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게임 모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 ||<-5><tablebordercolor=#0ca7ee><bgcolor=#0ca7ee> 일반 게임 모드 ||
Easy Casual <colbgcolor=#191919> Intermedate Molten <colbgcolor=#191919> Fallen 특별 게임 모드 Polluted Wasteland Ⅱ Badlands Ⅱ Pizza Party Challenge Maps Hidden Wave 하드코어 <colbgcolor=#191919> Hardcore (구) 게임 모드들
1. 개요2. 특징
2.1. 리워크 이후
3. OST4. 등장 좀비4.1. 비정상(Abnormal)4.2. 퀵(Quick)4.3. 헤비(Heavy)4.4. 유령(Ghost)4.5. 스카웃(Scout)4.6. 브레이커2(Breaker2)
5. 최종 보스4.6.1. 브레이커(Breaker)
4.7. 봉제인형 시민(Citizen Plush)4.8. 샷거너(Shotgunner)4.9. 꼭두각시(Marionette)4.10. 광대(Clown)4.11. 기사(Knight)4.12. 원숭이(Monkey)4.13. 코발트 가드(Cobalt Guard)4.14. 사령관(Commander)4.15. 양말 인형(Sock Puppet)4.16. 벌룬 키드(Balloon Kid)4.17. 미니거너(Minigunner)4.18. 가짜 엄브라(Mimic Umbra)4.19. 브레이커4(Breaker4)-β4.19.1. 브레이커3(Breaker3)
4.20. 저주 인형(Voodoo Doll)4.21. 봉제인형 처형자(Executioner Plush)4.22. 사신(Reaper)5.1. 욱스 더 폭스(Wox the Fox)
1. 개요
피자 파티 Pizza Party | |
레벨 제한 | 레벨 25 이상 |
총 웨이브 | 40 |
스타트 캐시 | |
그룹 보너스 X 500$ | 그룹 보너스 O 600$ |
자금 분배량 | 25% |
최종 보스 | 욱스 더 폭스 |
승리 보상 | 900 코인 & 175 경험치 |
Tower Defense Simulator의 특수 게임 모드인 Pizza Party에 대한 문서.
등장 좀비를 비롯한 관련된 모든 정보를 서술한다.
2. 특징
2022년 할로윈을 맞이해 추가된 특수 게임 모드. 이전에 출시한 두 게임 모드 처럼 기존 폴른 모드에 다양한 특성을 덧씌운 형태다. 이로 인해 오염된 황무지 II, 황야 II와 상당히 유사하다.
피자 파티가 할로윈 이벤트 인지 아님 이전의 두 게임 모드 처럼 특수 게임 모드 인지 혼란스러워 하는 유저들도 많은 편이지만, 이 맵은 그저 하나의 특수 게임 모드이니 알아두자.
웨이브 당 주는 돈 보수는 폴른과 동일하지만 더욱 강력한 적들이 초반부터 나오기 때문에 초반 방어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시간 당 골드 보수가 좋기 때문에 골작에 많이 이용되는 모드이다.
이 맵을 처음 클리어 할 경우 상점에서 4,000 코인을 주고 워든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모티브는 Five Nights at Freddy's이다.
피자 파티에선 다음과 같은 특성이 적용 된다.
특성 목록 | |
"피자 파티 (Pizza Party)" | |
"(+10%) 적들이 피자리아 변종으로 교체 됩니다." | |
특성이 적용된 맵에서 등장하는 피자 파티 버전으로 교체한다. 영향을 받지 않는 적들은 대신 다양한 가면은 쓰고 나온다.[1] | |
"돌연변이 (Mutation)" | |
"(+20%) 적들이 처음 소개된 이후로 웨이브 마다 체력이 증가합니다." | |
적들이 처음 등장 한 이후 웨이브가 지날 때마다 전체 체력의 10%에 해당하는 쉴드 체력이 생겨난다. | |
"적군 베타 (Enemie Beta)" | |
"적들의 모델이 새로운 모델로 교체 됩니다." | |
특성이 적용된 맵에서 등장하는 적들을 새로운 모델로 교체한다. | |
"체력 고정 (HP Locked)" | |
"(+20%) 기지 체력이 강제 고정 됩니다." | |
플레이어들의 레벨 상관 없이 기지 체력을 200으로 강제 고정 시킨다. | |
"피 (Blood)" | |
"사실 그냥 피자 소스에요! " | |
적들이 사망하면서 사방으로 피 |
플레이어들이 모두 스카웃, 샷거너, 사령관, 미니거너를 장착한 상태로 플레이 할 경우, 다음과 같은 특성이 추가로 적용되며 게임의 난이도가 증가 한다.
