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20:17:33

MTR 로템-미쓰비시 전동차/현황


파일:MTR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도시철도 메트로카멜 직류형 (M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CNR 창춘 (C형·S형) | CRRC 쓰팡 (Q형)
광역철도 Adtranz-CAF (A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메트로카멜 교류형 (MLR형) | IKK SP1900형 | CRRC 창춘 (TML-C형) | 현대로템 (R형)
고속철도 MTR CRH380A
경전철 경철 차량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TR 로템-미쓰비시 전동차
1. 현황
1.1. 정관오선 투입분1.2. 뚱충선 투입분

1. 현황

1.1. 정관오선 투입분[T]

<rowcolor=#fff> 차량번호 인버터 소자 소속 제작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colcolor=#7b48a0> A301/A302 <colbgcolor=#58acfa> 미쓰비시 2레벨 IGBT 정관오차량기지[2] 현대로템
미쓰비시 중공업
2001년~2002년 MTR 정관오선 투입 목적[T]
A303/A304
A305/A306
A307/A308
A309/A310
A311/A312
A313/A314
A315/A316
A317/A318
A319/A320
A321/A322
A323/A324
A325/A326

1.2. 뚱충선 투입분

<rowcolor=#fff> 차량번호 인버터 소자 소속 제작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colcolor=#F7943E> V613/V813 <colbgcolor=#58acfa> 미쓰비시 2레벨 IGBT 시우호완차량기지[4] 현대로템
미쓰비시 중공업
2004년~2005년 MTR 뚱충선 증차분
V614/V814
V615/V815
V616/V816

[T] 과거에는 신호 문제로 쿤통선에 투입되었으며, 정관오선에는 구형 차량이 대신 들어갔었다. 본격적으로 본 노선인 정관오선에 투입되기 시작한 시기는 2010년 4월.[2] 將軍澳車廠, Tseung Kwan O Depot[T] [4] 小濠灣車廠, Siu Ho Wan Dep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