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2:34:00

FANDOM

Fandom Wiki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전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팬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000,#fff> 위키 호스팅 서비스
Wiki hosting service
FANDOM · Miraheze · Shoutwiki · Personality Database · 위키닷 · 제로스퀘어
<colbgcolor=#ffc500,#520044><colcolor=#520044,#ffc500> 팬덤[1]
FANDOM
[2]
파일:FANDOM 로고.svg파일:FANDOM 베이지색 로고.webp
종류 위키위키 호스팅 서비스
위키 엔진 미디어위키
개설 2004년 ([age(2004-01-01)]주년)
국가
[[미국|]][[틀:국기|]][[틀:국기|]]
언어 영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들. 기본 언어는 영어
회원가입 선택
소유 설립: 지미 웨일스, 앤절라 비즐리
CEO: 퍼킨스 밀러 (2019-)
링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미디엄 아이콘.svg파일:미디엄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FANDOM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서비스
3.1. WAM Score3.2. 위키아 서치3.3. 분야
3.3.1. 엔터테인먼트3.3.2. 게임
4. 비판 및 문제점
4.1. 그리머스 쉐이크 논란
5. 나무위키로의 인용시 주의점6.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위키
6.1. 한국어6.2. 영어 및 기타 언어
7. 기타

[clearfix]

1. 개요

미디어위키 엔진 기반의 무료 위키위키 서비스 사이트다.

2. 역사

위키미디어 재단을 설립했던 미국의 지미 웨일스와 영국의 인터넷 관련 기업가인 앤절라 비즐리(안젤라 비즐리)2004년에 설립했다. 설립 당시의 이름은 위키시티스(Wikicities)였다. 그러다가 2006년 이름을 위키아(Wikia)로 바꿨다. 그러다 2017년 엔터테인먼트 뉴스 사이트의 이름으로 팬덤(Fandom)이라는 브랜드를 창설했고, 2019년에 위키아도 팬덤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8년 미국 사모펀드 회사인 텍사스퍼시픽그룹(TPG) Capital(TPG Capital, TPG캐피탈)에 매각했고, 인수된 지 얼마 안 되어 선술했듯이 이름이 팬덤으로 바뀌었다.

3. 서비스

여타 위키와는 다르게 엔터테인먼트, 게임, 라이프스타일 이렇게 세 가지 분류가 있으며 이에 따른 내용이 특화되어 있다. 위키백과나무위키처럼 한 사이트에 여러 분야와 방대한 자료가 일일이 나열된 게 아니라, 엣위키처럼 수백 수천개의 사실상 분리된 사이트랑 다름없는 위키가 따로 있는 형식이다. 영어만 할 줄 안다면 충분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임 분류의 경우 백과사전+공략+관련 소식지를 합쳐 놓았다고 봐도 무방. 다만 이건 인기 게임 한정이고, 인지도 때문에 정말 빈약한 위키도 꽤 많다. 이건 위키 호스팅 서비스이기 때문에 가입만 하면 아무나 위키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 나라마다 유명한 위키가 다른데 한국에서는 나무위키라면 미국 등의 영어권 나라들에선 이 위키가 유명하다.

과거 명칭은 위키아(Wikia)였으나, 2016년 10월 부로 서비스명을 팬덤(Fandom powered by wikia)으로 변경하였다. 팬덤과 관련 없는 위키 쪽에선 반발이 많았으나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았다. 2018년 10월부터 문서수가 1000개 넘는 산하 위키들부터 도메인이 fandom.com으로 바뀌었으며, 2019년 2월까지 모두 바뀌었다. 링크 다만 팬덤과 관련 없는 몇몇 위키는 wikia.org 도메인을 받았다.

한때는 상당히 유용하고 방대한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언어장벽과 문법의 어려움 탓에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상당히 낮았으나, 한국어판이 나오면서 한국어 위키를 제작(포켓몬 위키 등)하거나 해외 위키에서 자료들을 긁어오는 사례도 많아졌다. 다만 그래도 인지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고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인 이용자들도 상당히 적다. 그래서 유명한 위키들만 한국어 위키가 있고 아직까지는 웬만한 위키는 거의 다 영문으로 되어있다.

위키백과보다는 출처를 적는 것에 빡빡하지 않다. 이런 점은 출처를 의무화하지 않는 이곳 나무위키와 분위기가 비슷하긴 하지만 각각 산하 위키들마다 차이가 있다. 물론 나무위키도 문서마다 출처가 의무인 곳도 있긴 하다. 우키피디아는 스타워즈 특성상 설정덕후들이 많아 편집자의 주관적 서술이 들어가는 걸 싫어하기 때문에 출처를 철저히 따져 산하 위키들 중에서 신뢰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우키피디아포켓몬 위키 등 운영진이 나무위키보다 출처에 예민한 등등 규정이 빡빡한 위키는, 추가된 부분이 큰 문제가 없더라도 해당 부분에 문제가 있다며 가차없이 롤백시키기 때문에 자신이 기여한 내용이 자기가 적기 전으로 돌아가는 걸 버틸 수 없어서 나가는, 일명 인스턴트 기여자가 많을 수도 있다. 물론 이건 산하 위키마다 다르며, 이런 위키는 문서 훼손에 대해 대응하는 시간이 짧고 내용이 정확한 문서가 비교적 많아 신뢰도가 높을 수 있다. 그래도 위키위키 특성상 최신화되지 않거나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토론 근거로 삼기는 어렵다.

