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000 ;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 <tablewidth=100%> | ||||
1993년 2월 22일 | 1995년 3월 13일 | 1997년 6월 16일 | 2000년 10월 2일 | 2001년 6월 5일 | |
2003년 6월 9일 | 2007년 10월 10일 | 2011년 2월 18일 | 2016년 5월 8일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xtended Plays ]
{{{#!folding [ Singl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제목 | 러닝타임 | |
<colbgcolor=#E8A66F><colcolor=#000> 1 | <colbgcolor=#fff,#191919>Planet Telex |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19 | ||
2 | The Bends | 4:06 | ||
3 | High and Dry | 4:17 | ||
4 | Fake Plastic Trees | 4:50 | ||
5 | Bones | 3:09 | ||
6 | (Nice Dream) | 3:53 | ||
7 | Just | 3:54 | ||
8 | My Iron Lung | 4:36 | ||
9 | Bullet Proof ... I Wish I Was | 3:28 | ||
10 | Black Star | 4:07 | ||
11 | Sulk | 3:42 | ||
12 | Street Spirit (Fade Out) | 4:12 | ||
|
Just | |||
<colbgcolor=#E8A66F><colcolor=#000> 싱글 발매일 | 1995년 8월 7일 | ||
앨범 발매일 | 1995년 3월 13일 | ||
녹음일 | 1994년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 ||
러닝 타임 | 3:54 | ||
작사/작곡 |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 존 레키 | ||
수록 앨범 | |||
레이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learfix]
1. 개요
공식 뮤직비디오 |
2. 특징
디스토션 걸린 기타의 중독적인 멜로디가 곡을 이끌어 가는 구조로, 미숙했던 1집의 포스트 그런지풍 음악에서 발전하여 세 기타리스트의 안정적인 포지션 배분이 돋보이는 곡이며 포스트 브릿팝과 그 이후의 전자 사운드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완벽한 예이다.현대 생활이 가져오는 우울증, 자기혐오, 소외감이 주제로 노래의 주인공은 자신을 사회에서 거의 지옥으로 몰아가는 편집증을 말하고 자신을 탓한다. 자해한다느니 자살한다느니 하는 친구에게 어차피 네 손해라며 정신 차리라는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롤링 스톤 선정 100대 뮤직비디오에서 62위를 차지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c17c5f> | }}}}}} Can't get the stink off 고약한 냄새를 뺄 수가 없어 He's been hanging 'round for days 그가 며칠을 서성거리고 있지 Comes like a comet 혜성처럼 다가오네 Suckered you but not your friends 널 속였지만, 네 친구들은 아니야 One day he'll get to you 언젠가 그가 네게 올 거야 And teach you how to be a holy cow 그리고 어떻게 하면 놀랄 수 있는지 가르쳐 줄 거야 You do it to yourself, you do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너는 And that's what really hurts 그래서 정말로 아픈 거야 Is that you do it to yourself, just you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건, 너뿐이야 You and no one else 다른 누구도 아니라 너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Don't get my sympathy 내 동정은 구하지 마 Hanging out the 15th floor 15층에서 시간을 보내며 You've changed the locks three times 넌 3번씩이나 자물쇠를 바꿨지만 He still comes reeling through the door 그는 여전히 비틀거리며 문을 지나다녀 One day I'll get to you 언젠가 내가 너에게 가서 And teach you how to get to purest hell 순수한 지옥으로 가는 방법을 가르쳐 줄게 You do it to yourself, you do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너는 And that's what really hurts 그래서 정말로 아픈 거야 Is that you do it to yourself, just you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건, 너뿐이야 You and no one else 다른 누구도 아니라 너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 ● ● You do it to yourself, you do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너는 And that's what really hurts 그래서 정말로 아픈 거야 Is that you do it to yourself, just you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건, 너뿐이야 You and no one else 다른 누구도 아니라 너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하는 거야 Self 자신에게 ● ● ●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You do it to yourself, just you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너만이 You do it to yourself, just you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너만이 You do it to yourself 너는 너 자신에게 그 짓을 해 Written By: Radiohead |
4. 여담
- 뮤직비디오에서 마지막에 남자가 한 말에 대해서 말이 많았는데, 감독 왈 그 남자가 한 말을 들으면 자신도 드러눕고 싶을 것이라고 한다. 모 커뮤니티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말은 THIS IS COMFORT(편안해서)라고 한다.
유튜브 댓글에는 이 말에 대해 온갖 개드립의 향연이 펼쳐져 있다 - 뮤직 비디오의 내용을 성경과 연관지은 해석도 있다.# 이 해석에 따르면 남자가 한 말은 "I've seen a way."이며, 요한복음 14장 6절[1]에서 따온것으로 추측하였다.
- 톰의 자아도취적인 친구에 대한 내용으로 쓰여져 그를 열받게 했다고 한다.
- 작곡 당시 조니와 톰은 누가 더 많은 코드를 만들어내는지 거의 시합을 했다고...
[1]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를 거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로 갈 사람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