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04:57:22

Evolution(인피니트 음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max-width: 700px; margin: 0px auto;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 8px; background: #F8C440; color: #000"
[[인피니트(아이돌)|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nopad>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
INFINITE
||
]]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이성열
이성종


{{{#!folding [ 전 멤버 ]
[ 유닛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0> 파일:인피니트H M02 로고.png ||<width=50%> 파일:인피니트F 로고.svg ||
[ 한국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First Invasion.jpg
||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671.jpg
||
파일:Evolution(인피니트 음반).jpg
||
파일:Inspirit.jpg
||
[[First Invasion|First Invas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0/06/09
[[She's Back|She's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0/08/04
[[Evolution(인피니트 음반)|Evolu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8BF80; font-size: 0.865em"]]
2011/01/06
[[Inspirit|Inspiri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31B22; font-size: 0.865em"]]
2011/03/17
파일:external/pic.pimg.tw/1373620165-1993331374_l.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339753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15246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45049_org.jpg
[[Can U Smile|Can U Smil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41F21; font-size: 0.865em"]]
2011/05/09
[[Over The Top(인피니트 음반)|Over The To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64269; font-size: 0.865em"]]
2011/07/21
[[Paradise(인피니트 음반)|Paradis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1/09/26
[[하얀 고백 (Lately)|하얀 고백 (Latel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D1E2A; font-size: 0.865em"]]
2011/12/06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85371_org.jpg
파일:눈물만.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23894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78881_org.jpg
[[Second Invasion|Second Invas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9C2DE; font-size: 0.865em"]]
2012/02/24
[[눈물만|눈물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2/05/08
[[INFINITIZE|INFINITIZ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AC140; font-size: 0.865em"]]
2012/05/15
[[New Challenge|New Challen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3/03/21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92958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03009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56759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68235_org.jpg
[[Destiny(인피니트 음반)|Destin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19753; font-size: 0.865em"]]
2013/07/16
[[Galaxy Music(인피니트)|Galaxy Musi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D1E14; font-size: 0.865em"]]
2013/09/27
[[Season 2|Season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67C52; font-size: 0.865em"]]
2014/05/21
[[Be Back|Be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4/07/22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327888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696433_org.jpg
파일:INFINITE ONLY.jpg
파일:TOP SEED.jpg
[[Reality(인피니트)|Realit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E0E0; font-size: 0.865em"]]
2015/07/13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7/08
[[INFINITE ONLY|INFINITE ONL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11714; font-size: 0.865em"]]
2016/09/19
[[TOP SEED|TOP SEE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DC83; font-size: 0.865em"]]
2018/01/08
파일:CLOCK_앨범쟈켓사진.jpg
파일:13egin.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피니트 Flower.jpg
파일:볼 수 있어 (Sad Loop) Album Cover.jpg
[[CLOCK|C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42424; font-size: 0.865em"]]
2019/02/13
[[13egin|13eg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DB4B; font-size: 0.865em"]]
2023/07/31
[[Flower(인피니트)|Flow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2a885; font-size: 0.865em"]]
2024/06/09
[[볼 수 있어 (Sad Loop)|볼 수 있어 (Sad Loo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5D7FF; font-size: 0.865em"]]
2024/12/25
파일:LIKE INFINITE.jpg
[[LIKE INFINITE|LIKE INFIN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DDBDC; font-size: 0.865em"]]
2025/03/06
스페셜 음반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50447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313220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14054_org.jpg
[[The Origin|The Orig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E0E0; font-size: 0.865em"]]
2014/04/10
[[One Great Step #-s8.1.1 |One Great Step Returns Li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5/04/09
[[INFINITE EFFECT #-s8.1 |INFINITE EFFEC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11/10
}}}
[ 일본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850.jpg
||
파일:infinite_be_mine_jacket.jpg
||
파일:external/from24.files.wordpress.com/111.png
||
파일:external/www.generasia.com/infinite_koi_ni_ochiru_toki_reg.jpg
||
[[BTD(음반)|BT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a7879; font-size: 0.865em"]]
2011/11/19
[[Be Mine(음반)|Be Min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2/04/18
[[She's Back(음반)|She's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B9BCE; font-size: 0.865em"]]
2012/08/29
[[恋に落ちるとき|恋に落ちるとき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160; font-size: 0.865em"]]
2013/06/05
파일: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jpg
파일:인피니트 Dilemma.jpg
파일:24時間.jpg
파일:인피니트 For You.jpg
[[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1a1a1; font-size: 0.865em"]]
2014/07/02
[[Dilemma(인피니트 음반)|Dilemm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bcdcf; font-size: 0.865em"]]
2014/12/24
[[24時間|24時間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bac57; font-size: 0.865em"]]
2015/04/29
[[For You(인피니트)|For Yo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61910; font-size: 0.865em"]]
2015/12/16
파일:D.N.A _ Paradise (Janese ver.).jpg
파일:인피니트 AIR 일본.jpg
[[BEST OF INFINITE|BEST OF INFIN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8/31
[[AIR(음반)|AI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7/05/24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와라! 편의점 OST.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52142_org.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88418_org.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94061_org.jpg
||
[[와라! 편의점(TVA) #s-3.1|ALWAYS OPE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1/12/26
[[엄마가 뭐길래 OST Part.1|환상그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2/10/08
[[애니메이션 텔레몬스터 OST(인피니트)|몬스터 타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4/10/31
[[Grow OST - 함께|함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4/12/08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f8c440,#f8c440><colcolor=#000,#000>
활동
||<width=22.5%> 음반 ||<width=22.5%> 공연 ||<width=22.5%> 활동 ||<width=22.5%> 광고 및 화보 ||
직캠
콘텐츠
V LIVE YouTube
/ 2010년~2022년
인피니트! 당신은 나의 오빠 인피니트의 깨알Player
인피니트 서열왕 디스 이즈 인피니트 쇼타임 인피니트 INFINITE COMPANY 2023
팬덤
인스피릿
기타
영화 PIRITZ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의 음반 (발매일순)
[[She's Back|디지털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 font-size: 0.75em; color: #fff;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
미니 2집
Evolution