"사라진 영혼들 (Lost Souls)" | |
"이제 게임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 |
맵이 흑백 톤으로 변경 되어 시야 확보가 어려워 진다. | |
적들의 소환 수량이 50% 증가한다. 이때 증가 수량은 항상 반올림 된다. | |
모든 적들이 추가로 방어력 20%를 얻는다. | |
게임 시작시 20초 가량의 음침한 인트로 음악이 재생된다. | |
최종 보스인 욱스 더 폭스의 외형이 변경되며, 체력이 275,000으로 증가한다. |
일반적으로 플레이 할 시의 자체 난이도는 특수 맵들 중 가장 쉬운 편으로 어렵지 않으나[2][3], 맵이 상당히 짧고 기존 폴른 모드에서 첫 등장 이후부터 미친 듯이 등장하는 자이언트 보스(샷거너)의 체력 및 이동 속도가 뻥튀기 되어 꽤 어렵게 느껴진다. 거기다 적군 베타 특성으로 인해 템플러와 소환사 보스가 각각 워든, 네크로맨서 보스라는 더 튼튼한 상위 버전으로 바뀌면서 체감 난이도가 높아졌다. 다만 로스트 소울을 클리어할 경우 워든의 학살자 (Slaughter) 스킨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많이들 도전하는 편이다.
한때 피자 파티가 할로윈 이벤트인가 아닌가 에 대해 논쟁이 있었지만, 할로윈이 지나고 겨울 테마로 바뀌고 2022 겨울 이벤트가 시작 됐음에도 맵이 사라지지 않아 영구 컨텐츠인 것이 확인되었다.
2.1. 리워크 이후
2025년 1월 23일에 리워크가 되었다. 정식 게임 모드에서는 하드코어에서만 등장하던 납 속성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피자 파티 오리지널 적들을 제외한 적들이 달의 서곡의 이벤트의 적들로 교체돼 강해지거나 오리지널 적들의 체력이 높아지면서[4] 전보다 훨씬 어려워졌다. 또한 길었던 미니 보스들의 사망 모션이 짧아졌다.물론 평가는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전혀 좋지 않다. 우선 이벤트 적을 재탕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호불호가 갈릴 만한데 유령, 봉제인형 시민과 봉제인형 처형자, 광대, 마리오네트 등은 기존 피자 파티의 컨셉과 잘 녹아드는 반면, 기사와 사신은 전혀 어울리지도 않고 왜 추가했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다.
오죽하면 한 유명 유튜버가 이러한 요약 짤을 만들기도 했다. 어디까지나 재미로만 볼 것.
사령관: Okay TDStm, I heard that wox has a new army. With our Power, we will tower Defend this simulator!
사령관: 좋아 TDS 팀, 내가 욱스에게 새로운 군대가 생겼다는 소식을 들었다네. 우리의 힘으로 이 시뮬레이터를 타워 디펜스 할 것이다!
타워들: YEAAAAAAAH!
타워들: 예아아아아아아!
욱스 더 폭스: I'm sorry to interrupt you Commander, but i'm afraid you've beeen misinformed.
욱스 더 폭스: 사령관, 방해해서 미안하다만 네가 잘못된 정보를 들은 것 같군. 유감을 표하지.
욱스 더 폭스: Say hello to my newest troops.
욱스 더 폭스: 내 새로운 병사들에게 인사해라.
(이후 봉제인형 처형자와 양말 인형이 등장한다.)
봉제인형 처형자: Thanks For the pay raise fox thing, I really appreciate it.
봉제인형 처형자: 급여 인상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욱스 님.
(사령관이좇됐다는 표정으로 바라보고 끝남)
사령관: Okay TDStm, I heard that wox has a new army. With our Power, we will tower Defend this simulator!
사령관: 좋아 TDS 팀, 내가 욱스에게 새로운 군대가 생겼다는 소식을 들었다네. 우리의 힘으로 이 시뮬레이터를 타워 디펜스 할 것이다!
타워들: YEAAAAAAAH!
타워들: 예아아아아아아!
욱스 더 폭스: I'm sorry to interrupt you Commander, but i'm afraid you've beeen misinformed.
