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5:29:28

PLATiNA :: LAB

플라티나 랩
PLATiNA :: LAB
파일:PLATiNA :: LAB_capsule.jpg
<colcolor=#fff,#fff><colbgcolor=#5967ff,#5967ff> 개발 HIGH-END Games
유통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STOVE
장르 리듬 게임
엔진 Unity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4월 11일(얼리 엑세스)
파일:세계 지도.svg 2026년(정식 출시)
지원 언어 한국어, 일본어, 영어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스토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개발진4. 발매 전 정보5. 시스템
5.1. 게임 플레이
5.1.1. P.A.T.C.H.
5.2. 스토리 모드
6. 등장인물7. 수록곡8. 연구일지9. 평가10. 여담

1. 개요

<colbgcolor=#5967ff,#5967ff><colcolor=#fff> Early Access PV
데이터베이스를 모티브로 한 신개념 캐릭터들과 함께하는 새로운 리듬 게임!
특별한 능력을 지닌 '디코더'의 이름으로 잠겨진 데이터 세계의 비밀을 풀기 위한 'PLATiNA :: LAB'의 연구에 함께해 주세요.
HIGH-END Games에서 개발한 PC 건반형 리듬 게임. 약칭은 플랩.

2. 시스템 요구 사항

파일:PLATiNA :: LAB.svg
<rowcolor=#01e7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color=#fff> OS Windows 10 64비트
CPU 인텔 코어 i3 프로세서
AMD Ryzen 5 프로세서
인텔 코어 i5 프로세서
AMD Ryzen 5 프로세서
RAM 4GB 이상 8GB 이상
VGA NVIDIA GeForce GTX 960
AMD Radeon R7 370
NVIDIA Geforce GTX 1060
AMD Radeon RX 580
API DirectX 11
네트워크 초고속 인터넷 연결
저장 공간 10 GB 20 GB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추가 사항 펼치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212529,#e0e0e0> ASIO
ASIO 사운드 출력 지원 기능에 전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사운드 카드 필요
오디오 인터페이스 없이도 ASIO4ALL, FlexASIO 등의 소프트웨어로 사용 가능
NVIDIA Reflex[1]
NVIDIA Reflex 미지원 (얼리 액세스 기준)
리플렉스 기능에 GeForce GTX 900 이상의 그래픽카드 필요
리플렉스 부스트 기능에 GeForce RTX 3000 이상의 그래픽카드 필요
}}}}}}}}}

ASIO를 출시 초기부터 지원한다. 설정 가능한 최저 버퍼 값은 64다.
단, 2025년 4월 15일 기준 ASIO 사용 시 조건 불명으로 버퍼가 512로 강제 설정되는 오류가 있어 수정 중에 있다.

NVIDIA Reflex는 얼리 액세스 기준 지원하지 않는 상황이며, 프레임 제한으로 300 혹은 무제한으로 설정이 가능하지만 무제한 설정 시 Reflex 환경과 달리 GPU를 가급적 최대 부하로 쓰기 때문에 부하를 줄이고 싶다면 수동으로 Nvidia 제어판을 통해 최대 프레임 제한을 개별 설정해야 한다.[2]

3. 개발진

개발진 목록
<colbgcolor=#5967ff,#5967ff><colcolor=#fff> Game Designer revol21c[3], 블루스크린
Sound Designer Mayo (jam-jam)
Programmer Dev_Taehui[4], clzhd2, tpn, integraldx
Graphic Designer Vei, cannabee., 잡초보호, Tofa Kim
Illustrator 쭐어, DDANGBI, kiosk
Scenario 지우
Pattern Designer Vei, 캬라메루, 모과맛, TL, TREAT? (D.Flash)
Speacial Thanks DEATHFOX, PUNEW, seibin, Sobrem

4. 발매 전 정보

  • 2024 PlayX4 시행 전날인 5월 22일, 치지직의 리듬 게임 스트리머 김편집게임 홍보 및 시연 방송을 진행하여 유저들의 큰 기대와 주목을 받았다.
  • 2024 PlayX4에서 최초 공개되었다.
    • 데모 버전 당시에는 5LINES와 5LINES+ 모드 또한 계획되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 부천만화축제 공개 버전 기준으로 선곡창 진입 시 캐릭터 음성이 출력된다.
  • 2024년 10월 10일부터 11월 11일까지 텀블벅에서 크라우드 펀딩이 진행되었다.#
  • 2024년 10월 27일, REMILIA가 시연 방송을 진행하였으며, 동년 11월 1일 김편집의 시연 방송 또한 진행되었다.
  • 2025년 2월 8-9일, 일러스타 페스 6 부스에 참가하였다.
  • 2025년 3월 19일, 스팀 페이지가 공개되었다.
  • 2025년 4월 6일, 첫 번째 라이브 방송을 통해 얼리 엑세스 버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였다.

