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곡 | 캐릭터 | 스테이지 |
난이도 분석 | 난이도 표기 문제 | 업적 |
1. 대분류
초보 | 레벨 1 ~ 7 사이에 분포한다. |
어려움 | 레벨 3 ~ 9 사이에 분포한다 |
마스터 | 레벨 5~ 11 사이에 분포한다. 어려움 모드에서 정확도 90%(S랭크) 이상을 달성하면 해금된다. |
히든 | 일부 곡에만 등장하는 번외 난이도로 레벨 8 ~ 12 사이에 분포하며 ❓로 표기된 난이도도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12레벨은 모두 히든 곡이다. |
뮤즈대시의 대부분의 곡들은 초보, 어려움, 마스터 난이도 3가지로 구성돼있으며 일부 곡들에 한해서 히든 난이도가 하나 더 있는 방식이다. 다만 Magical Wonderland처럼 초보, 어려움 난이도만 존재하는 곡들도 있고[1][2] umpopoff나 PEROPERO 兄★貴★乱★舞처럼 단일 난이도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동방 프로젝트 콜라보 곡들은 기본 3가지 난이도 외에 별도의 탄막 모드가 존재한다.
히든 난이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마스터 난이도 버튼을 광클하면 된다. 몇몇 곡들의 경우 특별한 진입 방법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단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 [ ▶ 히든 채보 진입 루트 ]
- * 동방 프로젝트 곡 전부: 하쿠레이 레이무를 선택한 상태로 음양옥 더블클릭, 혹은 키리사메 마리사로 팔괘로 더블클릭
- GOODTEK(Hyper Edit): 날짜를 4월 1일로 변경
- Sweet* Witch* Girl*: 날짜를 11월 1일로 변경
- Misty Memory: 오전 6시~오후 5시 59분에는 낮버전, 오후 6시~오전 5시 59분에는 밤버전으로 바뀐다
- FREEDOM DiVE↓: 화면을 누른 채로 원을 여러번 그리기
- XODUS: 화면에 X자를 그리기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마스터 난이도를 선택한 상태에서 ←, ←, →, →, ←, ←, →, → … 입력
- MUSE RADIO FM 102, Super Battleworn Insomniac, Heracles, Flower snow and Drum'n'bass, Yume Ou Mono Yo, Echo over you...: 난이도 선택창 진입 전인 곡 선택창에서 앨범 아트를 꾹 누르고 있기
- CHAOS (Glitch): 메인메뉴에서 보관함 탭으로 이동한 뒤 Cytus 콜라보 Live2D 애니메이션을 재생한다. 조금만 기다리면 태블릿에서 벨소리가 울리는데 이 때 태블릿이나 위에 떠오른 홀로그램을 클릭하면 히든 채보로 진입할 수 있다.
2. 세부 난이도
- ★1~2: 튜토리얼과 비슷한 수준으로 초기에 자동설정된 조작법만 숙지해도 클리어가 가능하다. 스크롤 속도는 1(최저치)로 고정이며, 2비트 혹은 4비트로 구성되며 시각적인 트릭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어려운 부분은 롱노트나 매셔로 처리된다. 쉬운 난이도로 인해 자동피버로는 랭킹보드를 진입하기 매우 힘들다.
- ★3~4: 대표적인 저레벨로 분류되며 1,2성보다 밀도가 조금 높아지지만 여전히 단노트 위주로 구성된다. 4비트로 박자를 잡으며 변화를 주기 시작한다.
- ★5~6: 이제 간단한 8비트 패턴이 포함되고, BPM에 따라 스크롤 속도 2도 종종 사용된다. 유령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망치, 동시치기, 돌격하는 적 등 대부분의 특수 노트가 포함되지만 가장 간단한 형태로 사용된다.
- ★7: 뮤즈대시에 수록된 대부분 곡들의 어려움 레벨로 팩을 가리지 않고 가장 흔히 등장하는 난이도 중 하나이다. 8비트가 더 자유롭게 사용되고, bpm이 낮을 경우 3연타 이하의 간단한 16비트 패턴이 포함된다. 노트 사이에 톱니가 들어가거나 망치가 연속으로 나오는 등 특수 노트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다.