2011. 01. 06.
[[Inspirit|싱글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 font-size: 0.75em; color: #000;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
<colbgcolor=#0E0C18,#0E0C18><colcolor=#D8BF80,#D8BF80> Evolution
The 2nd Mini Album
파일:Evolution(인피니트 음반).jpg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1년 1월 6일
가수 인피니트
기획사 울림엔터테인먼트
유통사 CJ ENM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곡 정보
06 17:40
타이틀곡 [[Evolution(인피니트 음반)#s-5.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14px; background-color: #D8BF80; font-size: .0.7em; color: #0E0C18"]]

1. 개요2. 앨범 소개3. 수록곡
3.1. Evolution3.2. BTD (Before The Dawn)
3.2.1. 뮤직비디오
3.2.1.1. 티저
3.2.2. 인스트루멘탈 뮤직비디오3.2.3. 퍼포먼스 비디오3.2.4. 안무 영상3.2.5. 응원법
3.3. Can U Smile3.4. Hysterie3.5. 마음으로.. (Voice Of My Heart)3.6. 몰라
4. 앨범 콘셉트 티저5. 여담

1. 개요

<nopad>
아이돌의 새 기준을 제시한 인피니트의 무한한 진화! 파격적이고 파워풀한 컴백 [EVOLUTION]!
2011년 1월 6일에 발매된 인피니트의 2번째 미니 앨범.

2. 앨범 소개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772.pn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volution | The 2nd Mini Album
2011. 01. 06. (목) 00:00 발매
인피니트 2nd MINI ALBUM [EVOLUTION]
아이돌의 새 기준을 제시한 인피니트의 무한한 진화! 파격적이고 파워풀한 컴백 [EVOLUTION]!
}}}}}}}}}