위키백과와는 달리 나무위키처럼 유튜브 링크를 걸거나 유튜브 등의 동영상 자체를 올릴 수 있다.

산하 위키는 같은 언어를 쓰는 위키를 기준으로 개별 문서는 [[w:c:해당 위키:문서명|출력]], 위키백과[[Wikipedia:문서명|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인터위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언어판은 위키백과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산하 위키 문서에서 프랑스어 산하 위키 문서 연결 기준으로 [[fr:문서명|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문서명 앞에 해당 국가의 언어코드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산하 팬덤 위키끼리의 언어판 위키 연결은 중앙 커뮤니티에 다국어 연결 요청(한국어판)을 해야 한다. 다른 언어판의 다른 산하 위키로의 개별 문서 인터위키는 한국어 위키 문서에서 프랑스어 위키 문서 연결 기준으로 [[w:c:fr.해당 팬덤 위키:문서명|출력]], 한국어 팬덤 위키 문서에서 프랑스어 위키백과 문서 연결 기준으로 [[Wikipedia:fr:문서명|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언어 인터위키가 없는 문서의 목록을 따로 볼 수 있는데 https://해당 팬덤 위키.fandom.com/wiki/Special:WithoutInterwiki라는 사이트로 들어가야 한다.

인기 있는 문서는 로그인 한 이용자는 쉽게 볼 수 있으나, 비로그인 이용자는 볼 수 없다. 인기 있는 문서를 포함한 방문자 수, 문서 조회수, 검색량, 국가 등의 자세한 통계는 운영자 급만 볼 수 있으며 일반 이용자들은 볼 수 없다. 게다가 내용이 공유되는 것을 금지한다. 주소는 https://해당 위키.fandom.com/wiki/Special:Analytics 방식으로 되어 있다.

2015년 9월 모바일 사이트를 리뉴얼했다. 이로 인해 모바일 편집이 불가능해졌다. 전체 사이트 버튼을 누르면 PC 버전으로 편집이 가능하긴한데 때때로 저장을 누르면 모바일 편집창으로 넘어가거나 저장후 다시 모바일 사이트 버튼을 누르면 모바일 편집창으로 넘어가는 등 약간 꼬인다. 모바일 오페라 브라우저를 쓰거나 편집하고자 하는 문서의 주소 끝에 ?useskin=oasis&action=edit 를 붙여주면 어느 정도 해결되지만 이것 역시 꼬일 때가 종종 발생하여 PC로 편집하는 것 외에는 딱히 방법이 없었으나 12월 2일부터 다시 모바일 편집이 가능해졌다.

모바일 기기로 볼 때 맨 아래 풀 사이트를 누르면 PC 모드로 볼 수 있다. 한때 PC 모드에서 다시 모바일 모드로 돌아갈 수 없었다. 도움말에서는 모바일로 보기를 누르라 명시하고 있지만 그 버튼이 없었는데 2018년 4월 16일에 만들어졌다.

https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편이었으나 2019년 1월 경부터 https 처리가 되어 있다.

작은 위키의 경우에는 설립자나 다른 열성 이용자가 혼자 문서를 만들고 편집하는 경우가 많다.

표에 ISBN 란을 만들고 ISBN 번호를 예를 들어 'ISBN 012-3456789012' 식으로 입력하면 Pages using ISBN magic links라는 분류가 자동으로 뜬다.

위키를 한 번 만들면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산하 위키의 콘텐츠 또는 의도가 팬덤의 이용약관 또는 커뮤니티 생성 정책을 위반하거나, 중복되는 주제가 있거나, 문서가 5개~10개 이하로 있는 등 매우 비활성 상태이고 내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거나, 위키 폐쇄, 병합 또는 이동에 대한 유효한 요청이 승인되었거나, 엔하위키 위키아 지부 사건 같은 특별한 상황에는 폐쇄가 가능하다. 물론 폐쇄해도 위키를 사용만 못 하는 것뿐이지 위키 자체는 남아있으며, 위키를 완전히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타 위키가 그렇지만, 정책에 의해 계정의 완전한 탈퇴 역시 불가능하다. 다만 다른 위키처럼 아이피나 아이디를 차단시키지 않고 계정의 비활성화를 요청할 수는 있다. 단, 2020년 후술할 통합 커뮤니티 플랫폼(Unified Community Platform, UCP)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면서 7월 쯤부터 UCP로 마이그레이션 되지 않으면서 문서가 10개 이하로 있는 등 편집이 매우 저조한 산하 위키를 없애기 시작했다.

