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5:09:06

69번 지방도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국가지원지방도
횡축 20 · 22 · 28 · 30 · 32 · 56 · 58 · 60 · 68 · 70 · 78 · 82 · 84 · 86 · 88 · 96
종축 13 · 15 · 23 · 37 · 39 · 49 · 55 · 57 · 67 · 69 · 79 · 97 · 99
순환 90 · 98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69
국가지원지방도 69호선
Local Highway Route 69

}}}
시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성산삼거리
종점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총 구간 250.7km
경유지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산시, 영천시
경상북도 포항시, 영덕군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 경상북도 울진군을 잇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구간은 부산신항배후도로라서 왕복 8차선으로 쭉쭉 뚫려 있다. 그러나 이후 왕복 2차선의 일반적인 시골 도로로 변하고, 포항시부터 울진군까지는 아래 노선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도로 상태가 59번 국도가 애교로 보일 정도로 차 한대 겨우 지나거나 비포장 도로도 중간중간 있다. 여기는 지방도로 표시되지 않는 구간이 많다. 양산부터 울진까지 태백산맥을 정통으로 관통하는 선형이 특징.

포항 - 울진 구간은 7번 국도의 내륙 버전이나 중간중간에 1차로, 비포장도로, 시멘트 포장길이 많아 7번 국도의 우회로 역할을 하나도 하지 못한다.

이후 2016년 제4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에 비포장 구간들이 사업 대상으로 채택되었고, 현재는 비포장 전 구간이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도로 설계과정에 들어갔다.

기점이 부산이고 종점이 울진이지만 바다는 전혀 볼 수 없다. 기점은 부산 남해에서 10km 떨어진 강서구 생곡동 세산교차로이며, 포항 ~ 영덕 ~ 울진 구간은 싹다 내륙 구간만 지나고, 종점인 매화교차로는 바다와 약 4km 정도 떨어져 있는 곳이다.

2. 노선

2.1. 부산광역시

2.1.1. 강서구

2.2. 경상남도

2.2.1. 김해시

  • 서낙동로
  • 동북로

    • 낙동강 옆을 따라 달린다.
      상동면 여차리에서 갑자기 노선번호가 60번으로 바뀐다. 원래 여차리에서 낙동강 건너편 원동면 원리까지 교량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2023년 현재 교량이 없다. 아직 계획으로만 존재하고 착공이 언제 될지 알 수 없으므로 69번 지방도 일주 중이었다면 낙동강을 헤엄쳐 건너가거나[1] 60번 지방도 - 58번 국도 - 삼랑진 - 1022번 지방도로 우회해야 한다. 혹은 상동IC에서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를 타고 삼랑진IC에서 빠져나와서 일주를 계속하던가. 단, 삼랑진 쪽으로 우회시 삼랑진-원동간 도로가 급커브에 헤어핀 천지라 운전에 주의해야 한다.

2.2.2. 양산시

  • 원동로
  • 배내로

    • 고점교
      배내계곡 옆을 따라 달린다. 각종 펜션들이 즐비하다. 그렇게 가다보면 양산과 울산경계가 나온다.
      함양울산고속도로 배내골IC - 울산 방면 진출입만 가능하며 밀양-창녕-함양 방면은 불가.
      양산-울산 경계

2.3. 울산광역시

2.3.1. 울주군

2.4. 경상북도

2.4.1. 청도군

  • 운문로

    • 가지산도립공원 구간 종료
      삼계계곡 - 물 맑은 곳으로 유명하여 여름에는 주차대란이 발생한다. 여름에 운전시 불법주차 차량이 많으므로 조심해서 가자.
      운문사를 통과한다.
  • 청려로

    • 운문호 옆을 달리다가 운문면소재지 대천삼거리에서 20번 국도에 합류한다. 운문면과 금천면 구간은 산지 그자체인 산동 지역을 지나는 한줄기 빛 중 하나다.[2]
      동곡재 - 경사가 심해 주의해서 운전해야 한다.
  • 금천로

    • 금천면 동곡네거리에서 20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3]
      여기서부터는 다시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갈고개 (청도군과 경산시의 경계)