3. 수록곡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E0C18,#0E0C18><tablebgcolor=#fff,#1c1d1f><bgcolor=#0E0C18,#0E0C18><color=#D8BF80,#D8BF80> Evolution
The 2nd Mini Album ||
2011. 01. 06. (목) 발매
<rowcolor=#0E0C18>
트랙
곡명 프로듀싱
01 Evolution 작곡제이윤
편곡제이윤
02 BTD (Before The Dawn)
TITLE
작사한재호, 김승수
작곡한재호, 김승수, 안성준
편곡한재호, 김승수, 안성준, 홍승현
03 Can U Smile 작사한재호, 김승수
작곡한재호, 김승수
편곡한재호, 김승수, 홍승현
04 Hysterie 작사한재호, 김승수, 송수윤
작곡 |G-High, 이주형
편곡 |G-High, 이주형
05 마음으로.. (Voice Of My Heart) 작사제이윤
작곡제이윤
편곡제이윤
06 몰라 작사김승수, 한재호, 송수윤
작곡YUE
편곡YUE

3.1. Evolution

'''Evolution
01 0:59


화제의 역작 〈BTD〉를 예고하는 웅장한 인트로로, 본 앨범 《Evolution》의 시작을 연다.'''

3.2. BTD (Before The Dawn)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블룬 시리즈의 외전작 타워 디펜스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미국 해군항공대의 함재기}}}에 대한 내용은 [[BTD 디스트로이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BTD 디스트로이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BTD 디스트로이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영어 약칭이 BTD인 맥도날드의 햄버거}}}에 대한 내용은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블룬 시리즈의 외전작 타워 디펜스 시리즈: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미국 해군항공대의 함재기: }}}[[BTD 디스트로이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BTD 디스트로이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BTD 디스트로이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영어 약칭이 BTD인 맥도날드의 햄버거: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베이컨 토마토 디럭스#|]]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BTD (Before The Dawn)
02 3:03
TITLE


타이틀곡 BTD는 `비포 더 던(BEFORE THE DAWN)` 의 약자로 카라의 `미스터`, `프리티걸` 레인보우의 `A`등을 작업한 `한재호-김승수` 황금콤비가 심혈을 기울인 곡으로, 여심을 뒤흔들 가사와 함께 어쿠스틱 악기와 전자악기가 하나로 믹스된 사운드가 어우러져, 비장함과 드라마틱한 느낌의 정점을 표현해냈다.'''
[ 가사 보기 ]

ALL 성규 동우 우현 호야 성열 성종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beat one by one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heart
heart to to my heart heart

아무리 노력해도 너를 가질 수 없다면
나 난 이렇게는 못 놔

Why Why...Why Why... Why Why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내 마음만은 집착이 아니야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널 반드시 꼭 잡아내고 싶어

사랑을 속삭이던 두 입술

난 그저 바라만 보다가 너를 맴돌다가
이젠 모든 걸 놔 주래

Why Why... Why Why Why...
Why Why Why... Why Why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내 마음만은 집착이 아니야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널 반드시 꼭 잡아내고 싶어

나도 모르게 니 그림자를 밟아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beat one by one)
앞이 캄캄해진 내 눈은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heart heart)

Before the dawn (ye ye ye)
Before the dawn (ye ye ye)
더 늦기 전에 멈춰 세워줄게
Before the dawn (ye ye ye)
Before the dawn (ye ye ye)
널 끝까지 꼭 가져가고 싶어
(Before the dawn)

Close your eye and close your mind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니가 가지 못하게 꽉 잡아

3.2.1. 뮤직비디오

BTD (Before The Dawn)
Music Video
3.2.1.1. 티저
BTD (Before The Dawn)
MV Teaser #1

3.2.2. 인스트루멘탈 뮤직비디오

BTD (Before The Dawn)
Inst. Music Video

3.2.3. 퍼포먼스 비디오

BTD (Before The Dawn)
Performance Video

3.2.4. 안무 영상

BTD (Before The Dawn)
Dance Practice

3.2.5. 응원법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의 응원법
다시 돌아와 She's Back BTD Nothing's Over Can U Smile
내꺼하자 Paradise 추격자 Man In Love 그리움이 닿는 곳에
Destiny Last Romeo 소나기 Back Bad
태풍 Tell Me New Emotions Dangerous
〈BTD〉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beat one by one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이성열 김명수 이성종 사랑해 인피닛)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heart
heart to to my heart heart