나무위키와 다른점은 위에도 서술했듯이 나무위키는 위키안에 여러가지 문서가 있는 것이지만 이 사이트는 사이트 안에 여러 개의 위키가 들어 있고 또 그 위키 안에 문서들이 들어 있다는 점이다. 디시인사이드식 구성을 가진 위키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한 분야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무위키보다 배경이나 글씨색, 테이블 등이 훨씬 더 자유롭다. 예를 들면 나무위키는 배경이 초록초록한 말 그대로 나무위키 배경이지만 FANDOM의 산하 위키들은 각자 자신만의 배경색과 배경사진들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색각 이상이 있는 사용자를 배려해 색맹 버전으로 바꿀 수 있는 옵션도 있다. 다른 위키들과는 달리 각자의 개성이 있다.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하다.

이 설정을 변경하려면 기본적으로 위키 관리자(개설자나 개설자에게 권한을 받은 사람)만 가능하다. 그리고 나무위키는 하이퍼링크를 걸면 글씨색이 거의 무조건 파란색으로 바뀌지만 이 위키는 아예 처음부터 하이퍼링크를 걸 글씨색과 그냥 보통 나오는 글꼴과 색도 정할 수 있다. 추가로 글꼴도 처음부터 정해놓을 수 있다. 물론 [[나무위키:대문|{{{#00A495 나무위키:대문}}}]] 이런식으로 하이퍼링크도 걸고 글씨색도 바꿀수 있지만 하이퍼링크를 걸 모든 글씨를 저렇게 쓰기는 불편하다. 이렇게 처음부터 여러가지 것들을 (CSS를) 정해놓으면 문법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글씨만 써도 이미 정해놓은 색으로 바뀐다. 대신 선술했듯이 문법이 굉장히 어렵다! 설립자가 위키미디어 재단 출신이라 미디어위키를 쓰는데 위키피디아보다는 변형이 되어서 그런지 아주 많이 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꽤 어렵다. 하지만 어려우면 당연히 나무위키:문법 도움말처럼 이 사이트에도 도움말이 있다.

다만 한국어 버전의 도움말은 기여자가 적어 문서가 작고, 그마저도 문서가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없는 문서에 링크만 걸린 것도 있어 영문 도움말을 봐야 한다. 게다가 문법 난이도가 나무위키처럼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고 the seed와 상당히 다르다. 그래서 이 위키의 도움말만 보고서 위키 문법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힘들 것이다. HTML도 어느 정도 설명되어 있는 나무위키와 다르게 그냥 코드 내역만 알려주다시피 한다. 그렇다고 유튜브나 인터넷에 검색하면 죄다 영어로 나올 뿐 한국인이 설명하는 것은 거의 찾아 볼수 없다. 어쩔수 없이 그 어려운 위키 문법을 혼자서 이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FANDOM에 비하면 나무위키의 문법이나 HTML은 쉬운 쪽에 속한다. 반대로 나무위키의 장점은 위키 문법이 쉬워서 누구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FANDOM 위키는 나무위키와는 달리 댓글 기능도 있어서 답글을 달고 공유도 가능하다! 나무위키의 토론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댓글은 문서 맨 밑(각주 포함)에 달린다. 그렇지만 산하 위키 마음대로라서 모든 위키가 댓글을 달 수 있는 건 아니다.

3.1. WAM Score

링크

접속 수, 참여율, 문서의 질, 성장 속도 등을 모두 고려한 위키 공식 지표로, 문서 수가 방대하다고 해서 점수가 높은 것은 아니다.

3.2. 위키아 서치

2008년 당시 위키아 재단에서는 포스트 구글의 자리를 노리며 검색 서비스인 위키아 서치 서비스를 실시했다. 하지만 위키를 만들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키아로 찾아간다. 이메일(필수)을 주고도 가장 쉽게 만들고 오류도 없는 게 위키아이기 때문.그래도 구글 2009년 3월 31일 서비스를 중단했었다.

3.3. 분야

3.3.1.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는 크게 TV와 영화 그리고 애니메이션 분야로 나뉘어 있다.

엔터테인먼트 계열에서 대표적인 위키로는 스타워즈 시리즈우키피디아릭 라이어던판타지 신화 창작물 책 시리즈를 다루는 라이어던 위키가 있다.

이름이 있는 애니메이션이라면 나무위키보다도 더 자세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FANDOM은 대체로 한 분야만 다루기 때문에 엔진 같은 경우는 각 위키로만 치면 나무위키에 미치지는 않는다. 그런데 대부분 어떤 분야의 팬이라면 FANDOM에 더 많이 들르게 되어서 디테일은 나무위키보다 대체로 더 많다. 그렇지만 인기가 어느 정도 있어도 위키 문화 활성화 이전에 나온 애니메이션은 내용이 부실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아동용 중에선 인기가 어느 정도 있었던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위키는 시리즈 자체가 2000년대 초중반인 오래 전에 나왔기 때문에, 그 위키에만 있는, 조연 캐릭터 관련 단독 문서같은 걸 포함해 문서 수는 나무위키보다 많지만 내용은 부실하다. 주인공 중 파인 영어 위키, 레인 영어 위키 문서와 나무위키의 파인(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레인(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문서의 스크롤을 비교하면 된다.