욱스 더 폭스: 사령관, 방해해서 미안하다만 네가 잘못된 정보를 들은 것 같군. 유감을 표하지.
욱스 더 폭스: Say hello to my newest troops.
욱스 더 폭스: 내 새로운 병사들에게 인사해라.
(이후 봉제인형 처형자와 양말 인형이 등장한다.)
봉제인형 처형자: Thanks For the pay raise fox thing, I really appreciate it.
봉제인형 처형자: 급여 인상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욱스 님.
(사령관이
쏟아지는 비판으로 인해 난이도 하향에 인색한 개발진조차 당황했는지 2025년 1월 마지막 주에 출시될 예정이었던 황야 II의 리워크가 밸런스 조정을 위해 2월 첫 주로 미뤄지는 것에 이어, 1월 30일에 피자 파티에 일부 너프가 이루어졌다. 승리 보상 샹향과 적 처치 시 지급하는 캐시, 웨이브 보상 증가, 일부 적들의 체력과 속도 감소, 면역 제거가 변경점이다. 덕분에 폴른과 비슷하거나 살짝 더 어려운 정도로 난이도가 조정되었으며, 이전보다는 훨씬 합리적인 난이도라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7]
3. OST
BGM | 파티에 온걸 환영해! |
4. 등장 좀비
4.1. 비정상(Abnormal)
비정상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8 | ||
체력(추가 인원)[8] | 9 (트리오), 10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3.5)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9] | 육중한[10] | ||
지급 캐시 | 8$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웨이브 1 부터 몰려오는 적. 기존의 비정상과 동일한 능력치를 지닌다.
4.2. 퀵(Quick)
재빠른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0 | ||
체력(추가 인원)[11] | 11 (트리오), 12 (쿼드) | ||
속도 | 빠름(6.5)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12] | 육중한[13] | ||
지급 캐시 | 8$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5 웨이브 부터 몰려오는 적. 체력이 2 늘어난 것 외엔 별 특징이 없다.
4.3. 헤비(Heavy)
무거운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5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45 | |||
체력(추가 인원)[14] | ??? (트리오), 65 (쿼드) | |||
속도 | 평균 이하(2.8) | |||
방어력 | 25%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15] | 육중한[16] | |||
지급 캐시 | 3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독 면역 X |
7 웨이브 부터 몰려오는 적, 체력이 폴른보다 작지만 몰튼보단 크다.
4.4. 유령(Ghost)
유령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8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45 | ||
체력(추가 인원)[17] | ??? (트리오), 65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4) | ||
방어력 | 0% | ||
속성 | 히든[18] | ||
지급 캐시 | 5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하드코어의 인비저블과 함께 유일하게 미니 보스보다 먼저 나오는 히든 속성의 적. 기존의 타락한 영혼을 대체한다. 이름과 달리 유령 속성은 없다.
4.5. 스카웃(Scout)
정찰병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0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400 | ||
체력(추가 인원)[19] | 500 (트리오), 550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3.5) | ||
방어력 | 0% | ||
속성 | 보스[Boss][21] | ||
지급 캐시 | 4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10웨이브부터 등장하는 적. 기존의 타락한 견습기사를 대체한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가 익히 아는 정찰병 타워의 애니매트로닉스다. 다만 여기저기 파손되어 있고 얼굴이 뜯겨나간 등 정상적인 몰골은 아니다.
체력이 400이나 되는 터라 초반에 방어 타워가 적다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첫 등장할 때는 보스 속성 때문에 디버프가 먹히지 않기에 방어선을 잘 구축해야만 수월히 잡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타겟팅을 가장 강한으로 바꾼 3렙 슬래져 2기로 쉽게 견제할 수 있다. 다만 돌연변이 특성 때문에 네크로맨서가 나오는 19웨이브쯤 가면 체력이 620 가까이 되기 때문에 처리가 상당히 더뎌진다. 특히 로스트 소울을 활성화한 상태에서의 웨이브 14에선 방어력까지 가진 채로 3마리가 줄지어 나오는데, 이 부분이 상당한 고비로 꼽힌다.
쓰러뜨릴 경우 전원이 차단되는 소리와 함께 그 자리에서 가동 중지한다. 가끔 애니메이션이 재생되지 않고 제자리 걸음만 하다 소멸하는 버그가 있는데, 이는 모든 애니메트로닉스 계열 적들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버그다.
