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6:28:03

Ai(유희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희왕 VRAINS의 등장인물이자 이 카드군의 사용자에 대한 내용은 아이(유희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이그니스터
,
,
,
,
,

아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이그니스터 · Ai
핵심 마법 카드 에이스 몬스터 최종 몬스터
이그니스터 Ai랜드
Ai우치
저지먼트 애로우즈
링크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
의식
워터 리바이어던@이그니스터
융합
어스 골렘@이그니스터
싱크로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엑시즈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
}}}}}}}}} ||
한글판 명칭 [ruby(Ai, ruby=아이)]
일본판 명칭 [ruby(Ai, ruby=アイ)]
영어판 명칭 A.I.

1. 개요2. 마법 카드3. 함정 카드4. OCG화되지 않은 카드
4.1. 마법 카드
4.1.1. AiAi월4.1.2. Ai마인4.1.3. 필살의 공간-Ai-4.1.4. 유즈리-Ai-
4.2. 함정 카드
4.2.1. Ai의 찬가4.2.2. -Ai-사츠

1. 개요

@이그니스터를 지원하는 마법 / 함정 카드군.

카드명에는 물론이고 모든 일러스트에 여러 가지 모습의 아이가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모습을 카드 일러스트에 묘사될 경우 경투-크로스 디멘션처럼 '누군지는 알 수 있지만 확실히 보여주진 않는다'정도로 묘사되는걸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캐릭터 자체가 그대로 나온다. 다만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아이의 인간형 모습은 하나도 등장하지 않았고 어디까지나 이그니스로서의 모습만 나온다.

카드명은 "아이"가 들어가는 단어를 사용한 일본어 말장난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글판은 말장난 살리기를 포기하고 직역한 반면, 영어판은 카드명을 영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이 말장난을 살렸다.

영어판에서는 "A.I."라는 표기를 사용한다.

2. 마법 카드

2.1. 이그니스터 Ai랜드

2.2. Ai우치

2.3. Ai들링 본

2.4. Ai러브 융합

2.5. Ai의 의식

2.6. Ai-콘택트

2.7. 메구리-Ai-

2.8. 유우-Ai-

2.9. 키-Ai-

3. 함정 카드

3.1. Ai섀도우

3.2. Ai-Q

3.3. 하타시-Ai-

3.4. Ai-쇼

4. OCG화되지 않은 카드

4.1. 마법 카드

4.1.1. AiAi월

파일:AiAi월.png
한글판 명칭 [ruby(AiAi, ruby=아이아이)]월
일어판 명칭 [ruby(AiAi, ruby=アイアイ)]ウォール
영어판 명칭 Ai Ai Wall
지속 마법
①: 자신 필드의 화염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링크 마커의 수만큼 이 카드에 카운터를 놓는다.
②: 이 카드에 카운터가 놓여있을 경우,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이 카드는 상대의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고,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양쪽 플레이어는 공격할 수 없다.
●1턴에 1번, 상대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에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자신 / 상대 엔드 페이즈에,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그림자는 카드명에서 알 수 있듯이 아이.

전체적인 효과는 록 덱에서 쓰일 법한 공격 봉인 효과. 실제로 아이는 자신의 분신을 보내 시간끌기용 카드로 사용해 Playmaker, Soulburner, 리볼버 3명의 발목을 잡았다.

카운터가 있는 한 상대 카드에 대한 강력한 내성이 부여되지만 카운터가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 턴까지 세어서 소모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봉인 턴 수는 짧다. 그리고 카운터가 사라지는 순간 공격 봉인 효과나 내성, 그리고 카운터를 쌓는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쓸모가 없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물론 카운터가 없더라도 자괴되는 건 아니기에 다른 카드를 이용해 카운터를 쌓기만 하면 다시 효과가 돌아온다.

현재 @이그니스터 몬스터 중에서는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만 이 카드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굳이 화염 속성 몬스터를 효과 대상으로 하고 카드명에 Ai가 2번이나 들어간 것으로 봐서는[1] 모티브는 파이어월로 추정된다.

4.1.2. Ai마인

파일:1000004983.png
한글판 명칭 [ruby(Ai, ruby=아이)]마인
일어판 명칭 [ruby(Ai, ruby=アイ)]マイン
영어판 명칭 Ai Mine
일반 마법
①: 자신 필드에 링크 3 이상의 "@(앳)이그니스터"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링크 3 이상의 "@(앳)이그니스터" 링크 몬스터의 종류만큼 덱에서 드로우한다.
애매의 일본어 독음인 아이마이와, 영단어 1인칭 대명사 아이(I)의 소유대명사 형태인 마인(Mine)의 말장난이다.

현재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가 이 효과 범위에 들어간다.

아이가 판도르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다크나이트와 파이어피닉스를 소환한 후 이 카드로 2장을 드로우했다.