해외에서는 일본 만화 혹은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한국 만화 혹은 웹툰 관련 설정이 정리된 사이트를 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 위키를 만들어 정리하는 유저들이 좀 있다. 한국 만화와 웹툰 관련 위키(소규모), 한국 웹툰 관련 위키, 한국 웹툰 산하 위키 목록, 라인 웹툰 위키(라인 웹툰이라 외국 웹툰도 섞여 있지만 한국 웹툰도 있다) 2010년대 기준 보통 만화를 보는 연령대가 낮아서 그런지 이 나무위키 보다도 반달이 심했지만 다행히 반달리즘 행위가 사라졌다. 그나마도 2015년 기준 활성화된 건 몇 개 안 되었다. 다만 2010년대 후반 웹툰 시장이 커지기 이전이라 2015년 그 당시에는 웹툰 위키가 활성화된 것이 몇없었다는 뜻이고, 2020년대 기준으로는 이보다는 활성화된 게 많아졌다.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웹소설이 웹툰화되는 경우가 많아져 한국의 웹소설 FANDOM 영어 위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다만 해외에서는 웹툰이 더 유명하다보니 여전히 웹소설보다는 웹툰 위키가 더 많다.

자율성이 높으며 서양권 만화 및 애니메이션 팬덤이 자주 모이는 특성 때문에 핑크퐁, 야채극장 베지테일과 같은 유아 애니메이션에 대한 위키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다만, 유아용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어린이 관련 위키는 어린이 보호를 위해 2024년 2월 23일부터는 이메일 인증을 한 계정만 위키를 만들 수 있게 정책이 바뀌었다.

가상캐스팅, Fanon(동인설정) 등을 다루는 위키들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케이팝 위키(한글판)와 K힙합 위키도 있다. 케이팝 위키는 운영자가 2021년 올해의 편집자가 되었다. 케이팝 위키 한글판외국인이 만들었다.

3.3.2. 게임

한국에서는 게이밍 위키를 가장 많이 사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엔터테인먼트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자료는 한국 사이트에서도 충분히 구할 수 있지만, 게임과 관련된 체계적인 자료는 이 위키보다 좋은 사이트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무위키에서도 게임 분야의 문서들을 보다 보면 이 위키의 링크가 걸린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다.

한국판 위키 중 한국에서 제일 유명한 곳은 포켓몬 위키로 문서 수가 1만 개가 넘는다. 단독 게임 타이틀을 다루는 주요 게이밍 위키로는 문서 7천개 이상으로 부족전쟁에 대해 서술하는 부족전쟁 위키가 잘 알려져 있다(단독 게임 타이틀을 다룬 위키로는 한국어 전체 위키 사이트 중 최대규모). 그 외에 문서수 4천개 이상으로 마비노기에 대해 서술하는 마비노기 위키, 문서수 3천개 이상으로 메이플스토리에 대해 서술하는 메이플스토리 위키, 문서수 2천개 이상으로 모두의 쿠키에 대해 서술하는 모두의쿠키 위키, 소드걸스에 대해 서술하는 Sword-girls 위키 등이 존재한다. 여기서 한국판 위키는 외국에서 한국 게임에 대해 서술하는 산하 위키는 제외한다. 배틀그라운드를 서술하는 PUBG Wiki 등이 있다.

일단 어느 정도 이름이 있는 게임이라면 위키가 있고 게임 페이지를 보면 그 게임과 관련된 거의 모든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아이템이라면 세세하게 무기·방어구·물약 등등을 분야별로 나눠 각 효과가 전부 서술되어 있으며, 미션이나 퀘스트의 경우는 목표와 완료하기 위한 전략 심지어는 버그성 혹은 얌체 플레이와 그에 따른 유튜브 영상도 실려 있다. 버그나 오류의 종류나 대처법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도움이 된다. 특히 게임 자체가 방대하기로 유명한 엘더스크롤 시리즈폴아웃 시리즈의 위키는 NPC 하나하나의 각종 데이터(체력·공격력·클래스·호전성·소속 팩션·콘솔 아이디 등)와 각종 버그 및 스크립트들의 상세 정보까지 다 기재하고 있다. 단 게임이 워낙 유명해서인지, 이 위키 기반의 위키와 별도의 uespwiki가 있는데 후자의 정보량이 더 방대하다. 엘더스크롤 위키는 스카이림이 출시된 2011년 후에 발족한 반면 UESP는 오블리비언이 출시된 2006년 이전에 설립된 위키이다. 당연히 서로간의 양적 질적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물론 스카이림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 입어서 몇몇 부분은 이 위키 쪽이 더 풍성하긴 하지만, 오블리비언과 이전 작품들의 정보는 UESP쪽이 압도적.

또한 나무위키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는 스타크래프트 관련 정보도 이 위키가 더 많다. 각 유닛에 대한 설명, 미션별 공략, 캐릭터나 기타 외전에 대한 서술이 나무위키보다 더욱 자세하다.