아무리 노력해도 너를 가질 수 없다면
넌 아니라더라 거지같다
나 난 이렇게는 못놔
그게 답답해 그게 막막해

Why Why... Why Why... Why Why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내 마음만은 집착이 아니야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널 반드시 꼭 잡아내고 싶어

사랑을 속삭이던 두 입술
맞닿은 chance 닫히던 두 눈
자락을 피해 fly to the my heart
I'll be there by your side (huh)

난 그저 바라만 보다가 너를 맴돌다가
익숙해졌는데 거지같다
이젠 모든걸 놔주래
그게 답답해 그게 막막해

Why Why... Why Why... Why Why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내 마음만은 집착이 아니야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널 반드시 꼭 잡아내고 싶어

나도 모르게 니 그림자를 밟아
아마 나 점점 미쳐 가나봐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beat one by one)
앞이 캄캄해진 내 눈은
오직 너 하나만 밝게 비춘다
(Because I listen to my heart heart heart)

Before the dawn (ye ye ye)
Before the dawn (ye ye ye)
더 늦기 전에 멈춰 세워줄게
Before the dawn (ye ye ye)
Before the dawn (ye ye ye)
널 끝까지 꼭 가져가고 싶어
(Before the dawn)

close your eye and close your mind
베일에 싸인 니 길에 마치 비밀에 갇힌
미래에 지킬래 놓치기 싫은 너기에
이 길의 끝엔 you must love me
(Before the dawn Before the dawn)

니가 가지 못하게 꽉 잡아
내가 울지 않게 널 붙잡아
니가 아무리 날 버리고 막아도
난 절대 널 놓치지 않아

3.3. Can U Smile

'''Can U Smile
03 3:13


애절한 가사와는 대조적으로 강하고 빠른 비트 사운드가 인상적인, 감성적 팝 댄스 넘버의 곡으로, 후에 발매된 싱글 〈Nothing's Over〉에 어쿠스틱 버전으로 리메이크되어 재수록되기도 했다.'''
[ 가사 보기 ]

ALL 성규 동우 우현 호야 성열 성종
아주 오래 전 너를 보았던
너를 알았던 나를 알았던

너를 닮고 싶던 어울리고 싶던
다 지나간

And Can U Smile
니가 원하잖아 니가 바라잖아[A]
And Can U Smile
내가 가라잖아 난 괜찮다잖아[B]

이미 오래 전 내가 받았던
내겐 넘치던 니가 고맙던

가장 사랑할 때 가장 행복할 때
미안해서 잡아둘 순 없는 걸

And Can U Smile
니가 원하잖아 니가 바라잖아[A]
And Can U Smile
내가 가라잖아 난 괜찮다잖아[B]

그래도 그래도 결국 그래도 난
그래도 그래도 결국 그래도 난

그래 빈번해진 니 그 말[5]

And Can U Smile
널 잡고 싶지만 붙잡고 싶지만
And Can U Smile
내가 가라잖아 난 괜찮다잖아

3.4. Hysteri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 영어 단어의 본래 뜻인 심리학 용어}}}에 대한 내용은 [[히스테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스테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히스테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 영어 단어의 본래 뜻인 심리학 용어: }}}[[히스테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스테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히스테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Hysterie
04 2:59


완벽한 여자 친구 앞에서 불안해지는 남성의 모습을 히스테리라는 가사로 표현하고 있으며, 복고적이고 강렬한 리듬과 베이스 라인이 돋보이고, 밴드 스타일의 악기들이 주를 이루는 악기 편성과 세련된 비트가 어우러진 어반 댄스 곡이다.'''
[ 가사 보기 ]

