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노을 디스코그래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display:inline-block;min-width:30%" {{{#!folding [ 정규 앨범 ] | 1집 | 2집 | 3집 | 4집 |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 2020 |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2021 | After the Magic 2023 | Sky Hundred 2024 |
- [ 라이브 앨범 ]
- ||<rowbgcolor=#fff><tablewidth=45%>[[After the Night|]]||
After the Night
2023
<colbgcolor=#2e9afe><colcolor=#fff> 파란노을 Parannoul | |
| |
출생 | 2001년 |
데뷔 | 2020년 1월 17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0-01-17)]일째, [age(2020-01-17)]주년) |
링크 | |
서명 |
1. 개요2. 상세3. 디스코그래피
3.1. 끝이별3.2. 파란노을
4. 참여5. 공연6. 방송7. 여담3.2.1. 정규
3.3. Mydreamfever3.4. Huremic3.2.1.1.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3.2.1.2.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3.2.1.3. After the Magic3.2.1.4. Sky Hundred
3.2.2. 라이브3.2.3. EP3.2.4. 싱글3.2.4.1. Into the Endless Night
3.2.5. 컴필레이션 및 콜라보1. 개요
대한민국의 원맨 밴드&싱어송라이터.2. 상세
이전에는 '끝이별'이라는 명의로 활동했었다.2020년 정규 1집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을 발표하며 정규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듬해 발표한 두 번째 앨범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이 미국 미디어 피치포크에서 8.0 평점을 받는 등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빠르게 입지를 다졌으며 현재 한국 인디 신에서 음악적으로 최고의 평가를 받는 뮤지션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부터는 Mydreamfever라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활동하였다.
2025년부터는 Huremic이라는 사이드 프로젝트로도 활동하였다.
3. 디스코그래피
3.1. 끝이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란노을/끝이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란노을/끝이별#|]][[파란노을/끝이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파란노을
3.2.1. 정규
3.2.1.1.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
Let's Walk on the Path of a Blue Cat | |
| |
발매일: 2020. 01. 17. / 2021. 08. 23. | |
트랙 | 제목 |
01 | 오늘의 하늘은 맑음 |
02 | 꿈속의 이명 |
03 | Path of a Blue Cat |
04 | 변해가는 의미 |
05 | Bright Dark, Lost Shoelaces, One Year of Failure |
06 | 혼자 걷는 숲 |
07 | Tone After Tone |
08 | Reincarnation |
09 | 사라지는 의미 |
10 | The Next Day |
3.2.1.2.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 |
| |
발매일: 2021. 02. 23. / 2021. 04. 19. | |
트랙 | 제목 |
01 | 아름다운 세상 |
02 | 변명 |
03 | 아날로그 센티멘탈리즘 |
04 | 흰천장 |
05 | To See The Next Part Of The Dream |
06 | 격변의 시대 |
07 | 청춘반란 |
08 | 엑스트라 일대기 |
09 | Chicken |
10 | I Can Feel My Heart Touching You |
3.2.1.3. After the Magic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After the Magic | |
| |
발매일: 2023. 01. 28. | |
01 | 북극성 |
02 | 불면증 |
03 | 도착 |
04 | 우리는 밤이 되면 빛난다 |
05 | Parade |
06 | 스케치북 |
07 | Imagination |
08 | Sound Inside Me, Waves Inside You |
09 | 개화 |
10 | After the Magic |
3.2.1.4. Sky Hundred
Sky Hundred | |
| |
발매일: 2024. 08. 03. / 2024. 08. 07. | |
트랙 | 제목 |
01 | 주마등 |
02 | 황금빛 강 |
03 | Maybe Somewhere |
04 | 고통없이 |
05 | 암전고백 |
06 | Evoke Me |
07 | No One Talks About It Anymore |
08 | 시계 |
09 | 후회하는 의미 |
10 | 환상 |
3.2.2. 라이브
3.2.2.1. After the Night
<colbgcolor=#023020><colcolor=#ffffff> After the Night | |
| |
발매일: 2023. 03. 25. | |
01 | 북극성 |
02 | 아름다운 세상 |
03 | 아날로그 센티멘탈리즘 |
04 | 그곳에는 낭만이 있다 |
05 | Imagination |
06 | I Can Feel My Heart Touching You |
07 | 흰천장 |
08 | Into the Endless Night |
3.2.3. EP
3.2.3.1. White Ceiling / Black Dots Wandering Around
White Ceiling / Black Dots Wandering Around | |
| |
발매일: 2022. 02. 23. / 2022. 03. 08. | |
01 | 도피처 |
02 | 언젠가 |
03 | 그곳에는 낭만이 있다 |
04 | 흰천장 (demo) |
05 | 성장통 |
06 | Ending Credit |
안그래도 조악했던 작년 앨범에서 조차도 걸러진 비사이드 곡들을 모은 EP입니다.