- ★8: 체감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지는 레벨로 비기너가 도전하기에 어려운 패턴이 등장하며, 점점 4키 이상을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16비트가 4연타 이상으로 등장하고, 8비트에서는 지그재그를 제외한 대부분의 패턴이 자유롭게 사용된다. 복선의 비중이 늘어나고 엇박이 활용되기 시작한다.
- ★9: 리듬게임을 처음 접하는 유저라면 벽을 느낄 수 있는, 고레벨의 초입 구간. 불레벨 물레벨이 많고 그만큼 난이도 변경이 잦은데, 특히 XODUS,ouroboros, ouroVoros, Tiny Fate, Nightmare, Prism Fountain, Eeliaas, Time Capsule, Haunted Dance 등 11성이나 12성 보스곡들의 해금단계에 위치한 9성들은 어려운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 시각적 혼란을 주는 요소가 늘어나 점점 암기를 요하는 부분이 많아지고, 16비트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만 아직까지는 짝수 단위로 균등하게 배치된다. 동시치기나 롱노트 전후에 난해한 패턴을 배치해 실수를 유발하기도 한다. 제한적이지만 겹쳐진 노트도 등장하기 시작한다.
- ★10: 레벨이 두자릿수로 바뀌는 만큼 이 때부터 고렙으로 인식하는 유저들이 많다. 치유,콜라보팩 마스터에 주로 포진되어 있고 치유팩의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미뤄지며 현재는 오타쿠팩이나 여타 콜라보팩, 보완계획에서도 10성이 흔하게 채택되고 있다. 16비트 패턴이 더 자유로워지며, 2연타, 3연타등의 균일하지 않은 노트를 본인의 키배치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처리력이 요구된다. 24비트 이상의 초고속 연타도 단순하게나마 구현되고, 겹쳐진 노트도 심심치 않게 사용되며 유령과 망치를 이용한 복합적인 패턴도 등장한다. 대부분 BPM이 160을 넘기며 이에 맞추어 스크롤 속도 역시 최고 속도(3)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쏟아지는 보스 투사체나 망치 등을 처리하기 위한 높은 동체시력이 요구된다. 9성 중 불레벨곡들이 10성으로 승격했지만 AP 클리어 자체는 10성 하위수준에 불과했고 반대로 10에서 하향된 9성은 동체급에서 다소 어려운 난이도를 보인다.
- ★11: 해당 난이도는 뮤즈대시에 수록되는 음악팩의 보스곡라인을 주로 차지하는 레벨로 한개의 팩에 3곡이상이 11성으로 배정되는 경우도 있다. 고난이도라 불리는 10성 최상위권 몇곡과 11성 최하위가 겨우 비벼지거나 동등하다고 인식되니 비교자체가 의미없는 별격의 수준이다. 리듬게임 고유특성상 빠른 BPM의 영향을 받아 유저가 노트를 처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범위안에서 스크롤가속은 거의 최대치를 찍게 된다. 스크롤자체가 느리다면 그만큼 밀도가 높아보이는 효과를 보게 된다. 적게는 700~800단위 많다면 1200개가 넘는 다량의 노트가 등장하며 페이즈에 따라 패턴이 바뀌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하나하나 캐치하다간 눈과 손목등 신체적 피로가 뒤따를 수 밖에 없다. 비슷한 형식의 리트라이가 계속되는데 이런 상황이 쌓일수록 집중력은 약해지고 스트레스가 늘기 때문에 온전한 AP까지 매우높은 수준의 노력+실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정도면 유저들이 왜 고레벨곡을 기다리는지 모르겠지만 고레벨곡은 대부분 리듬게임이나 비슷한 장르의 대회곡, 타 리듬게임과의 콜라보로 인기곡을 수록해온다. 랭킹페이지 상위권 유저들은 대부분의 클리어 상태가 AP이기 때문에 클리어의 여부가 아닌 새로운 곡으로 얼마나 신박하고 재밌는 패턴이 나오느냐가 관건인 모양이다. 