ALL 성규 동우 우현 호야 성열 성종
자꾸 너에게 난 Wanna Be The Star
자꾸 네게 바래 Wanna Be The More

너니까 그래 너여서 그래 오 왜
불안하고 불안한지
잘못 될까봐 잘못 갈까봐

곁에 두고도 니 손을 잡고도
참 한심하게 괜한 걱정
히 히 히스테리
잘 지내다 또
널 바라보면 또
난 미쳐가
히 히 히스테리

이건 내가 아냐 구겨지는 Style
멈춰 주길 바래 못난 나의 Life

너니까 그래 너여서 그래 오 왜
불안하고 불안한지
잘못 될까봐 잘못 갈까봐

곁에 두고도 니 손을 잡고도
참 한심하게 괜한 걱정
히 히 히스테리
잘 지내다 또
널 바라보면 또
난 미쳐가
히 히 히스테리

눈을 떠도 너부터 찾아
Hey Keep Ou Yes
아마 내가 더 널 사랑하나봐

곁에 두고도 니 손을 잡고도
참 한심하게 괜한 걱정
히 히 히스테리
잘 지내다 또
널 바라보면 또
난 미쳐가

곁에 두고도 니 손을 잡고도
참 한심하게 괜한 걱정
히 히 히스테리
잘 지내다 또
널 바라보면 또
난 미쳐가
히 히 히스테리

3.5. 마음으로.. (Voice Of My Heart)

'''마음으로.. (Voice Of My Heart)
05 4:30


앨범 발매 전 선공개된 곡으로, MCTHE MAX의 제이윤이 작사·작곡한 명품 발라드로, 전작의 〈붙박이 별〉처럼 본 앨범의 유일한 발라드곡이다. 인피니트 멤버들이 발라드라는 장르를 단순한 보컬 기교들로 표현하지 않고 절제된 감정으로 소화, 가사의 전달력을 높였다.'''
[ 가사 보기 ]

ALL 성규 동우 우현 호야 성열 성종
마주보고 하려던 그 말
나 전하지도 못한 채 또 떠나

지켜볼 수밖에 난
아쉬움만 남긴 채 너 멀어진대도

나 소리 없이 불러본다 그대 지금
기억하며 불러본다 그대
잊으려고 노력해도 그대
내 맘 같지 않은걸 알면서도

말해주지 못했던 그 말 사랑해
나 전하지도 못한 채 또 떠나

기다릴 수밖에 난
아쉬움만 남긴 채 너 멀어진대도
(성규&우현&성종) 두 손을 모은 채 말해

나 소리 없이 불러본다 그대 지금
기억하며 불러본다 그대
비우려고 노력해도 그대
네 맘 여기 없는 걸

마음으로 말해본다 그대 지금
혹시라도 돌아올까 내게
내 맘 같지 않겠지만 그대
돌아온다면 혹시라도
마주칠까 봐

나 오늘도

(성규&우현) 마음으로 말해본다 그대 지금
(성규&우현) 혹시라도 돌아올까 내게
(성규&우현) 내 맘 같지 않겠지만 그대

돌아온다면 혹시라도 기다려

혹시라도 마주칠까 봐 기다려

3.6. 몰라

'''몰라
06 2:57


하드락 색채의 기타와 베이스가 더해진 신스팝이다. 사랑에 빠진 남자의 이중적인 마음을 노래하며, 강한 비트와 힘 있는 보컬이 매력적인 곡으로, 본 앨범의 마지막 트랙을 차지하며 대미를 장식한다.'''
[ 가사 보기 ]

ALL 성규 동우 우현 호야 성열 성종
몰라 니 마음 같은건 몰라
몰라 내 마음 밖에 난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난

니가 뭐라하든 안들려
time to time and time to time oh
니가 밀어내도 난 다가가
round and round and round
끝까지 모두 나를 태우고 너에게 나를 걸겠어
가져 보겠어 너의 마음을
훔쳐 보겠어 너의 모든걸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니 마음 같은건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내 마음 밖에 난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난

받아주다가도 날 피해
time to time and time to time oh
알 것 같다가도 모르겠어
round and round and round
너의 변덕에 마음 졸이긴 내 맘이 더욱 간절해
가져 보겠어 너의 마음을
훔쳐 보겠어 너의 모든걸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니 마음 같은건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내 마음 밖에 난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난

창문에 부딪히던 빗방울 속 작은 기억들
얻고 말겠어 너의 마음을
담고 말겠어 나의 마음에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니 마음 같은건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몰라 내 마음 밖에 난 몰라 바래 또 바래 또 난