그러나 인기 있는 게임이더라도 위키 문화가 활성화되기 전에 나온 것들은 내용이 부실한 경우가 있는 편인데, 가령 롤러코스터 타이쿤은 전반적으로 나무위키에 더 자세히 나와 있다. 특히 롤러코스터 제작 요령 부분은 이 위키는 상당히 간단하게 다루는 데 반해 나무위키에서는 자세히 다룬다. 위키 문화가 활성화된 이후라도 LINE Cookie Run이 아닌 쿠키런 for Kakao의 경우 이 위키보다는 나무위키가 더 자세하다.

포켓몬 위키, 부족전쟁 위키, GTA Wiki, DomiNations! Wiki 등이 있다.

한편 2021년쯤부로 게임피디아를 인수한 건지 통합되었다. 그래서 기존에 팬덤에 있던 게임 위키들이 동명의 게임피디아의 위키로 대처되면서 사라졌다. 대표적인 예시로 마인크래프트 위키가 있다. 원래 Mojang에서 인정한 위키였는데 Fandom에 인수되면서 공식 지위를 잃었다.

4. 비판 및 문제점

일부 이용자는 여기 나무위키의 내용을 FANDOM 계열 위키로 가져오기도 하는데, FANDOM 역시 나무위키와 CCL이 맞지 않기 때문에 저작권 위반 행위이기는 하지만 위키의 규모 등에 따라서 제재가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예시는 선술한 영문판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위키로, 해당 이미지 자체는 여기 나무위키에서 먼저 만들어졌다. 그나마 FANDOM의 한글 위키 편집자들은 이 나무위키 이용자보다는 수가 적기 때문에 이런 일은 드물며, 기타 문단에서 후술하듯이 오히려 반대의 경우가 더 많다.

한국어판에서 '젠'이라고 입력하면 제대로 뜨지 않고 '? '로 뜨는 오류가 있다. 그냥 물음표만 되는 게 아니라 그 옆에 스페이스바까지 쳐져서 나오는 게(? ) 포인트. 여전히 수정이 안 됐고 '? '로 잘못 입력된 것들은 일일이 찾아서 젠으로 수정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언어판에서도 '젠'을 입력하고 수정을 하면 '? '로 변해버린다. 한국어판의 경우 이 오류는 클래식 에디터의 에디터 모드에서 편집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에디터 모드에서 편집 후 소스 모드로 들어가서 수정하거나 아예 처음부터 소스 모드로만 편집하면 된다고 한다.

안드로이드 Chrome을 지원하지 않아 ㅇㅇ을 입력하면 ㅅㅇㅇ 라고 써진다. ㅅ을 지우면 에러가 난다.

간혹 각 위키를 개설하고 운영하는 위키 관리자가 HTML 코드 짜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해당 위키의 레이아웃이 꼬일 때가 있다. 혹은 예기치 않은 오타가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철을 치면 '전전ㅓㄹ'이 나오는 식이다.

특유의 엔진 탓인지 여타 위키 사이트 중 가장 무거운 편에 속한다. 상대적으로 고사양의 프로세스와 메모리를 지닌 PC에선 덜하지만 모바일 환경에선 딜레이를 단번에 체감할 수 있다. 위키 사이트에 오래 접속하면 많은 프로세스 처리량 때문에 AP 점유율이 높아 발열도 높고, 배터리도 빨리 소진되는 편. 어플 쪽은 상대적으로 최적화되어 있지만 한국어 페이지 지원이 제한되어 있다.

대문에 스포일러가 있다고 적어놓아도, 각각 문서들에는 스포일러 경고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마치 나루토 위키의 우치하 오비토 문서처럼 스포일러를 그대로 적어놓는다. 방문할 땐 스포일러를 주의하자.

로그인하지 않으면 역링크(여기를 가리키는 문서)를 보기가 힘들다. 로그인하지 않고 역링크를 보려면 https://해당 위키.fandom.com/wiki/Special:WhatLinksHere/문서명 형태의 번거로운 URL을 입력해야 한다.

선술했듯이 로그인하지 않으면 인기 있는 문서도 보기가 힘들다. 로그인을 하면 PC 기준 Special:WikiActivity 옆의 문서 현황 상자에서 선택해 볼 수 있지만, 로그인하지 않고 역링크를 보려면 한 때 https://해당 위키.fandom.com/wiki/Special:Insights/popularpages 형태의 번거로운 URL을 입력해야 했다. 그나마도 2020년 3월 11일부터 새로 만들어진 위키는 후술할 2017 위키텍스트 에디터 때문에 그 링크 입력마저도 아예 통하지 않는다.

위키피디아가 출처를 중점으로 두다보니 다른 위키는 신뢰하지 않아 직링을 금지하며, 정작 TV Tropes는 주소에 wiki가 없어서 그런지 위키인데도 직접 링크가 가능한데, 그러면서도 같이 주소에 wiki가 없으면서 위키도 아닌 IMDB는 직링을 금지한다. 그런데 이 FANDOM 위키도 산하 위키의 특성에 따라 예외가 아니며 심지어 같은 FANDOM의 산하 위키도 인터위키(언어판({{[en:해당 문서]]}}})가 아닌 산하 위키로의 개별 문서 인터위키([[w:c:해당 위키:문서명|출력]])도 다른 위키와의 교류를 별로 원하지 않는 것 등을 이유로 금지하거나 심지어 심하면 스팸으로 여기고 추가한 사람에게 정지를 먹이기도 한다. 언어판 끼리의 인터위키는 해당 팬덤이 커지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웬만해선 허용하나, 산하 위키로의 개별 문서 인터위키는 물론 장려하는 산하 위키가 있기는 하지만 케바케이다.

