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7:12:05

CFP 프랑/폴리네시아

오세아니아의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연방준비제도 휘장.svg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파일:팔라우 국기.svg
파일:괌 기.svg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 달러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팔라우)
( ,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령 사모아)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투발루 국기.svg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파일:나우루 국기.svg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파일:크리스마스 섬 기.svg 파일:노퍽 섬 기.svg
호주 달러
(투발루, 키리바시, 나우루)
(코코스 제도, 크리스마스 섬, 노퍽 섬)파일:호주 원형.pn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쿡 제도 기.svg 파일:니우에 기.svg
파일:핏케언 제도 기.svg
뉴질랜드 달러
(쿡 제도, 니우에)파일:뉴질랜드 원형.png
(핏케언 제도)파일:영국 원형 국기.svg
파일:IEOM 로고.svg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파일:피지 국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누벨칼레도니, 왈리스 푸투나)파일:프랑스 원형.png
피지 달러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부건빌 주기.svg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키나
(파푸아뉴기니, 부건빌파일:pg-circle-01.png)
솔로몬 제도 달러 바누아투 바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파일:통가 국기.svg 파일:서파푸아 국기.svg 파일:이스터 섬 기.svg
사모아 탈라 통가 파앙가 인도네시아 루피아
(서뉴기니파일:flag-round-250.png)
칠레 페소
(이스터 섬파일:칠레 원형.png)
}}}}}}}}} ||
단일통화 (Single Currency)
유로 CFA 프랑/서아프리카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CFP 프랑/폴리네시아 동카리브 달러 카리브 길더


Comptoirs Français du Pacifique(프랑스령 태평양 금융 계약)[1]

파일:IEOM 로고.svg

1. 개요2. 환율 및 환전3. 지폐
3.1. 1969 ~ 20133.2. 2014~(현행권)
4. 주화

1. 개요

프랑스의 태평양 지역 해외공동체인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누벨칼레도니, 왈리스 푸투나에서 사용하는 통화.

ISO 4217 코드는 XPF이며 기호는 F, 보조단위는 상팀이었으나 현재는 폐지.

발행은 파리의 IEOM(해외발행연구소)[2]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다른 통화와 구분할 때는 세파 프랑, CFA 프랑과 구분할 때 혹은 일반적으로 폴리네시아 프랑이라고 할 때도 있다.

2. 환율 및 환전

환율은 유로[3]페그되어 있다. 비율은 1유로에 약 120 XPF이며 정확히는 119.3317 XPF. 현재 환율 기준 1프랑에 약 13원.

이 통화를 보유했다면 KEB하나은행에서 비고시 취급하므로 추심을 요청해야 3주 안에 돈을 받을 수 있으며 국내에 돌아오기 전에 해당 공항에서 다른 화폐로 바꿔와야 한다.

2022년 12월 6일 기준으로 환전이 가능한 외국 통화 목록이다.

아래에 목록이 있어도 일부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타히티 은행
SG-BDP은행

3. 지폐

3.1. 1969 ~ 2013

CFA 프랑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프랑의 약세로 인해 통화분리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첫 발행 당시에는 바누아투(뉴헤브리디스)도 일부가 프랑스령[4]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이 통화를 사용했으나 1980년에 독립하고 2년 후 바누아투 바투로 전환하면서 탈락했다.

1985년 이전에는 폴리네시아, 칼레도니, 헤브리디스 세 지역의 통화가 첨쇄를 통해 분리되었었다. 이를테면 폴리네시아는 파페에테, 칼레도니아는 누메아, 헤브리디스는 그냥 헤브리디스라는 식.[5] 그러다 1985년에 1만 프랑이 새로 등장했을 땐 첨쇄를 넣지 않고 그냥 발행했는데(동시에 100프랑화는 탈락), 이때부터 모든 통화에 첨쇄 넣는 작업을 중단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01.jpg 100F 기타치는 소녀와 항구 소녀와 마을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02.jpg 500F 어부와 마르키즈섬 남성과 우베아섬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03.jpg 1,000F 소녀와 전통가옥 바오 선교 교회[6]카구, 사슴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04.jpg 5,000F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 페브리에 데포엥트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05.jpg 10,000F 여성과 후아히네섬의 전통가옥 여성과 바닷속 물고기들

3.2. 2014~(현행권)

2014년부터 도입된 신권. 기존의 크고 아름다웠던 구권을 대신한다.

1차권은 2014년 9월까지 통용된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11.jpg 500F 극락조화, 카바 잎 플루메리아 꽃, 타히티치자나무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12.jpg 1,000F 거북, 가오리 카구, 장식머리앵무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13.jpg 5,000F 깃대돔, 배꼽앵무조개 큰양놀래기, 진주조개 속 진주
파일:attachment/CFP 프랑/폴리네시아/cfp14.jpg 10,000F 파레[7], 전통 노 장 마리 티바우 문화센터, 전통 가옥

4. 주화

처음에는 1, 2, 5, 10, 20, 50, 100프랑 7종의 구성이었고 앞면에는 공통으로 프랑스의 상징인 마리안이 들어가 있었다.

그러다가 2021년에 9월에 전반적으로 갈아엎은 새 시리즈를 내놓게 되었는데, 기존의 마리안 대신 물결무늬를 앞면 도안으로 넣었으며 또 1, 2프랑이 삭제되고 새 액면 200프랑이 추가되었다. 이전 시리즈는 2023년 1월까지 통용되었다.

이로써 현재 통용되는 종류는 5, 10, 20, 50, 100, 200프랑의 6종.

파일:Coins French Pacific.jpg


[1] 본래 Colonies Françaises du Pacifique(프랑스령 태평양 식민지)의 약자에서 Communauté Financière du Pacifique(태평양 금융 커뮤니티)를 거쳐 지금의 의미로 정해졌다.[2] 프랑스은행의 총재가 그 수장을 맡으며, 따라서 XPF 지폐에도 프랑스은행 총재의 서명이 담긴다.[3] 유로 이전에는 프랑스 프랑에 페그되어 있었다.[4] 영국과 공동통치를 했다.[5] 왈리스 푸투나의 경우 따로 첨쇄하지 않고 칼레도니아 첨쇄권을 사용했다.[6] 일데팡섬에 있으며 가톨릭 교회이다.[7] 전통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