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9:09:22

Melody(DJMAX)

파일:DJMAX 로고(블랙).svg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
수록 정보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2008)
장르 Cute Pop
BPM 188
작곡 bermei.inazawa
편곡 bermei.inazawa / UC
보컬 Esprit Lee[1]
BGA BF.(원화), Jin(모션)
[ 가사 보기 ]
둘만의 멜로디

어느 것 하나 의미없던 나 매일매일 똑같은
그런 내곁에 다가와준 네가 있어 웃던 나
보잘것 없는 풍경들도 네가 바꿔 주었지
고마웠어 내 이런 마음 알잖아

항상 둘이라고 해도 슬픈 일들은 싫은걸
눈물이 나도 그래도 네가 있어 다행이야

기억나잖아 우리가 했던 약속들
빛나던 우리의 눈물이
지나간 상처가 있대도
내맘 언제나 너만 보여
들려오잖아 너와 함께라면
언제나 들리는 둘만의 멜로디
너와나 둘이서 함께한 행복을
언제나 마음속에서 느끼고 싶은걸

둘만의 멜로디
너와의 멜로디

1. 개요

bermei.inazawa의 미디움 템포 원곡을 하이템포와 레게 스타일로 어레인지 한 곡. 이번에 새로 참여한 UC는 본인의 곡 외에도 다양한 리믹스에 참여했습니다.
DJMAX 메트로 프로젝트의 수록곡. 수록곡 중 메트로 프로젝트의 전 시리즈에 등장하는 몇 안되는 곡이다. Cute pop이란 장르답게, 아기자기한 구성의 곡에 귀여운 느낌의 보컬이 얹혀진 곡.


미디엄 템포의 원곡.

원곡은 bermei.inazawa가 작곡했고, 느릿한 팝 스타일이었으나 Urbatronic Chopsticks (이하 U.C)의 편곡으로 게임에 수록되면서 하이템포에 레게 리듬이 첨가, 원곡보다 훨씬 빠르고 발랄해졌다.

곡의 분위기에 잘 맞는 BF.(소고기친구)의 깔끔하고 아기자기한 BGA가 일품. 곡에 등장하는 야구 소녀의 이름은 '김유나', 소년의 이름은 '윤진'이라고 한다.[2] 느릿한 원곡을 하이템포로 리믹스해서, 꽤나 빠른 곡이 된 만큼, 야구를 주제로 한 비주얼이 곡과 매치를 잘 이룬다. BGA 도중 유나의 판치라(…)가 잠시 등장하지만 중간에 튀어나온 고양이때문에 절묘하게 가려진다. 덕분에 이 고양이는 리듬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원성을 사게 된다. CE의 콜렉션항목의 이미지[3]에서는 고양이가 없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런데 BS의 콜렉션에서는 또 고양이로 가려져있다.

2. DJMAX CE, DJMAX BS

DJMAX CE에서는 비교적 저레벨로 등장하지만, DJMAX BS키음이 상당히 많이 늘어나 HD패턴의 경우는 고레벨곡이 되어버렸다.

3. DJMAX TECHNIKA 시리즈


MX 패턴

3.1. DJMAX TECHNIKA 1

테크니카에서의 난이도는 LP 3, PP 6, TP 7이다. PP는 2스테이지에서 등장하며, TP는 HeartBeat Set에서 선택곡으로 등장한다.

PP는 레벨 6 곡 중에서는 쉬운 편에 드는 곡이지만, 8박 스크롤 곡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템포에 맞춰 박자를 연속적으로 말려버리기 십상이므로 초보자에게는 그다지 만만치 않은 편. TP는 HeartBeat Set에서의 스코어어택용 곡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래는 The Last Dance가 스코어링 곡이었으나, 점수 체계가 바뀐 후로 이 곡이 더 많은 점수를 주게 되었다.)