4.6. 브레이커2(Breaker2)
분해자 2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2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 1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약간 빠름(4.5)/(Hardcore 한정 5)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22] | 히든,[23] 육중한,[24] 슬라임,[25]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26] | ||
지급 캐시 | 25$ | ||
소환자 | 브레이커3 , 무덤 도굴꾼/Legacy, 네크로맨서 보스, 공허 파괴자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분해 | 브레이커2가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를 소환한다. |
죽으면서 더 약한 적을 소환하는 특징을 지닌 적. 이지부터 하드코어까지 모든 게임 모드에서 얼굴을 내미는 개근 적이기도 하다. 체력이 꽤 단단한데다 죽으면서 추가로 적을 소환하기 때문에 웨이브 시간을 지체하게 만드는 적. 제시간 안에 웨이브를 끝내지 못할 경우 웨이브 클리어 보너스를 얻지 못하므로 경제적으로 손해를 가져다 주는 셈이다. 거기다 브레이커 2 + 소환되는 브레이커의 체력을 모조리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가 더뎌지는 경우가 잦은 편.[27]
로스트 소울 활성화 시에는 방어력 20%가 추가되고 기존의 50%만큼 더 많이 소환되기 때문에 배로 골치 아파진다. 이럴 때는 박격포나 3레벨 미니거너가 아주 절실해진다.
4.6.1. 브레이커(Breaker)
분해자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N/A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50 | ||
체력(추가 인원) | 50 (트리오), 55 (쿼드) | ||
속도 | 약간 빠름(5.35)/(Hardcore 한정 6)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지급 캐시 | 0$ | ||
소환자 | 브레이커2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브레이커 2에게서 소환되는 적. 체력이 높고 빠른 편이라 브레이커 2만큼 위협적인 적이다. 특히 소환될 때 짧은 시간 동안 적용되는 무적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변 타워의 공격을 더 많이 받아낼 수 있다.
4.7. 봉제인형 시민(Citizen Plush)
봉제인형 시민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4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3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4.25)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28] | 재빠른,[29] 육중한,[30] 시체[31] | ||
지급 캐시 | 4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14웨이브에 등장하는 적. 물량이나 등장 시기 대비 체력이 높고 속도도 빨라 은근 상대하기 까다로운 적이다.
4.8. 샷거너(Shotgunner)
산탄총병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5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체력 | 2,250 | ||
체력(추가 인원) | 3,000 (트리오), 3,500 (쿼드) | ||
속도 | 약간 느림(2.1) | ||
방어력 | 30% | ||
속성 | 보스[Boss][33] | ||
추가 속성[34] | 육중한[35] 히든[36] | ||
지급 캐시 | 체력의 50%당 1,500$ | ||
면역 | |||
빙결 면역 0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Pizza Party 최대의 난적 중 하나이자 1라운드 보스.
15웨이브에 출연하는 기존의 폴른 자이언트를 대체하는 적. 그리고 샷거너 타워의 애니매트로닉스 버전이다. 여기저기 파손되고 두 눈이 튀어나왔으며 포지션에 맞게 덩치가 스카웃보다 더 크다.
기본 체력이 높은데다 돌연변이 특성마저 체력의 10%만큼 체력 추가라 화력이 조금만 부족해도 돌연변이 특성 덕에 체력이 6,650으로 2배 이상 늘어난 것들이 5~6마리씩 줄줄이 튀어나오는 웨이브 31에서 GG를 칠 수 있으니 방어선 구축을 확실히 해야 한다. 웨이브 35만 돼도 체력이 8,050으로 뻥튀기된다. 쓰러뜨리면 다른 애니메트로닉스 적들처럼 전원이 차단되는 소리와 함께 그 자리에서 가동 중지한다.
로스트 소울 특성이 활성화될 경우 미니거너, 네크로맨서 보스와 함께 가장 큰 골칫거리로 작용한다. 방어력 20% 증가로 인해 60%의 방어력을 가지게 되어 안 그래도 튼튼한데 후반부에는 더 체력이 높아진 상태로 바글바글하게 몰려온다. 이런 면 때문인지 면역이 없기 때문에 화염방사병으로 방어력을 깎아내려 처리 가능하다.
여담으로 다른 애니매트로닉스 타워들은 1레벨의 모습인데 혼자만 4레벨의 모습을 하고 있다.