설립자나 열성 이용자가 혼자 기여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여기 나무위키보다 문서 사유화가 심한 경우가 잦다. 유저가 정상적인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스타일만 고집해 해당 유저를 정지먹이는 일이 많다. 관리자가 어떤 이유로든 또는 이유없이 위키에서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같은 FANDOM의 산하 위키 인터위키 건과 더불어 위키의 특성에 따라 이 나무위키보다도 비교적 더 편집에 관해 보수적일 수도 있다. 이것 때문인지 결국 2021년 4월 1일부터 FANDOM의 이용 약관이나 산하 위키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규칙을 위반한 경우에만 차단을 때릴 수 있게 되어서 과거와 같은 차단 남발은 비교적 줄어들 수도 있다. 물론 산하 위키에서 관리자 재량이라는 규칙을 만들어 해당 규정을 우회했다면 FANDOM 측에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게 관리자가 좆문가인 경우면 더 답이 없는데, 단지 전치사를 바꿨다는 이유로 반달리즘이라고 난리를 치거나 아예 본인의 뇌피셜을 사실인 것마냥 다루고 그걸 유저들이 수정하면 도리어 반달리즘이랍시고 되돌린다. 소규모 만화게임 관련 사이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인데, 이 경우는 활동하는 관리자가 1명밖에 없어서, 자체적으로 자정 작용이 안 돼 더욱 그렇다. 일종의 파시즘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사실상의 인터넷 독재에 해당하는 셈. 심지어는 해당 유저가 항의를 해서 본인이 논리에서 질 것 같으면 도리어 주제를 바꾸고, 그 주제에서도 질 것 같으면 욕설을 퍼붓는 경우마저 있다.

사실 해당 관리자를 팬덤 위키 중앙 커뮤니티에 신고하면 해당 관리자의 권한이 FANDOM 중앙 내에서 철회되긴 하는데, 이것도 조건이 되게 깐깐한 게 해당 위키에서 차단당할 것이다. 그런데 이미 해당 조건을 아는 관리자가 어떻게 심한 반달리즘을 저지른 게 아니고서야 유저들을 차단하겠는가? 사실상 빛 좋은 개살구인 셈이다. 유저들도 반달리즘으로 차단당하면 자기한테 불리한 방향으로 가 결국 포기하고, 관리자들도 유저들을 차단할 수 없어 자기가 마음에 안 드는 식으로 문서가 고쳐지면 그 문서를 관리자만 수정할 수 있는 식으로 우회해, 조건을 악용하는 관리자만 넘쳐나게 되었다. 말만 팬덤이지 사실상 팬덤(Fandom) 그 자체의 의미를 잃어버린 셈.

문서 밑에 나오는 Fan Feed(팬피드)에는 자신이 많이 갔거나 무작위의 다른 FANDOM 위키의 문서가 뜨는데 가끔 공포 관련 위키나 문서의 혐짤 이미지가 뜰 때가 있다. 결국 팬피드는 2024년 12월 13일 패치로 적어도 이용자수가 적었던 데스크탑에서는 사라져서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이용자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모바일판만 남아 있다.

2014년 중반을 기점으로 하이퍼링크 봉쇄 정책을 피기 시작했다. 대규모 위키의 경우 Vignette 효과를 입힌 건 그렇다 치고 링크의 끝이 확장자가 아니라 '최종 수정 날짜'를 보여주기 때문에 백날 링크 복사해봤자 작은 사진(위키 내에서 열람을 위해 자동 축소된 크기)으로밖에 안 나온다. 하지만 가짜 확장자(?.png / ?.jpg)를 붙여주면 개발살.

2016년 1월 10일 모바일 버전에서 정보상자가 깨짐 현상을 보였다.

2016년 5월 13일부터는 PC 버전이나 모바일 버전이 이미지 로딩 느림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위키 관리자는 이미지 로딩 관한 것 해결 못하는 것 같다

또한 어느새부터 모바일로 위키를 볼 때 푸른색 바탕에 흰 글씨로
영어로도 (지금 접속돼있는) Wiki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곳을 확인해 보세요
라고 쓰여 있는 창이 나와서 시야를 가리는데, 정작 링크를 클릭하면 영어가 아닌 한글 위키가 나온다. 해결 방법은 우측에 × 표시를 누르면 없어지는데, 색이 어두워서 잘 안 보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에서는 있는 문서인데 없다고 뜰 때도 있다.

언제부턴가 아이폰과 PC 한정 대부분 위키 페이지에 납치태그가 적용되기 시작했다. 페이지를 켜놓고 잠시 기다리면, 강제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악질적인 방식. 심지어 화면을 끄고 재접속해도 적용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위키 이용이 불가능할 지경이다.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 PC는 강제 이동해도 하얀 창만 뜬다. 2021년 기준으로는 그런 일이 거의 없어졌다.