4. 앨범 콘셉트 티저

〈Concept Phot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4.bp.blogspot.com/19922384.jpg 파일:external/www.kpopmusic.com/infinite-Kpop-47.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닛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external/2.bp.blogspot.com/21.pn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22.png 파일:external/6bef19ff84f4c9b35e2eb4c1c2b94f26950f258af8a549046373b5cfc2099797.png
김성규 · 이성열 · 호야 남우현 · 장동우 이성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794.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9.jpg
김성규 호야
파일:external/4.bp.blogspot.com/aa20.jpg 파일:external/media.onsugar.com/f7e73793fd1d32cf_11.png
이성열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external/5dedc924498e5608f88947aba52805eca3ba2792088692e3a08ab98c79ba8ff6.jpg 파일:external/f479948b6cb1f66aed302c6e2dc5b161079c0e18c386cc69a6374cbbe9e165ae.jpg 파일:external/d9637b577565ff946989b70f686c0ba626d625b955ceb834f495c6569b639d6f.jpg
장동우 남우현 이성종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external/2.bp.blogspot.com/26014.jpg 파일:external/bddc38269a711336cc2f9a70897a8635366b930ffb4c3dc8ea46f958cd476f1e.jpg
김성규 호야
파일:external/647e3c0035126a8a938e097b8a236f6f5041102386271d2e5e19bebd3c6247be.jp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0c152475140f0e2999ec0cd0c2be433.jpg
이성열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external/e3e55202c299ee2b320814cbd3f6b1799dc837a158bf5b21e98471989deb182d.jpg 파일:external/f73f07e66c8f0ecf92255607b7030851205d5f9850ab4dcc26cefb14ad90a354.jpg 파일:external/b2c6ab4e9bc3fbfb73f2a2f386bd5714ccbcba459b5e9431f11a1f1f09f72371.jpg
장동우 남우현 이성종 }}}
}}}}}}}}} ||