앨범 소개 앨범 가사
3.2.4. 싱글
3.2.4.1. Into the Endless Night
Into the Endless Night | |
| |
발매일: 2021. 08. 21. / 2022. 03. 29. | |
01 | Into the Endless Night |
02 | Into the Endless Night (take 2) |
오랫동안 묵혀놨다가 앨범에 넣을 각이 안보여서 싱글로 발매한 곡입니다. take 2 버전은 2020년에, 완성된 버전은 2021년에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3.2.5. 컴필레이션 및 콜라보
3.2.5.1. Downfall of the Neon Youth
Downfall of the Neon Youth | |
| |
발매일: 2021. 10. 22. | |
01 | Nails |
02 | Insomnia |
03 | todos os sonhos que eu tive |
04 | Phone Ringing on Corridor |
05 | Colors |
06 | tons de azul |
07 | one May Be Harming |
08 | vento caminha comigo |
09 | 70 Seconds Before Sunrise |
10 | Love Migraine |
이 앨범은 4명의 다른 사람들 사이의 우정과 동료를 나타냅니다. 그것은 우리의 야망, 슬픔, 희망, 실패, 그리고 소리로 증류된 우리의 성취입니다.
들어줘서 고맙습니다, 이건 당신들 없이는 할 수 없었을 겁니다.
With. Asian Glow & sonhos tomam conta들어줘서 고맙습니다, 이건 당신들 없이는 할 수 없었을 겁니다.
3.2.5.2. Paraglow
|
7.4 / 10.0 |
Paraglow | |
| |
발매일: 2022. 09. 21. / 2022. 10. 13. | |
01 | 손 |
02 | 흰자 |
03 | 늪 |
04 | 운전대 |
파란노을과 아시안 글로우의 합작.
후기3.2.5.3. Scattersun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cattersu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cattersun#|]][[Scattersu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Scattersun | |
| |
발매일: 2024. 06. 12. | |
01 | Quiet |
02 | Wrong Signal (Feat. Mudd the student) |
03 | Double Bind |
04 | Ascension (Feat. Agatka) |
05 | Lullaby for a Memory[1] |
06 | Soliloquy |
07 | Scattersun |
08 | Circular Motion |
3.3. Mydreamfever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dreamfeve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dreamfever#|]][[Mydreamfeve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Huremic
3.4.1. Seeking Darkness
Seeking Darkness | |
| |
발매일: 2025. 03. 13. | |
01 | Seeking Darkness Pt. 1 |
02 | Seeking Darkness Pt. 2 |
03 | Seeking Darkness Pt. 3 |
04 | Seeking Darkness Pt. 4 |
05 | Seeking Darkness Pt. 5 |
4. 참여
4.1. 앨범
- RAY - See ya![4] (2024. 12. 31.)
- 공원 - 01[5] (2025. 03. 27.)
4.2. 컴필레이션
- Throught the Soil II - Lost and Found (2022. 06. 22.)
- Digital Dawn Compilation - Circumstances Telling Me Who I Am (2022. 08. 14.)
- the light[6] - Your Place (2022. 08. 19.)
- End of the Year : Red Heart / New Year : Black Heart - A Glowcord Compilation[7] - 일출 (2023. 01. 01.)
- we share the same insects: an i became birds tribute compilation[8] - long distance conjoined twins (Omphalopagus Mix) (2023. 03. 05.)
4.3. 피쳐링
- UTERO - 空白 (2022. 03. 09.)
- Fax Gang - Four Walls (2022. 05. 27.)
- nouns - AMITA DRIVE (2022. 08. 19.)
