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9:42:12

TBC TV/프로그램/1972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양텔레비전/프로그램
파일:동양방송 로고.svg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역대 TV 프로그램
<colbgcolor=#fff,#26569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주)동양방송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주)중앙일보·동양방송 방송부문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1. 개요2. 참고 문헌3. 정규 프로그램 일람
3.1. 보도·시사·스포츠
3.1.1. 뉴스
3.1.1.1. 종합뉴스3.1.1.2. 기상정보
3.2. 드라마·오락
3.2.1. 드라마3.2.2. 연예·오락
3.3. 교양
3.3.1. 생활·교양
3.3.1.1. 생활·여성
3.4. 수입·공급물
3.4.1. 애니메이션
3.4.1.1. 외화

1. 개요

  • 1972년, TBC-TV를 통해 방송된 모든 장르의 프로그램을 서술한 문서.

2. 참고 문헌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3. 정규 프로그램 일람

3.1. 보도·시사·스포츠

3.1.1. 뉴스

3.1.1.1. 종합뉴스
<rowcolor=#ffffff> 분류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종합뉴스 TBC 조간[1] 1972 1973
TBC 석간[2] 1972 1980
3.1.1.2. 기상정보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일기해설[3] 1972 1980

3.2. 드라마·오락

3.2.1. 드라마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목요 드라마 극성부인 1972
해태 어린이극장 개구장이 일기 1972
금요 드라마 상록수 1972
일요 드라마 불어라 봄바람 1972
매일 연속극 사슴아가씨 1972
자유전선 1972
매일 연속극 외아들[4] 1972
매일 연속극 형제 1972
유랑시리즈 홍도야 울지마라 1972
해태 어린이극장 대령집 아이들# 1972
유랑시리즈 아리랑 고개 1972.5.26 1972.6.2
일요 드라마 만년신사 1972
유랑시리즈 육혈포 강도 1972.6.9
유랑시리즈 검사와 여선생 1972.6.16 1972.6.23
명작시리즈 물레방아 1972.7.7 1972.7.14
명작시리즈 벙어리 삼룡이 1972.7.28 1972.8.4
매일연속극 왔구려 1972
이조여인 5백년사[5] 사모곡[6]# 1972 1973
일요 드라마 아내 1972
매일 연속극 비밀 1972 1973
매일 연속극 생명[7]# 1972 1973
토요 드라마 관부연락선 1972 1973
다이얼 330[8][9] 1972 1974
일요 드라마 며느리 1972 1973

3.2.2. 연예·오락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즐거운 유람선 1972

3.3. 교양

3.3.1. 생활·교양

3.3.1.1. 생활·여성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진선미[10] 1972 1974

3.4. 수입·공급물

3.4.1. 애니메이션

<rowcolor=#ffffff> 제목 국가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우주의 세 용사 1972
요괴인간 [재방영] 1972 1973
3.4.1.1. 외화
<rowcolor=#ffffff> 제목 국가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도나 리드 쇼 미국 1972 1975
도망자[12] 미국 1972 197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아침 7시에 방송하였던 아침 종합뉴스 프로그램. 1973년 12월 오일 쇼크로 인해 아침 방송이 폐지됨과 동시에 종영되었다. 현재는 상암동 클라스(구 JTBC 뉴스 아침&)과 그 이후의 아침&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2] 1972년 10월 5일부터 방송되어 1980년 11월 30일에 종영되었다. JTBC가 동양방송의 사실상 후신이라면 이 뉴스 프로그램은 JTBC 뉴스룸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으며 KBS2로 친다면 KBS 뉴스비전 - KBS 뉴스파노라마(구 8시 뉴스파노라마) - KBS 뉴스투데이 - KBS 뉴스 7 - KBS 뉴스 8 - KBS 8 뉴스타임 - KBS 6시 뉴스타임 - KBS 뉴스 6의 전신이기도 하다. 시간대가 메인 뉴스라는 점도 그렇고...(TBC 석간도 MBC뉴스데스크와 마찬가지로 아나운서가 제공 자막을 설명한다.) 여담으로 이 프로그램은 이건희 당시 이사의 제안으로 탄생했는데, 기자가 뉴스 앵커를 맡아 진행하는 상당히 파격적인 포맷을 선보였다. 앵커 진행 - 리포트라는 기본 형식에 짧은 코멘트나 인물 인터뷰, 일기예보, 그리고 기획물 형식의 장편 리포트(이 때는 1분 30초 포맷이 자리 잡기 이전이어서 리포트 호흡이 지금보다 긴 편이었다.), 그 외 단신을 정리해 전해주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1970년대 중반에는 시청자 만화나 팬터마임도 뉴스 시간에 보여준 모양. 참고로 영상 맨앞 두 시기는 동시기 소련 국영뉴스 브례먀의 오프닝과 매우 흡사하다는 평을 받는다.[3] 우리나라 1세대 기상캐스터인 김동완 당시 중앙기상대 통보관이 진행한 일기예보 프로그램. 당시 백지도 위에 기상도를 직접 그려가며 날씨를 해설하던 모습이 화제를 모았다. 김동완 통보관은 언론통폐합 이후 MBC로 자리를 옮겨 1990년대 중반까지 뉴스데스크의 일기예보를 맡았다.[4] 1972년 4월 3일부터 동년 10월 6일까지 방영한 고부갈등을 소재로 한 드라마로 김창세(김세윤), 강부자, 선우용여 등이 출연.[5] 1972년부터 1979년까지 14개작품을 방영한 연속사극 드라마. 후일 MBC에서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를 집필한 신봉승 작가가 극본을 맡았고, 사극 연출계의 거장으로 불리는 김재형 PD가 연출을 맡았다. 타이틀에서 볼수있듯 여성을 주요인물로 설정해 조선시대 여인상을 중심으로 극을 이끌어갔으며, 정사보다는 야사나 창작위주로 전개되었다. # 원래는 '조선여인 5백년사'가 올바른 표기지만, 이때만 해도 '이씨 조선'이라는 표현이 널리 쓰이던 때였기 때문에 '이조여인 5백년사'라고 했다. 이에 대해 논쟁이 있는데, 해당 항목 참조.[6] 1번째 시리즈. 연산군의 일대기를 어머니 폐비 윤씨에 대한 그리움으로 재해석한 일일연속사극. 1972년 8월 28일부터 1973년 6월 29일까지 방영. 신봉승 작가의 사극 데뷔작이다.[7] 1972년 10월 9일부터 1973년 3월 2일까지 방영된 연속극으로, 시한부 인생을 사는 여인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김민자와 이낙훈이 주연이었다. 당시 국내최초로 TV드라마에서 시한부 인생을 다룬 작품이었다.[8] 1972년 3월, 서울특별시경찰국에서 형법 330조(야간주거침입절도)를 바탕으로 발족한 절도범 전문 수사대인 330 수사대의 비화를 다룬 드라마. 주요 출연진은 황해, 박병호, 정해창 등.[9] 그러나 330 수사대는 일부 수사요원들이 소매치기 조직과 결탁하여 뇌물을 상납받는 등의 비리 혐의가 적발되어 1975년 9월 해산당했다.[10] 70년대 초반에 아침방송당시 방영하던 교양프로그램. 최초 타이틀은 '주부교실'이었다. 아침시간대 주부들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들을 다루었다. 아침방송 중단 이후에는 저녁으로 옮겨서 잠시 방송되다가 폐지되었다.[재방영] [12] 1984년 KBS 2TV에서 재방송. 단 재방송때에는 유일하게 컬러로 제작된 마지막 시즌만 방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