2.4.2. 경산시

2.4.3. 영천시

  • 대경로
    교대사거리에서 909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금호교차로에서 35번 국도가 합류한다.
    냉천교차로에서 우측으로 빠진다. 영천시내 방면으로 좌회전하자.
  • 금호로
    대구선 밑을 지난다.
    원재삼거리
  • 최무선로
    중앙선 밑을 지난다.
    서문육거리. 영천시내 중심이라 출퇴근시간에는 정체가 꽤 심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영천시내 통과.
    시청오거리 - 영동교 북단이다.
  • 호국로
    신망정메디컬사거리에서 921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조교삼거리가 나오며 여기서는 좌회전하자. 직진하면 창하, 고경을 지나 안강읍포항시로 가게 된다.
  • 포은로
    상주영천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동영천IC가 있다.
    임고면 임고교차로에서 28번 국도와 교차한다.
    임고서원교차로에서 921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이후 임고IC가 나오는데 원래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교차하지만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4] 지역 주민들은 임고 나들목의 설치를 요구하였으나 경제성 문제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하이패스 IC 제도가 도입된 이후 유지비가 적은 하이패스 IC의 형태로 설치해 달라는 요구가 있다. 2019년 현재 임고IC가 개통되었다.[5]
    임고IC를 지나마자 영천댐 구간이 시작되며, 영천댐부터 자양면의 영천댐 끝까지 영천댐을 크게 한 바퀴 돈다. 영천댐으로 인해 도로가 꼬불꼬불하므로 주의해서 지나가자. 충효리에서 영천댐 구역이 끝난다.

2.4.4. 포항시

  • 포은로
  • 새마을로
  • 죽장로

    • 죽장면 입암리 죽장삼거리에서 31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가사령
      죽장면 상옥리에서 921번 지방도와 만난다.(921번 지방도의 종점) 여기서는 좌회전하자.
      죽장면 상옥리 당평교 앞에서 68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역시 좌회전하자.
      죽장면 상옥리 상옥주유소 앞에서 68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여기서는 우회전해야하며, 계속 직진시 통점재 넘어 청송군으로 가게 된다.
      고갯길이 하나 나타나고 계곡을 따라 쭉 달리는데, 어느 순간부터 차선이 하나로 줄어든다. 여기서부터는 악으로 깡으로 가야한다 해당 구간은 영천시내 구간과 함께 지방도로 표시되지 않으며, 다행히도 아스팔트 포장은 되어 있으나 하옥리 구간 중간에 짧게나마 비포장 구간이 존재한다.[6]
      이후 옥녀교가 나오는데, 원래는 옥녀교를 건너고 다리 하나를 더 건너서 930번 지방도에 합류해야 하지만 현재 옥녀교만 개통되어 있고 두 번째 다리는 미개통 상태이다. 이유는 옆의 정자 때문으로 추측된다. 우측의 비포장 샛길을 통해 둑을 건너서 930번 지방도에 합류해야 한다. 우천시에는 범람하므로 도로 통행이 통제되기에 통점재 넘어 청송 쪽으로 한참 우회해야 한다. 실제로 옥녀교 앞 삼거리에서 옥녀교 방면은 길이 없으니 통행하지 말라고 되어 있고 우회전해서 영덕으로 가라고 나와 있다.

2.4.5. 영덕군

  • 팔각산로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930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하천 때문에 길이 꼬불꼬불하므로 주의해서 운전하자.
    이름없는 삼거리에서 914번 지방도와 만난다. 좌회전하자.
    흥기교
    당진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다.(영덕IC 이용)
    대지삼거리에서 914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69번 지방도 방면은 우회전하자.[7]
    지품면 신양삼거리에서 34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경동로
    당진영덕고속도로와 평행하게 가지만 나들목은 없다.
  • 지영로
    지품면소재지에서 34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여기서부터 다시 지방도 구간으로 표기되지 않는다.
    도계2리경로당부터 비포장이었지만 콘크리트로 포장되었다. 서항목재라는 고개가 있는데 악으로 깡으로 근성으로 넘어가자.
    고개를 넘어가면 영해면 대리이다. 대리교가 보이면 우회전하자. 여기서부터는 다시 아스팔트 포장 구간이다.
  • 대동로
    2020년 현재는 비포장 구간과 2차선 구간이 뒤섞여 있는데, 비포장 구간의 왕복 2차선 확장 공사가 진행중이다. 영해면 원구리에서 918번 지방도와 만난다. 좌회전하자. 이 길은 대동이라는 마을의 유일한 진입로라 그런지 버스도 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며 현재 전국에서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몇 안 남은 버스다.
  • 오서로
    창수면소재지에서 918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우회전하자. 이 길은 네이버 지도에는 920번 지방도로 나와있다. 쭉 따라 달리자. 삼계리에 도착하면 이제 오서로와는 헤어져야 한다.
  • 온정로
    네이버 지도의 2020년 04월 거리뷰 기준 비포[8]이며 일부 구간은 확장공사가 진행중이다. 주의해서 지나가자. 현재는 삼계6교도 개통되고 고개 초입까지 포장이 완료된 상태다. '원수목이'라고 하는 고개를 넘어야 한다. 해당 구간은 지방도로 표시되지 않는다.