2017년 8월 1일부터 원피스 위키는 크롬 페이지 자동 번역이 안 된다. 다른 위키들은 잘 되는데 원피스 위키만 안 된다. 게다가 드래곤볼 위키도 페이지 자동 번역이 안 된다. 앵그리버드 위키 또한 자동 번역이 되지 않는다.

2019년 1월 중반부터 일부 사진은 webp의 형태로 저장되는 등 사진 저장에 불편함이 생겼다. 크롬에서 지원하는 변환 사이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2020년 3월 11일부터 만들어진 위키는 먼저 설명했듯이 통합 커뮤니티 플랫폼(Unified Community Platform, UCP)에 포함된 2017 위키텍스트 에디터만 쓸 수 있는데, 소스 모드에서 편집 및 보기가 매우 느리고, 인기 있는 문서도 볼 수 없는 등 문제점이 많다. 외부 위키 템플릿을 불러오거나(인터위키 템플릿) 슬라이더(슬라이드 쇼랑은 다르다) 기능을 쓰는 것이 안되었던 것은 패치된지 1달 후 쯤에 고쳐졌다. 마이그레이션되기 전에는 해당 위키에 'Attention: In the next few weeks, we are migrating your community and all of its content onto new wiki software. Find out more in this blog post.'라는 문구가 뜬다. 마이그레이션이 되었다면 'Attention: We have migrated your community and all of its content onto new wiki software. Find out more in this blog post. Article Comments and/or Message Walls are still being migrated and content will be incomplete. We will notify you once the migration completes.'라는 문구로 바뀐다. 워낙 문제가 많아서인지 결국 이 프로젝트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지만 동년 10월부터 재개되었다. 11월에는 포켓몬 위키같이 한국 등 영어권이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를 쓰는 큰 위키도 UCP로 마이그레이션 되었으며, 12월 내에는 영어권이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를 쓰는 자잘한 위키도 모두 UCP로 마이그레이션될 예정이다. 12월 말에서 2021년 1월 사이에는 한국의 중앙 커뮤니티도 UCP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었다.

2021년 3월 말경부터 FandomDesktop이란 이름으로 플랫폼 디자인이 변경된다고 공지되었고, 로그인해서 설정란에서 구 버전 디자인을 쓸 수 있게 할 수 있었지만 동년 8월 17일부터 변경이 시작되면서 로그인해도 구 버전 디자인을 쓸 수 없게 되었다. 이전에는 최근 바뀜을 내비게이션을 통해 바로 볼 수 있었지만, 디자인이 바뀌면서 내비게이션에 최근 바뀜 부분을 만들어 놓지 않았다면 보기가 힘들어졌다. 바뀐 문서를 5개 밖에 볼 수 없는 위키 활동 내역이 아닌, 그 이상 볼 수 있는 최근 바뀜을 보려면 상단 아이콘 중 세로로 된 … 부분을 클릭해 특수 문서로 들어간 후 최근 바뀜을 찾거나, https://해당 위키.fandom.com/wiki/Special:RecentChanges 형태의 번거로운 URL을 입력해야 한다.

2021년 플랫폼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문서 내 광고가 붙기 시작했는데, 광고가 붙는 건 서버가 공짜로 뚝 생기는 게 아니며 수익을 발생시켜야 하니 그렇다 쳐도, 광고 때문에 문서 보기가 엄청나게 불편해져 이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온다.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으로 페이지 최상단에서 쑥 내려와 화면 반 정도를 가리는 큼직한 광고와 문서 상단 목차와 본문 사이에 있는 광고가 있는데, 이 둘은 페이지를 로드했을 때 처음부터 있는 게 아니라 문서를 읽기 시작할 때쯤 불쑥 튀어나오면서 페이지 레이아웃 자체를 아래로 밀어내고, 광고 클립이 끝나면 작은 배너로 바뀌면서 또 페이지 레이아웃을 위로 끌어가 문서를 읽는데 엄청나게 방해된다. 모바일에서는 아예 화면 하단을 가려버린다. 로그인을 하지 않았을 때 광고를 많이 볼 수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로그인을 해도 광고창이 가끔 나타난다. 광고도 영상이나 움짤 광고가 많다 보니 엄청나게 눈에 거슬리고, 리소스를 엄청나게 잡아먹는 바람에 저사양 기기에서는 제대로 된 브라우징이 어렵다.

결국 광고가 너무 많은 게 문제라는 것을 인지했는지 2023년 12월 10일~16일부터 게임피디아 플랫폼에서 시작한 위키를 검색하는 로그인 이용자에게는 광고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4.1. 그리머스 쉐이크 논란

2023년 하반기 그리머스 쉐이크 런칭 당일, 맥도날드 위키의 그리머스 항목을 팬덤 측 스태프가 싹 갈아엎는 이 벌어졌다. 유저가 직접 작성한 내용 대신 맥도날드 사측의 요구대로 서술된 내용만이 남아있게 되었는데,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해당 스태프는 셰이크 프로모션 기간동안 해당 항목에 관리자 외 편집 금지 제한까지 걸어버렸다. 거기에 맥도날드 위키의 대문 또한 맥도날드 측 광고 문구로 채워졌으며 이는 유저가 직접 서술하는 커뮤니티 위키의 취지에 제대로 반하는 사건이었다.