4.1.3. 필살의 공간-Ai-

파일:필살의 공간 Ai.png
한글판 명칭 필살의 공간-[ruby(Ai, ruby=아이)]-
일어판 명칭 [ruby(必殺, ruby=ひっさつ)]の[ruby(間, ruby=ま)]-[ruby(Ai, ruby=アイ)]-
영어판 명칭 TAimed Technique
속공 마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 / 상대 배틀 페이즈에,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자신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과,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메인 몬스터 존의 링크 몬스터와, 그 링크 마커의 수까지의 상대의 패를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제외하고, 대상의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몬스터를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한다.
②: 상대 배틀 페이즈의 1번째의 전투가 링크 몬스터끼리의 전투가 될 경우, 그 공격 선언시에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무사 옷을 입은 아이가 검을 휘두르는 모습이 그려진 카드. 이름의 어원은 간격을 뜻하는 일본어 '마아이'에서 따온 것 같은데, 이름처럼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시키면 필살에 가까운 효과를 발휘한다.

1번 효과로 2장 있었던 블루 메이든의 패를 전부 제외해 마린세스 마블드 록의 전투 데미지 / 파괴 방어 효과를 차단했다. 메인 몬스터 존 링크 몬스터를 바친 일시적 핸드 데스 효과는 말할 필요도 없이 강력하고[2], 메인 존 쪽은 링크 몬스터, 엑스트라 존 쪽은 @이그니스터를 요구하기 때문에 좌우 링크 마커를 가져 엑스트라 덱 전개를 도와주는 파이어피닉스@나 디 어라이벌@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2번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되며 상대 배틀 페이즈를 강제 종료하는 효과. 단 상대가 처음 공격할 때 링크 몬스터 VS 링크 몬스터로 공격 선언한 순간에만 발동 가능해서 좀 어렵다.

엑스트라 덱을 아예 버린 컨셉이 아니라면 링크 몬스터를 안 쓰기가 매우 어려웠던 신 마스터 룰 당시에 OCG화되었다면 꽤 쓰였을 것 같지만, 융합 / 싱크로 / 엑시즈의 링크 마커 제한이 풀린 현재는 OCG화되어도 사용이 까다로울 것으로 보인다.

4.1.4. 유즈리-Ai-

파일:유즈리.png
한글판 명칭 유즈리-[ruby(Ai, ruby=아이)]-
일어판 명칭 ゆずり-Ai-
영어판 명칭 CompromA.I.se
지속 마법
①: "유즈리-Ai(아이)-"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③: 1턴에 1번,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VRAINS 117화에서 아이Playmaker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이그니스터 몬스터 1장을 지속 마법으로 취급해 마법 & 함정 존으로 옮겨 몬스터 존을 더 쓸 수 있게 하고 추가 전개로 원상복귀시키는 효과를 지녔다.

아이는 이 카드를 사용해 드용을 지속 마법으로 놓고 이그니스터 Ai랜드로 피카리를 특수 소환해 전개를 이어나갔다.

일러스트는 아이가 킹 고블린의 행차를 위해 드싱을 옮기는 모습.

4.2. 함정 카드

4.2.1. Ai의 찬가

파일:AisHymn-JP-Anime-VR.png
한글판 명칭 [ruby(Ai, ruby=아이)]의 찬가
일어판 명칭 [ruby(Ai, ruby=アイ)]の[ruby(賛歌, ruby=さんか)]
영어판 명칭 Ai's Hymn'
일반 함정
①: 자신 필드의 "@(앳)이그니스터"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수치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자신 묘지의 "@(앳)이그니스터" 몬스터의 수 × 200 LP 회복한다.
하얀 정장을 입은 아이가 벼랑 위에서 노래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함정 카드.

작중에서는 2번 효과밖에 쓰지 않았다.

4.2.2. -Ai-사츠

파일:-Ai-사츠.png
한글판 명칭 -[ruby(Ai, ruby=아이)]-사츠
일어판 명칭 -[ruby(Ai, ruby=アイ)]-サツ
영어판 명칭 HAi
일반 함정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은 상대 턴에 1번, 몬스터끼리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를 실행하는 2장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차이만큼의 배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그 후, 그 상대의 공격 몬스터를 파괴한다.
왼손에 뿅망치를 든 채 뒷짐 지고 웃으며 인사하는 아이가 그려져 있다. 카드명은 인사를 뜻하는 일어 "아이사츠"의 말장난. "사츠"는 죽일 살(殺)의 음독이기도 하며 일러스트도 이를 암시한다.

111화에서 발동해 블루 메이든과 자이젠 아키라에게 역전승을 거뒀다.

상대 턴에 효과 데미지를 입고 뒤이어 공격까지 당하는 타이밍에 역공을 가하는 그야말로 함정 카드의 전형. 두 몬스터의 공격력이 4000 이상 차이나면 현실에서도 원턴킬이 가능하고, 안 쓰러졌으면 공격 몬스터를 날려버리기까지 한다.


[1] '파이어'는 일본어(ファイア)와 영어(Fire)로 표기했을 때 둘 다 4글자다.[2] 게다가 파괴도 버리기도 묘지보내기도 아닌 제외라 암흑계, 섀도르, 미계역 등의 효과도 발동할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