최근 업데이트 진행상황을 보면 일부곡에서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같은 11레벨에서도 급이 나뉘게 되었고 그 전 중저~중상레벨(10레벨 최상~11중상+최상)과 체급은 더욱 벌어진 상황이다. 오히려 11성 최하위권은 10성으로 강등시켜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견도 보인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5px -11px; word-break: keep-all" | |||
FREEDOM DiVE↓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 XODUS | |
Doppelganger | Niki Tousen | AlterLuna | |
Ré:Ré | Spider's Thread | ||
*12레벨 곡들은 전부 히든 난이도에 해당함 |
- ★12: 히든 채보에만 등장했던 난이도로 Muse Dash의 최고 표기 난이도이다. HARDCORE TANO*C와 콜라보를 기념하는 곡 중 하나인 XODUS의 히든으로 처음 등장했다. 12렙의 대표주자인 XODUS를 예로 들면 1300개가 넘는 다량의 노트, 200+BPM을 기반으로 16비트 이상의 연타가 플레이 내내 난무하고 키배치없이 풀콤보를 유지하기도 어려울 정도의 폴리리듬을 덤으로 초기 스카이워드,스크릭처럼 해당 점수조합으로 클리어만 해도 랭킹보드 1페이지에 오를 정도였다. 이후 11성에서 불레벨로 평가받고 있던 FREEDOM DiVE 히든과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히든, Doppelganger 히든이 각각 12성으로 상향되었고 2024년 03월29일 만우절 이벤트로 등장한 morimori Atsushi와 uma의 합작 Ré:Ré가 12성으로 책정되고 기존에 있던 MD보완계획 수록곡 BlackY의 AlterLuna 히든12성이 추가되었다. 이는 XODUS를 공개하고 3년만에 정식수록이다. 평가자체는 11성 최상위권 패턴들과도 겨우 비빌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LeaF의 Queen Aluett와 HARDCORE TANO*C의 BATTLE NO.1의 경우도 출시 이후 괴랄한 패턴으로 많은 유저들이 12성으로 승격할 것이라고 추측했으나 12성에 오르지 못하고 11+수준으로 남은 것을 보면 최고레벨인 12성의 위치를 다소 알려주는듯 하다. 최근에는 uma와 Morimori Atsushi의 합작인 Niki Tousen 히든11성이 12성에 근접하는 최후살을 보여줌과 더불어 AlterLuna가 12성 하위권을 메꿔줄 것으로 보여 간격은 점점 좁혀지고 있다. 2024년 05월 24일 츄니즘콜라보가 정식수록되었고 전술했던 Niki Tousen은 높은 스코어링 난이도로 인해 11성→12성으로 승격했다. 또한 きくお와 cosMo@暴走P의 합작 蜘蛛の糸, 속칭 '거미줄'이 12성으로 같이 배정되어 2개월만에 12성이 다시 수록되었고 이로써 12성은 현재 8곡이다.
- ❓또는 그 외의 표기[3]: 해당 난이도는 곡 대부분이 유령노트로 되어 있거나, 특수한 기믹이 있거나, 노트가 사라지는 등의 히든 악곡이나 특수한 악곡에 이 난이도가 붙는다.
[1] 기본 패키지의 저레벨 곡들이 이 케이스에 속한다.[2] 다만 Yume Ou Mono Yo나 Echo over you...의 경우 하단에 기술된 방법을 통해 3개의 난이도를 추가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히든에 진입할 경우 두 곡 모두 1/4 → 6/8/10으로 변경된다.[3] 대표적인 예시로 Rush-Hour가 있다. IG, Jh, a2, Eh 총 4가지 난이도로 돼있는데 모든 문자열을 합쳐서 UTF-8로 디코딩할 경우 baka!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