5. 시스템

5.1. 게임 플레이

  • 일반적인 방식의 건반형 리듬 게임이며, 2개의 플레이 모드(4LINES, 6LINES)가 있다.
  • 난이도는 일반 난이도 3종류(EASY, HARD, OVER)와 PLUS 난이도[5]로 구성되어 있다.
    • PLUS 난이도의 채보는 한 악곡에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 최고 레벨은 4LINES와 6LINES 모두 28이다. (얼리 액세스 버전 기준)
  • 타 리듬 게임과는 달리 디바이스 전체를 감싸는 초록색 노트인 PITCH 노트가 내려올 수 있다. PITCH 노트가 내려오기 전에 PITCH라고 적힌 경고가 표시되며, 기본적으로 Enter 키를 눌러 처리할 수 있다.[6]
  • 판정은 PERFECT · HIGH, PERFECT, GREAT, GOOD, MISS로 총 다섯 가지가 있다.[7] 이를 통해 달성률(JUDGE)과 점수(SCORE)를 각각 집계하며, 집계 방식은 다음 표와 같다.[8] 실시간 플레이에서는, 달성률을 확보 수치[9]가 아닌 평균 수치[10]로 표기된다.
    <rowcolor=#fff> 판정 달성률 점수

    PERFECT · HIGH 100% 200

    PERFECT 150

    GREAT 70% 100

    GOOD 30% 0

    MISS 0%
  • 채보를 특정 상태로 완료할 때 나오는 결과가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 랭크는 총 열 가지가 있으며, 채보 달성률에 따라 결정된다. 각 랭크에 대한 달성률 범위는 다음 표와 같다.
    <rowcolor=#fff> 랭크 달성률

    SS+ 99.8% ~ 100%

    SS 99.5% ~ 99.7999%

    S+ 99.0% ~ 99.4999%

    S 98.0% ~ 98.9999%

    AA+ 97.0% ~ 97.9999%

    AA 95.0% ~ 96.9999%

    A+ 90.0% ~ 94.9999%

    A 80.0% ~ 89.9999%

    B 70.0% ~ 79.9999%

    C 0.0% ~ 69.9999%
  • DJMAX RESPECT V와 유사하게 롱노트 콤보는 존재하지만 틱 카운트가 노트수에 반영되지는 않는다.
  • 곡을 다섯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섹션별로 판정 및 콤보 측정이 가능하다.[11]
    • 전체 콤보와는 달리, 섹션별 콤보에서 롱노트는 하나의 단타 노트로 취급하여 계산된다.
  • 채보 결과와 마찬가지로, 섹션별로도 판정 세부 내용에 따라 결과가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 CONNECT SUCCESS (커넥트 성공): 섹션 내 MISS 판정이 있지만, HP가 0이 되지 않고 섹션 완료
      • 섹션별 결과창에서 주황색 배너/스펙트럼으로 출력되며, 스펙트럼에서 갈색 띠를 통해 어디서 MISS 판정이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FULL CONNECT (풀 커넥트): 섹션 내 모든 판정을 MISS 판정 없이, GOOD 판정 이상으로만 처리[12]
      • 섹션별 결과창에서 초록색 배너/스펙트럼으로 출력된다.
    • PERFECT CONNECT (퍼펙트 커넥트): 섹션 내 모든 판정을 PERFECT 판정 이상으로만 처리
      • 섹션별 결과창에서 보라색 배너/스펙트럼으로 출력되며, 배너에는 반짝임 효과가 추가된다.

5.1.1. P.A.T.C.H.[13]

  • 게임 내 실력 척도를 나타내는 시스템[14]으로, 4LINES와 6LINES를 구분하여 종합 P.A.T.C.H.가 각각 측정된다. 종합 P.A.T.C.H.는 채보별 P.A.T.C.H.의 상위 50개(Top 50)를 합산한 수치로 정해진다.
    • 명확히 설명하면, 같은 악곡의 다른 채보가 모두 Top 50 안에 들면, 해당되는 채보의 P.A.T.C.H. 전부가 종합 P.A.T.C.H.에 반영된다.
  • 채보별 P.A.T.C.H.의 산출 공식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기본 P.A.T.C.H.의 최대치는 '레벨 × 42'(일반 난이도 기준)이며, PLUS 난이도의 경우 2% 추가[15]된다.[16]
    • 기본 P.A.T.C.H.는 랭크와 달성률에 따라 결정되며, 구체적인 수식은 다음과 같다.
      (기본 P.A.T.C.H. 최대치) × (달성률) × (랭크 배율)
    •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각 채보별 기본 P.A.T.C.H.의 최대치를 100%로 잡았다.
      <rowcolor=#fff> 랭크
      (최소 달성률)
      랭크
      배율
      기본 P.A.T.C.H. 범위 랭크 달성
      P.A.T.C.H.
      [17]