5. 여담

  • 타이틀 곡 'BTD (Before The Dawn)'를 각종 라디오 및 행사장에서 BDT라고 부르는 분이 속출했다. 아마도 원더걸스의 2DT(2 Different Tears)와 헷갈린 듯.
  • 뮤직비디오는 KBS에서 폭력성을 이유로 때 아닌 19세 판정을 받았다. 엘과 우현이 치고 박고 구르는 격투(?)신이 문제가 된 모양이다. 이 액션신을 찍기 위해 둘은 교도소 세트장에서 따로 스턴트 배우들과 함께 와이어 액션 등 수고스러운 촬영을 해야 했다.
  • 뮤직비디오의 내용 자체는 여러모로 개그인데, 엘과 우현이 신나게 싸우다가 갑툭튀한 검은 옷 입은 남자한테 얻어터지고 어떻게, 어떻게 둘이 힘을 합쳐 그를 무찌르게 된다. 그리고 다시 서로 싸우기 시작한다... 블로우를 제대로 맞고 쓰러진 엘을 우현이 질질 끌고 복도로 나와 창살이 쳐진 창으로 손을 내밀고 울부짖으며 막을 내린다. 회사에서는 이 뮤비의 내용이 "가상의 적은 젊은이들의 현실적인 취업, 학업 같은 답답한 현실의 문제를 나타낸 것이며, 우현과 엘의 격투는 경쟁 사회에서 학교나 취업을 하던 또다시 겪어야 하는 서로 간의 경쟁을 그린 것이다." 라고 해명했다.
  • 이후 발매되는 뮤비들 곳곳에 BTD 특유의 음울한 분위기와 숨겨진 의미들, 사회 비판적인 메세지가 깔린 뮤비 스타일이 돋보인다. 뮤비에서 음악이 다 끝나고 나오는 에필로그 장면의 뒷 배경 음악이 마치 바로크 풍 그레고리오 성가들어보기를 연상케 하는데, 묘하고 음울하고 섬찟한 느낌이라 보는 이로 하여금 알 수 없는 답답한 중압감을 느끼게 한다. 뮤비 전체의 분위기와, 의도했던 사회 비판적인 메세지를 무거운 음악으로 한번 더 확실하게 못 박아두고 마무리하는 느낌이다.
  • 이전까지의 소년스러움에서 벗어나 남자다움으로 어필하며 좀 더 인지도를 높였고, 인피니트가 "군무 종결자"라고 불리면서 포인트 안무인 '전갈 춤'이 합성 의혹도 받는 등 나름대로 흥했다. 본격 되감기 이 전갈춤을 이용하자고 제안한 사람이 호야인데, 안무가 선생님이 "때문에 안돼."라고 이야기하셨다고.지못미 이때부터 인피니트는 본격적으로 90년대 아이돌 삘이 충만한 세기말적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2집 미니 앨범을 준비하며 기획사 사장님이 "이번에도 안 되면 끝이다"라고 해서 멤버들이 반 절망 상태였다는데, 다행히도 K차트 최고 기록 17위를 달성.
  • 인트로 트랙인 Evolution은 제이윤이 만든 곡으로, 수록 앨범 《Evolution》과 동명의 곡이다. 뜻처럼 앞서 낸 데뷔 앨범 《First Invasion》보다 더욱 진화된 음악과 퍼포먼스로 돌아왔다고 말하는 듯 하다.
  • 인트로 트랙에 뒤이어 흘러나오는 타이틀곡 〈BTD〉의 분위기를 맛보기로 조금 보여주듯 노래를 듣는 것만으로 뮤직비디오를 보는 듯 긴장감을 조성되게 만든다.
  • 팬들 사이에서는 '비티디', '베토디' 등으로 불린다.[6]
  • 인피니트가 제복 컨셉으로 활동했던 곡이다. 댄스 버전 뮤직비디오도 제복을 입고 촬영했다.
  • 〈BTD〉 전갈춤을 배우는 데 걸린 시간은 이틀, 7명이서 완벽하게 맞추기까지 걸린 시간은 2주였다. 우현의 경우, 중간에 무릎에 부상을 입어 병원에서 진단을 받기도 했다.
  • 〈BTD〉의 뮤직비디오는 앞으로도 많은 호흡을 맞춘 황수아 감독이 처음으로 제작한 인피니트의 뮤직비디오다.
  • 〈BTD〉 노래 중간중간에 튀어나오는 거친 숨의 주인공은 바로 성규.
  • '거지같다' 파트를 맡은 우현에게는 한때 '첫째거지', '둘째거지'라는 별명이 있었다. 절대 꼬질꼬질한 스타일링 때문에 거지라는 별명이 붙은 게 아니다 지금은 그저 망망&묭묭 멍뭉즈
  • 〈BTD〉 활동을 기점으로 성규가 앞머리를 내리기 시작했고 짭재범 탈피! 동우가 적발로, 성종이 백금발로 염색했다.
  • 뮤직비디오에서 우현과 엘이 치고 박고 싸우다가, 정체를 알 수 없는 괴한에게 습격을 받고 제대로 깨진다. 우현과 엘은 힘을 합쳐 괴한을 물리치지만 다시 서로 싸우기 시작한다. 결국 싸움에서 이긴 우현이 엘을 잡아 이끌고 탈출하려고 하지만 결국에는 실패하는 듯한 묘사가 그려진다. 뮤비 해석본 2[7]
