던 통행시간이 10분으로 크게 줄었고[3] 북면 지역의 도동, 저동 접근성이 혁명에 가깝게 좋아졌을 뿐 아니라 최신 스타일로 지은 구간이라 그 어느 구간보다 운전하기 좋다. 한편 옛 종점인 섬목에는 휴게소 같은 건물이 하나 있었으나 터널을 내면서 철거되었다. 대신 와달리터널과 내수동터널 사이에 와달리휴게소가 설치되었다.
차후 공사 초기에 개통된 20km 남짓한 폭 좁은 구간들의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가두봉 인근에서의 울릉공항 공사로 인해 일주도로가 사라지는 것을 대체하기 위한 '공항터널(사동터널)'이 2022년 7월 6일 임시개통, 10월 초 완전개통을 하였으며 그보다 앞서 2022년 4월 가두봉 지역에서 이어진 서면 통구미~남양~남서 쪽도 마을 안에서 좁게 지나갔던 편도 1차로 옛 터널 대신 왕복 2차로의 새 터널[4]이 생기는 등 전 구간을 왕복 2차로+직선화로 확장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 특징
울릉도의 자연 환경 특성상 터널 및 교량 구간이 많다. 도로 대부분 구간은 중앙선이 잘 안보일 뿐 왕복 2차로로 건설되어 있지만 종종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단선으로 운행되는 구간들은 교행용 적녹 신호등이 있다. 즉 한쪽에서 빨간불이 들어오면 반대편 차선에서 차가 올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한다. 녹색 신호일 때만(이 때 반대편은 적색 신호) 터널에 진입할 수 있다. 과거에는 남양터널, 통구미터널 등에 적황녹 신호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적녹신호등만 운영되고 있으며, 터널이 아니어도 도동 입구 같은 몇몇 상습 공사구간에는 신호등이 있으니 방심하지 말고 주의깊게 살피며 다녀야 한다. 게다가 섬목-선창 구간에는 자연동굴을 통과하는 단선구간이 신호등도 없이 반사경만 갖추고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단선 구간이 짧을 경우 신호등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똬리를 틀듯 입체 나선형으로 올라가는 고개 구간이 있는 등 육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도로 특징들이 많다.암벽 바로 옆에 개설된 도로이기에 빈번한 낙석 피해에 취약해 아래와 같은 사고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 2007년 울릉경찰서 서면파출소 소속 경찰관이 남양터널 부근 악천후로 인한 낙석 현장 수습을 위해 공무를 수행하던 중 낙석사고로 인해 순직했다.
- 2020년 태풍 마이삭 영향의 폭풍해일로 인해 남양터널에 무게 50t의 테트라포드가 밀려오기도 했다.
- 2023년 9월 24일 새벽 북면 현포리 현포항~평리 구간(현포피암터널 진입 전)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현재 처리 중이다. 직전까지 약 150mm에 가까운 비가 내리면서 지반이 약해진 상황에서 약 2만t이 넘는 토사가 유출되면서 완전 복구하는데, 2~3일 정도 걸릴 전망이다.
이 외에 파도가 강해[5] 통행이 위험할 때 종종 통제되기도 한다.
4. 주행영상
[1] 화산섬이기에 지반이 연약했던 데다가 너무 가파른 암반 산악지대와 해안절벽의 2중고로 자재 수급선이 접근하지 못해 공사가 중지되기 일쑤였다고 한다.[2] 현재도 상당수 지도 및 도로 내 교차로 표지판에서 926번 지방도로 표기된 모습을 볼 수 있다.[3] 일주도로 개통 이전에는 저동-섬목 선창 간에 카페리가 다녔다. 2001년 당시 게릴라 콘서트에 출연한 김현정이 울릉도에 가서 콘서트를 홍보했을 때에도 일정을 맞추기 위해 이 카페리를 이용했다.[4] 네이버 지도 거리뷰에는 2022년 6월에 이미 새 터널로 차가 다니고, 옛 터널은 폐쇄된 상태가 찍혔다.[5] 말 그대로 파도가 도로까지 올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