PP와 TP의 패턴의 차이는 TP는 후반에 4박자 정박으로 '딱' 하는 키음이 추가된 것 뿐이지만, 그 노트가 멜로디를 따라가는데 상당히 방해가 되기 때문에 따라가지 못하고 말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롱노트 중에 키음이 추가되어 손이 꼬이기에 딱 좋은 패턴이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스크롤 속도가 너무나 애매하다. 스크롤 애매하기로 소문난 테크니카 2의 La Campanella : Nu Rave와 막상막하인 수준. 타임라인을 따라가다가는 타이밍을 놓치기 일쑤고, 곡을 타려 해도 웬만큼 듣지 않으면 갑툭튀하는 신스음에 당황하다가 셔터가 닫힌다. (Y의 후반부 마냥) 이 난이도 덕분에 가사의 일부분이 일종의 몬더그린화되어, "멸망의~멜로디~"[4]라고 조롱당한다. (...)

3.2. DJMAX TECHNIKA 2

패턴 랭크 가격 난이도 설명 비고
Star
NM D 500 Max 5 8박 스크롤
HD D 600 Max 6 8박 스크롤 Golden Disc Set 셀렉곡, HeartBeat Set 셀렉곡
MX B 2400 Max 8 4박 스크롤


DJMAX TECHNIKA 2에서는 팝모드 기준 노멀 5, 하드 6으로 각각 1씩 난이도 표기가 하향되었으며, 9월 13일 3차 맥스샵 업데이트로 레벨 8의 MX패턴이 추가되었다. 4박 스크롤로 스크롤이 빨라지고 박수음이 보라노트로 바뀌고, 전체적으로 The Clear Blue Sky MX와 비슷한 노트 구성과 난이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일단 BPM이 190에 달해 스크롤이 빠르며, 하나의 스크롤이 원래 곡의 박자보다 1박자씩 뒤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한 마디의 보라노트의 끝부분이 다음 마디의 박자에 대응대지 않는 등 박자를 놓치기 쉬우므로 주의할 것.

3.3. DJMAX TECHNIKA 3

DJMAX TECHNIKA 3
패턴 랭크 가격 난이도 설명 비고
Star
Normal D 100 5 8박 스크롤 미션 - 햇살 수록
Hard C 150 6 8박 스크롤 Golden Disc Set 셀렉곡, HeartBeat Set 셀렉곡, 미션 - JUSTice Judgement 수록
Maximum B 200 8 4박 스크롤 미션 - Quad Core 수록

테크니카 3에는 전작 그대로 이식되었다. 그나마 MX패턴이 Raise me up 마냥 BPM 두배인 8박 스크롤은 아니고, 정직한 BPM 190의 4박 스크롤이라는 점은 다행. 스크롤과 보라돌이에 적응한다 생각하고 집중하면 클리어는 어렵지 않다. 대신 점수는 망한다

4. TAP SONIC

TAP SONIC에도 수록되었으며, 처음에는 6라인 레전드 기준으로 6레벨이었으며, 2012년 4월 3일 SIN, Chemical Slave와 함께 신패턴을 얻었다. 신패턴은 나중에 7레벨로 승격되는 영예를 안았다.

5. DJMAX RESPECT & V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b1a68, #000, #000, #7b1a68)"
{{{#!folding [ 수록곡 일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ccessArea 7Beyond the FutureDear my Lady
DJMAXFuryHEXADHoneymoon
I want YouLandscape#s-5Play the Future
RememberShorelineSON OF SUNSuperSonic
The Last DanceThorVoyage
SON OF SUN ~Extended Mix~[L]
DLC 전용 신곡
Do you want it
총 22곡 수록 / [L]: LINK DISC 특전 곡
}}}}}}}}} ||
파일:Melody_1.png
TECHNIKA
Melody
<rowcolor=white> 모드 NM HD MX SC
<colbgcolor=#dc48a1><colcolor=white> 4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260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400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578
파일:djmaxsc15.png 11
929
5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238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422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663
파일:djmaxsc15.png 11
937
6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4
215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436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748
파일:djmaxsc10.png 10
1009
8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209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717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793
파일:djmaxsc10.png 9
865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4B SC를 제외한 모든 패턴에서 곡이 끝날 때 기어가 사라진다. 시즌 10 업데이트로 4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5.1. 4B TUNES

NM HD
MX SC

4B SC는 깔끔한 정박곡인 노래와는 달리 패턴이 꽤나 지저분하다. 비슷한 방향성의 패턴인 SQUEEZE와는 달리 연타는 안 나오지만 BPM이 매우 높기 때문에 연타가 없어도 어렵다.