  • 이중엽 대표가 학창 시절부터 느와르 영화를 감명깊게 보고 자라와서 언젠가 꼭 자신도 느와르 영화를 찍고 싶다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인피니트 멤버들을 통해 대리만족(...)을 하기 위해 〈BTD〉의 뮤직비디오를 느와르 컨셉으로 촬영하게 되었다고 성규가 밝혔다. 덕에 멤버들은 뮤직비디오를 촬영하기 전에 다같이 느와르 영화를 4편이나 봐야 했었다고. 그런데 밖에 연기를 못했다
  • 사실 〈BTD〉 뮤직비디오에서 호야와 성열도 함께 연기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스토리 수정 등의 이유로 엘과 우현만 연기를 하게 되었다. 느와르 영화를 4편이나 본 이유가 사라졌다
  • 여담으로 〈BTD〉 뮤직비디오 촬영 중, 엘이 와이어 액션을 촬영하다가 경미한 부상을 입기도 했다.
  • Can U Smile (Broadcasting Ver.)은 두 번째 미니 앨범 "Evolution"에 수록된 곡을 어쿠스틱으로 어레인지 해 싱글 "INSPIRIT"에 수록했던 곡을 또 다시 어레인지한 것이다. 들어보면 "INSPIRIT"에 수록된 Remake Ver.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편곡이 추가되고 몇몇 파트가 바뀌었다. 차이점
  • 대다수의 사람들은 Broadcasting Ver.이 오리지널 버전이라고 알고 있는데, "Evolution"에 수록된 원곡은 비트가 좀 더 강한 편이라 아예 다른 장르처럼 들린다. 여태까지 활동했던 곡들이 모두 댄스곡이었으니 팬 서비스용이었다 보는 게 맞을 듯.[8] 5월 22일 인기가요를 마지막으로 활동을 마쳤다. 흔히 군무종결자라 불리는 인피니트가 처음으로 안무도 없이 의자에 앉아 공연한 기간.
  • Hysterie은 원래 쿨하던 성격의 남자가 사랑하는 여자를 만나면서 집착하고 구속하는 성격으로 바뀌어가는 게 히스테리라는 내용의 가사를 담은 세련된 스타일의 댄스 곡이다. 전작의 타이틀곡 〈다시 돌아와〉와 비슷한 스타일의 곡이기도 하다.
  • Hysterie의 안무가 존재한다. 타이틀 곡 〈BTD〉로 컴백했을 때 함께 스페셜 스테이지를 선보인 커플링곡이기도 하다.
  • 2013 무한대집회 때, 우현이 초심을 되찾고자 옛날 연습실을 찾아가 Hysterie 안무를 선보였으나 안 웃겨서 PASS 당했다.
  • 마음으로..는 인피니트의 발라드 중 수작으로 평가받는 곡이다. 콘서트 때 듣게 된다면 눈물이 날 거 같다는 팬들도 많다.
  • 마음으로..는 《First Invasion》의 수록곡 〈붙박이 별〉처럼 데뷔 초에 나온 곡이다 보니, 옛날의 라이브를 듣다가 최근 콘서트에서의 라이브를 들어보면 실력이 는 게 확 느껴진다.
  • 마음으로..는 2분대가 대부분인 타 수록곡들 가운데 4분 30 가량의 긴 러닝타임을 자랑한다.
  • 몰라는 2012년 초, 첫 단독콘서트 《Second Invasion》에서 스탠드 마이크를 이용한 약간의 안무와 함께 무대를 선보였다.
  • 몰라는 미니 6집 《INFINITE ONLY》의 수록곡 〈Zero〉와 곡 풍이 비슷한데, 멤버들의 성량과 가창력이 전체적으로 오른 것을 체감할 수 있다. 5년 8개월이나 지났는데 안 발전할 수가 없다
  • 호야의 말로는 몰라를 딱 듣는 순간 "이 곡은 인피니트의 곡이구나" 싶었다고 한다.


[A] 방송 활동 버전에서는 우현 소절을 성규가 부른다[B] 방송 활동 버전에서는 성규 소절을 우현이 부른다[A] [B] [5] 방송 활동 버전에서는 음원/무대 모두 별이 밝혀줬지~Want U 파트를 호야가 랩을 한다.[6] 진짜 베토디로 불리기도 한다![7] 2번째 영상에서는 결말이 모두 패배자다 라고 적혀있다.[8] First Invasion의 "붙박이 별", Evolution의 "마음으로.. (Voice Of My Heart)", INSPIRIT의 "Can U Smile". 세 곡 다 발매한 앨범 중에서 앨범 내 유일한 발라드 곡들 + 괜찮은 퀄리티다.[9] 남우현의 솔로곡 〈Write..〉, 〈끄덕끄덕〉, 〈그 사람〉, 〈향기〉와 러블리즈의 노래 〈Hug Me〉, 〈퐁당〉에도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