      C (0%) 0.2 <colbgcolor=yellow> 0% ~ 14% -

      B (70.0%) 0.3 21% ~ 24% 7%

      A (80.0%) 0.4 32% ~ 36% 8%

      A+ (90.0%) 0.5 45% ~ 47.5% 9%

      AA (95.0%) 0.6 57% ~ 58.2% 9.5%

      AA+ (97.0%) 0.7 67.9% ~ 68.6% 9.7%

      S (98.0%) 0.8 78.4% ~ 79.2% 9.8%

      S+ (99.0%) 0.9 89.1% ~ 89.55% 9.9%

      SS (99.5%) 0.95 94.525% ~ 94.81% 4.975%

      SS+ (99.8%) 1 99.8% ~ 100% 4.99%
  • 예를 들어, 「Strawberry Cake」 6L HARD (Lv.17)에서 96.5%(AA)를 달성하면 413.40점,[18]
    「Stellar Hitchhiker」 4L PLUS(2) (Lv.28)에서 99.2%(S+)를 달성하면 1070.93점[19]이다.[20]
  • 퍼펙트 디코드 달성 시 기본 P.A.T.C.H.의 최대치를 획득하고, PERFECT · HIGH 판정 비율에 따라 기본 P.A.T.C.H. 최대치의 최대 10%만큼 퍼펙트 보너스로 P.A.T.C.H.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21] 다만 MAX P.A.T.C.H. 커트라인을 제외하고, 비율별 보너스를 구하는 공식은 아직 정확히 확인되지는 않았다.
  • MAX P.A.T.C.H.: 퍼펙트 보너스를 최대로(10%) 획득[22]한 경우로,[23] 퍼펙트 디코드를 달성하고 PERFECT · HIGH 판정으로 98% 이상 처리하면 달성할 수 있다.[24] 이때 P.A.T.C.H. 값이 연보라색으로 강조된다.
  • 소수점 3번째 자리 이하는 버린다.
  • 종합 P.A.T.C.H.에 따라 엠블렘이 있으며 5000점 단위로 구분된다.[25] 엠블렘 명칭이 정보 단위SI 접두어다.
    <rowcolor=#fff> 엠블렘 점수

    비트 (b) 0 ~ 4999.99

    니블 (n) 5000 ~ 9999.99

    바이트 (B) 10000 ~ 14999.99

    데카 (da) 15000 ~ 19999.99

    헥토 (h) 20000 ~ 24999.99

    킬로 (k) 25000 ~ 29999.99

    메가 (M) 30000 ~ 34999.99

    기가 (G) 35000 ~ 39999.99

    테라 (T) 40000 ~ 44999.99

    페타 (P) 45000 ~ 49999.99

    엑사 (E) 50000 ~ 54999.99

    제타 (Z) 55000 ~ 59999.99

    요타 (Y)60000 ~

5.2. 스토리 모드

알 수 없는 이유로 잠겨버린 데이터 세계를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한 연구가 한창인 PLATiNA :: LAB

이곳의 연구원인 아이링, 밤비, 케이크와 함께
다양한 DB들과 마주하며 세계의 비밀을 밝혀 보세요.

독특한 세계관 속에서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풀 보이스 더빙과 함께 몰입감 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등장 캐릭터들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 모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텀블벅 펀딩 목표금액 600% 초과 달성으로 캐릭터 별 서브 스토리가 추가되며, 2024년 10월 20일 목표금액 1000% 초과 달성으로 모든 스토리에 음성이 추가될 예정이다.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LATiNA :: LAB/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등장인물#|]][[PLATiNA :: LAB/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수록곡

<rowcolor=#fff> TRACK SHOWCASE Part.1 TRACK SHOWCASE Part.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LATiNA :: LAB/수록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수록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수록곡#|]][[PLATiNA :: LAB/수록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연구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LATiNA :: LAB/연구일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연구일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LATiNA :: LAB/연구일지#|]][[PLATiNA :: LAB/연구일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평가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04-19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43047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9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430470/#app_reviews_hash|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10. 여담

  • 게임 디자이너인 블루스크린이 X에 업로드한 게시글에서 게임에 대한 뒷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다.
  • 제작진 중 DJMAX RESPECT V의 개발에 참여한 인물이 다수 존재한다.[26]
  • 스팀에서 서비스하는 리듬 게임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Valve Anti-Cheat를 사용한다.