광고까지는 백 번 양보하던 사람들도 회사의 광고비를 받은 팬덤 측에 의해 한 순간에 프로모션 페이지가 되어버린 맥도날드 위키에 복잡한 심정을 보였으며, 특히 그리머스 항목의 원본 내용을 서술한 유저가 트위터를 통해 깊은 유감을 드러냈다.

결국 이로 인해서 많은 대형 위키나 공식 혹은 공식에 준하는 위치에 있던 위키들이 팬덤을 떠나 새로운 위키 호스팅 사이트를 찾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전부터 위키 정독을 해칠 정도의 많은 광고와 외부 배너 추가로 탈 팬덤을 진행하는 위키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었으나, 해당 사건이 유저 편집 위키 플랫폼으로서의 팬덤에게 확실히 비수를 꽂았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이런 식으로 엑소더스한 위키 이용자들을 위해 이주한 위키가 존재하는 경우 팬덤을 검색 결과에서 아예 지워버리는 크롬 확장 플러그인이 나왔다.# 팬덤에서 이주하지 않은 위키라도 열람 시 광고가 없는 미러로 리다이렉트시키는 옵션도 있다는 듯.

5. 나무위키로의 인용시 주의점

FANDOM과 나무위키CCL이 호환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며, 스타트렉 위키인 메모리 알파처럼 FANDOM 위키가 나무위키와 호환되는 라이선스를 사용하거나, 당신이 가져갈 내용 전체의 저작자(기여자)가 아닌 이상 FANDOM 위키의 내용을 나무위키로 가져오는 것, 그리고 그 반대로 나무위키의 내용을 FANDOM 위키로 가져가는 것 둘 다 저작권 위반 행위다. 나무위키 내에서 이러한 행위가 발각될 경우 제재를 당하는 건 둘째치고 열심히 번역한 내용이 통삭제될 수 있다.

특히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스타워즈, GTA 시리즈처럼 영미권 서브컬처 관련 문서들은 FAMDOM의 문서를 통째로 번역해 옮겨오거나 구성을 베껴온 뒤 살을 붙인 것들이 대다수이다. 그렇지 않더라도 개별 등장인물의 정보를 표로 작성한다든지 작중 행적을 역사책처럼 서술한다든지 하는 양식은 사실상 FANDOM의 영향을 짙게 받은 것이다. 이렇게 FANDOM쪽 문서를 나무위키로 가져오는 것은 해당 위키의 라이선스가 나무위키와 호환되는 CCL 라이선스가 아니거나, 나무위키의 라이선스와 호환이 된다 하더라도 출처를 기재하지 않았다면 저작권 위반 행위로 제재대상이다. 심지어 같은 나무위키 내에서도 문서 가져옴 틀을 달지 않으면 저작권 위반으로 제재당할 수 있다. 그나마 위키백과의 경우 같은 한국어라 조금만 대조해 보면 저작권 위반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지만 FANDOM 계열 위키를 퍼오는 이용자들은 내용을 외국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하기 때문에 쉽게 알아채기도 어렵다. 굳이 같은 내용을 나무위키에도 기여하고 싶다면 요약을 한 후 링크를 걸어야 하지, 통으로 번역해서 가져오면 안 된다.

단, 위키백과는 같은 미디어위키 문법을 쓰는 데다가 CCL이 호환되어서 그런지 틀 등으로 출처는 남겨야겠지만 위키백과를 포크하는 건 상관이 없다.

6.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위키

6.1. 한국어

6.2. 영어 및 기타 언어

7. 기타

  • 2019년 12월 이 사이트에 영어판 나무위키가 생겼다. 링크는 여기 Namuwiki English Wiki이다. 선술했듯이 과거 엔하위키에서는 해당 행동을 엔하위키 위키아 지부 사건이라는 이름으로 문서를 만들 정도로 이 사이트에 새로운 엔하위키가 생기는 걸 굉장히 싫어했지만, 나무위키는 이와는 상관이 없다. 리그베다는 나무위키 자체를 싫어하겠지 하지만, 문서 수가 저조했는지 언젠가 폐쇄되었고 아예 '없는 위키'라고 뜬다.
  • 이런 영어판 타위키는 여기 나무위키 말고도 TV Tropes의 팬덤판인 Tropedia(구 All the Tropes Wiki) 등이 있다. TV Tropes는 예전에 All the Tropes라며 TV Tropes가 검열로 일부 트로프나 작품은 페이지를 생성할 수 없게 해놓은 것에 대항하여 사람들이 TV Tropes의 내용을 포크하여 다른 사이트로 옮겼는데, 그것의 이 위키판도 있다.


[1] 과거 이름은 위키시티(Wikicities)와 위키아(Wikia).[2] 역대 로고. 위키시티와 위키아 시절의 로고도 포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