2.4.6. 울진군

  • 온정로
    고개를 다 내려오면 드디어 포장된 920번 지방도가 보이기 시작한다. 따라 달리자. 온정면소재지 근처에서 88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관광지로 백암온천이 있다.
    더티재라는 고개를 넘는다.
  • 온매로
    온정면 외선미리에서 88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우회전하자.[9] 콘크리트로 포장된 좁은 1차선 도로이며 매화면구간에서 아스팔트 포장으로 바뀐다. 2020년 10월 설계용역이 끝난 상태.
    원남면소재지에서 7번 국도를 만나며 69번 지방도 구간은 끝난다.

3. 고속도로 접속 여부

세산교차로를 벗어나 해포에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가락IC와 교차하며, 불암동에서는 남해고속도로 본선과 교차하나 나들목은 없다. 이후 중앙고속도로 초정IC와는 간접교차, 대동IC와는 직접교차한다. 이후 현재는 길이 없지만 원동역을 지나면 급커브길을 지나 언양 쪽으로 올라가면 함양울산고속도로 배내골IC와 교차한다. 이후 경산까지는 고속도로 음영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교차하자 않고, 진량에서 경부고속도로 경산IC919번 지방도를 통해 간접교차한다. 이후 영천 망정에서 상주영천고속도로 동영천IC와 교차하고, 임고에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임고IC와 교차한다. 이후 부터는 고속도로 음영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고속도로와 교차하지 않는다.

4. 국도 교차

김해시 불암동에서 14번 국도와 교차하면서 국도와 처음 교차한다. 이후 상북면에서 24번 국도와 교차하고, 대천~동곡 구간에서는 20번 국도와 같이 간다. 이후 하양~영천은 4번 국도와 같이 가고, 금호에서 35번 국도와 교차하고 영천에서 28번 국도와 교차하며 죽장에선 31번 국도와 교차한다. 지품에서는 34번 국도와 교차하고 온정에서 88번 국도와 교차하며 마지막으로 매화에서 7번 국도와 교차하면서 끝난다.


[1] 넓은 강을 수영한다는 것 자체가 미친 짓이며 거기다가 김해 쪽의 낙동강은 이미 여러 오염물질이 포함된 상태이기 때문에 피부병이나 장염, 장티푸스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2] 다른 하나는 20번 국도.[3] 20번 국도가 운문댐 북부를 지난다면 이 지방도는 남부를 지난다.[4] 이 때문에 인근 35번 국도와 교차하는 북영천IC를 이용하여야 했다.[5] 다만 포항방향으로는 진입이 불가능하며, 포항에서 오는 방향에서도 진출이 불가능하다. 오직 대구 방향으로만 진입, 진출이 가능하다.[6] 1994년까지 존재했던 옛 923번 지방도 구간이며 1995년 지방도 개편되면서 69번 국지도로 바뀌어졌다. 현재도 923번 지방도는 존재하나 성주 선남 ~ 칠곡 기산 ~ 왜관 ~ 석적 ~ 가산 ~ 구미 장천 ~ 산동 ~ 군위 소보 ~ 의성 구천 ~ 의성 안계 ~ 의성 다인 ~ 예천 풍양 ~ 문경 영순 ~ 문경 산북 ~ 문경읍으로 현재의 선형과는 완전히 다르다.[7] 직진시 주왕산, 청송군으로 간다.[8] 참고로 두 번째에선 다른 비포장도로가 보이는데 해당 길은 2020년 4월 기준 바리케이드로 막고 있다.[9] 직진시 그 악명높은 구주령을 넘어 영양군 수비면으로 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