[1] 리플렉스 및 리플렉스 부스트는 엔비디아에서 개발한 시스템 지연 감소 기술이다. 리플렉스 혹은 리플렉스 부스트 사용 시 인게임 프레임레이트를 최대로 끌어올리며, 리플렉스 부스트는 GPU 클럭까지 최대로 사용한다. 참조[2] 이 경우 최대 프레임을 1000까지 제한시킬 수 있다.[3] 과거 로키 스튜디오 소속의 인물로 PS4 DJMAX RESPECT와 스팀 버전의 DJMAX RESPECT V의 게임 디자이너로 일을 하였다. 또한 NB RANGER - Virgin Force에서 엔비 레드 역을 맡기도 했으며, Do the G에 기타프릭스 초고수로 출연한 적이 있다.[4] Qwilight 개발자[5] DJMAX RESPECT V의 8버튼 또는 사운드 볼텍스와 비슷한 형태를 띈 플러스 노트가 추가된 난이도. 기존에 다른 모드로 계획되었던 4LINES+, 6LINES+ 모드가 난이도의 형태로 통합된 것이다.[6] 원래는 키 변경이 불가능했으나 2025년 4월 16일 업데이트로 변경이 가능해졌다.[7] PERFECT · HIGH는 PERFECT의 세부 판정이다.[8] 달성률은 유비트 시리즈, 사운드 볼텍스 등의 만점제 스코어에, 점수는 사운드 볼텍스beatmania IIDX의 EX 스코어와 같은 세부판정 위주 스코어에 가깝다.[9] DEEMO에서 표기하는 방식[10] DJMAX RESPECT에서 표기하는 방식[11] GITADORA 시리즈의 시스템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실제로 GITADORA 시리즈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 맞다고 한다.[12] 섹션의 총 노트 수 = 섹션의 맥스 콤보 수[13] PLATINA Aptitude Test & Calibration Hub - 플라티나 적성 검사 및 판정 조절 허브[14] 사운드 볼텍스볼포스GITADORA 시리즈의 스킬 포인트 등 다른 리듬게임의 레이팅 시스템과 유사하다.[15] 즉, 최대치는 '레벨 × 42.84'[16] 즉, 같은 레벨의 동일한 달성률라면 PLUS 난이도 채보가 일반 난이도 채보보다 2% 더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레벨이라도 일반 난이도보다는 PLUS 난이도에서 고득점을 많이 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17] 실시간 플레이에서 랭크 컷을 넘기는 순간에 P.A.T.C.H.가 증폭되는 양, 또는 결과에서 랭크가 한 단계 상승했을 때 획득하는 가치를 의미한다.
(예시) 「koi allergy」 4L OVER (Lv.20) AA+랭크 → S랭크로 랭크 상승: 42 × 20 × 9.8% = 82.32점
[18] 42 × 17 × (96.5% × 0.6) = 714 × 57.9%[19] 42 × 28 × 1.02 × (99.2% × 0.9) = 1199.52 × 89.28%[20] 참고로 같은 악곡의 일반 난이도(OVER Lv.28)에서 동일한 달성률을 달성할 경우 1049.93점으로 21점 낮다.[21] 반대로 말하면, 퍼펙트 디코드를 달성하지 못해서 기본 P.A.T.C.H.를 최대로 받지 못하면 퍼펙트 보너스를 획득할 수 없다. 즉, PERFECT · HIGH 판정을 아무리 많이 받아도 GREAT 판정 이하가 하나라도 있으면, PERFECT · HIGH 판정을 더 적게 받은 결과보다 더 낮을 수 있다는 말로, 요약하면 퍼펙트 디코드를 달성했을 때에만 PERFECT · HIGH와 PERFECT의 P.A.T.C.H. 차이가 생긴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비교하면, GREAT 판정 단 한 개를 제외하고 모두 PERFECT · HIGH 판정을 받은 결과보다 PERFECT · HIGH 판정 없이 PERFECT 판정만 받은 결과가 더 높다.[22] 일반 난이도는 '레벨 × 46.2', PLUS 난이도는 '레벨 × 47.124'[23] 다른 리듬 게임에서 보편적으로 '이론치'로 불린다.[24] 따라서 MAX P.A.T.C.H.를 달성하고자 할 때 필요한 조건인, PERFECT 판정 개수의 커트라인을 (총 노트 수) / 50(소수점 이하 버림)으로 구할 수 있다.[25] 즉, LINE별로 채보를 50개 이상 플레이했다는 가정 하에, 채보당 평균적으로 100점 단위로 엠블렘 등급이 한 단계씩 구분된다.[26] 수장인 revol21c부터 로키 스튜디오 출신이었다가 퇴사한 뒤 회사를 세웠고, 패터너인 TREAT? 역시 과거 D.Flash 명의로 DJMAX의 패턴팀으로서 패턴을 제작해 왔다. 또한 사운드 디렉터인 Mayo 역시 Studio LAY-BACK 소속으로 DJMAX 시리즈에서 활약해 오던 jam-jam이었음이 기사를 통해 밝혀지며 다시 한 번 충격을 주었으며, 신진 작곡가인 Parang 역시 레이백 소속으로 2024년까지 활동하다 전속 작곡가로 이적했다는 소식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