5.2. 5B TUNES

NM HD
MX SC

5B MX는 BPM이 188로 빠른 축에 드는 데다가 3번 레이저 견제가 중간중간 요상하게 등장하기 때문에 11 치고는 조금 빡셀 수 있는 난이도이다.

5B SC는 상술했듯 BPM이 빨라 밀도가 높고, 전반적으로 트릴에 살이 많이 붙어 나온다. 레이저처럼 가변이 강제되는 패턴은 아니더라도, 좌우 가변 처리를 어느정도 응용해야 훨씬 더 처리하기 편해지기 때문에 가변 처리 능력이 중요한 패턴이기도 하다. 또한 후렴구에 들어가기 전 등장하는 킬링 파트인 1212-5454 겹트릴은 주의해서 처리하자. 전후 8비트씩 텀을 주기 때문에 손이 빠르다면 위치를 옮겨 중지, 약지 대신 검지, 중지로 처리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

5.3. 6B TUNES

NM HD
MX SC

6B MX 또한 12레벨 중에서 상위권에 속한다는 의견이 많다. 패턴 곳곳에 고속 쓸기가 포함되어 있고 후반엔 아예 한 손으로 롱 노트를 잡고 다른 손으로 계단을 쓸어야 하는 패턴도 속속 등장한다.

6B SC는 5B SC처럼 폭타 사이사이 동시치기로 살을 붙여놓은 패턴이 많이 나온다. 다만 노트 배치 자체는 직관적이기 때문에 5B만큼 어렵지는 않다.

5.4. 8B TUNES

NM HD
MX SC

8B SC의 경우 8버튼 특유의 지저분한 배치가 적은데다 5버튼 SC와 달리 박자도 간소화되었다. 트리거보다는 일반 노트 처리력이 요구되지만 후반부의 보컬과 함께 등장하는 트리거 3노트 처리에 주의하도록 하자. 전체적으로 왼손 부등호 패턴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미러를 걸면 처리하기 훨씬 수월해진다.

6. 여담

파일:attachment/cam_mel.jpg

bermei.inazawa가 일본의 동인음악 이벤트인 M3에서 앨범으로 내기도 했다. Melody 원곡 외에도 다른 제작자들이 어레인지한 bermei.inazawa의 곡들이 수록.


미라위(みらゐ)가 어레인지한 Melody의 어레인지 버젼도 수록되어있다. 보컬은 Rita. 원곡 이상으로 빠른 템포로 리믹스되어 상당히 질주감이 있는 곡이 되었다.

이 곡과 관련한 펜타비전의 흑역사가 있다. 리갤에서 찾을 수 있는데, 그 전말은 아래와 같다.

펜타비전과 bermei.inazawa가 이 곡에 대해 계약을 하는데 양측이 모두 계약서를 제대로 읽지 않고 서명해 버렸다. 이 과정에서 bermei가 원곡을 보내주는데, 본래 이 곡은 '편곡 저작권만 허용'된 것이었고, 편곡의 목적으로 U.C에 넘어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펜타비전 측에서는 이를 '원곡 사용 허용'으로 오해해 Black Square의 사운드 트랙 안에 원곡을 무단으로 수록한다. 여기에 bermei와 친분이 있었던 ESTi까지 분노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펜타비전을 비난하는 글을 올리고, 덕분에 유저들 사이에서 펜타비전과 디렉터는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하지만 (쌍방과실이 인정되어) 모두 원만하게 해결되었고, 미리 받아둔 Cozy Quilt는 무사히 수록될 수 있었으며, DJMAX RESPECT부터는 다시 참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저들은 단순히 '트러블이 있었다'는 사실만 알리기에 급급한지라 이 사건이 오히려 더 커졌다. 어차피 흑역사는 흑역사이지만, 앞뒤 잘라먹은 건 지나친 비약으로 보인다.


[1] The Last Dance와 같은 보컬. 두 곡의 보컬의 느낌이 확연히 다르지만 엄연히 같은 보컬이다.[2] 유나라는 이름은 김연아선수의 영어표현 Yuna Kim에서 따왔다고 한다.[3] 파일:DJMAX_CE_WALL_066.png[4] 지역과 게임방에 따라서 '파멸의 멜로디', 불만의 멜로디'라고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