- TURQUOISEDEATH - Dive (2023. 06. 16.)
5. 공연
- Digital Dawn (2022. 08. 14. / 롤링홀)
- After the Night[단독공연][13][14] (2023. 01. 14. / 홍대 상상마당)
- 2024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17][18][19] (2024. 08. 03.)
5.1. 게스트
5.2. 사전 녹화
- Asian Rolling Music Festival[22] (2021. 11. 12. / GIMA12)
6. 방송
- EBS 스페이스 공감[23][24] (2024. 08. 28. / EBS)
7. 여담
- 끝이별 시절 때 포스트락 마이너 갤러리에서 활동했었다.[27]
- 사용하는 DAW는 Studio One 5이고 노트북은 LG 울트라 PC, 마스터 키보드는 Komplete Kontrol A61,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MOTU M2이다.
- 기본 음악 색깔로 쓰이는 VST로 기타는 Evolution Strawberry, 드럼은 Addictive Drums 2를 쓴다고 한다.
- 앨범 아트워크는 대부분 본인의 찍은 사진을 활용하며, 편집은 GIMP를 사용한다고 한다.
- 애니 노래와 버튜버도 은근 좋아한다. 가장 좋아하는 게임은 팀 포트리스 2라고 했으며 애니는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영화는 릴리 슈슈의 모든 것과 월-E.
- Digital Dawn에서 처음으로 얼굴을 공개했다.[29]
- 활동명은 나의머리카락뭉치의 노래 가사를 따와서 짓게 됐다고 한다.
- MBTI는 INFP라고 한다.
- 앨범의 명성은 높지만, 라이브 실력은 경험 부족 이슈로 인해 아쉽다는 평가가 중론이다.
- 2024년 9월 6일경, 더이상 라이브를 하지않겠다고 공지했으나 현재는 삭제된 상태이며, 2024년 12월에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라이브 중단에 대한 마음이 바뀐듯 하다. 5집 발매시 리스닝 파티 정도는 고려하고 있다고.
- 펜타포트 음향회사 직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스레드에 ‘파란노을이 마이크를 던졌다, 질문받는다’ 며 마이크 사진과 글을 올리며 마이크에 대해 변상받지 못했다는 주장을 했으나, 팬이 DM으로 문의한 결과 파란노을은 마이크 파손에 대해 그 자리에서 바로 사과했으며 변상했다고 했다. 결국 스레드 작성자를 향한 비난이 일자 작성자는 스레드와 인스타를 비공개로 돌리고 잠적. 아카이브
[1] 6월 5일 선공개[2] Featuring Vocal[3] 부서질듯빛나던 (GlitterIntoPieces)[4] 리믹스[5] 윤슬, 불꽃놀이, 문 편곡[6] by postcard nowhere[7] by Glowcord[8] by Home Is Where[9] by Siren for Charlotte[10] by Digital Dawn[11] Huremic 명의로 참여[단독공연] [13] 후기[14] 영상[깜짝공연] [16] 영상[17] 영상[18] 합주 연습[19] 라이브 중단을 선언한 현재 기준 파란노을의 마지막 공연이 될 예정이다.[20] 2부, 솔로 셋, 미발표곡 하나 부르고 갔다.[21] 오프닝, 밴드 셋[22] 방구석 라이브[23] 명반 시리즈 다큐멘터리[24] 라이브 중단을 선언한 이상 파란노을이 출연한 처음이자 마지막 음악 방송이 될 것으로 보인다.[25] 서울에 사는 N수생(현재는 대학생)이라는 정보밖에 공개하지 않았다. 일례로 2집은 재수를 망치고 심적으로 가장 우울할 때 만들었다고 한다.[26] 언젠가 나중에 공개할 생각이 있다고 하며, 라이브에서는 머리카락으로 얼굴을 가린 채 공연한다.[27] 고정닉으로는 번역글을 주로 올렸고, 음방에 참여했었다. 현재는 잘 들어가진 않는다고 한다.[28] 'NEO SHIBUYA TV'라는 예술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한다.[29] 리스너들이 흔히 상상한 너드 같은 이미지와는 다르게 은근 듬직한 체형이라 놀랐다는 얘기가 있다. 다만 공연 시 직접적인 촬영은 금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