4.9. 꼭두각시(Marionette)
꼭두각시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6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200 | ||
체력(추가 인원)[37]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4) | ||
방어력 | 10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38] | 육중한[39] 재빠른[40] | ||
지급 캐시 | 25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달의 서곡 이벤트 Act 3에서 등장했던 적. 기존의 타락한 하즈맷을 대체한다. 샷거너 이후 바로 그 다음 웨이브에 등장한다. 방어력 100%를 보유하고 있지만 면역이 단 하나도 없는 덕에 방어력을 깎는 타워들이나 디버퍼들을 사용하면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4.10. 광대(Clown)
광대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18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200 | ||
체력(추가 인원)[41]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하(2.7) 약간 빠름(4.5)[42]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지급 캐시 | 1,5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빵 터지는 퍼포먼스 | 들고 있던 폭탄을 타워에게 던져 광역으로 8초간 200% 공격속도 증가 디버프를 걸고 유닛에게 80의 피해를 준다. |
기존의 폴른 제스터를 대체하는, 달의 서곡 이벤트 Act 2에서 등장했던 적. 대신 체력만 높지 면역과 방어력이 없으며, 그렇다고 다른 적들에게 버프를 주는 것도 아닌지라 난이도는 폴른 제스터와는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로 쉽다.
4.11. 기사(Knight)
기사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0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50 + 300 | ||
체력(추가 인원)[43]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빠름 (7) | ||
방어력 | 0% | ||
속성 | 납[44] | ||
추가 속성[45] | 육중한[46] | ||
지급 캐시 | 7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참격 | 기사가 목검을 근접한 타워에게 휘둘러 기절시킨다. |
납 감지 타워가 필요한 주범 1.
20웨이브에 등장하는 달의 서곡 이벤트 Act 1, Act 3의 잡몹이었던 적. 기존의 타락한 자를 대체한다. 포지션에 맞게 체력이 높아지고 속도도 빨라졌으며, 납 속성을 얻어 꽤나 까다로운 적이 되었다. 또한 아주 가까이 있는 타워들을 스킬을 사용해 기절시킨다. 3레벨 박격포 5개, 레인저, 터렛, 액셀러레이터를 쓰거나 폭죽 기술자를 이용하면 수월히 잡을 수 있다.
4.12. 원숭이(Monkey)
원숭이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1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8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하(2.5) | ||
방어력 | 50% | ||
속성 | 도발[47] | ||
추가 속성[48] | 육중한[49] 재빠른[50] | ||
지급 캐시 | 1,0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21웨이브부터 몰려오는 적. 본래는 기존 타락한 자 포지션의 고속계 적이었으나, 리워크 이후 속도가 느려지는 대신 어그로 속성을 가지게 되고 체력이 높아지며 아군들이 라인을 뚫을 수 있게 만드는 위험한 적으로 변했다. 대신 출연할 때는 한 마리씩만 나오는 경우가 많다.
모티브는 토이 스토리 3 같은 영화에서 자주 보이는 심벌즈 치는 원숭이 장난감.
4.13. 코발트 가드(Cobalt Guard)
코발트 가드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3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500 + 2,5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보통(3) | ||
방어력 | 0% | ||
속성 | 납[51] | ||
지급 캐시 | 체력의 25%당 1,000$ | ||
면역 | |||
빙결 면역 0 | 마비 면역 0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Pizza Party 최대의 난적 중 하나이자 납 감지 타워가 필요한 주범 2.
달의 서곡 이벤트 Act 1에 등장했던 적. 기존의 타락한 영웅을 대체한다. 23웨이브라는 이른 시점에 등장해 납 감지가 없는 방어선을 유유히 지나쳐 게임을 터뜨려버린다. 폭죽 기술자를 쓰거나 엔지니어, 터렛, 액셀러레이터, 레인저로 처리하도록 하자.
4.14. 사령관(Commander)
사령관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5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8,000 | ||
체력(추가 인원)[52]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3.5) | ||
방어력 | 0% | ||
속성 | 보스[Boss][54] | ||
지급 캐시 | 체력의 25%당 2,000$ | ||
면역 | |||
빙결 면역 O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사령관 | |||
화기 소집 | 잠시 이동을 멈춘 후 무전기로 명령을 송출해 주변 적들에게 이동 속도 증가 버프를 건다. |
Pizza Party 최대의 난적 중 하나이자 2라운드 보스.
사령관의 애니매트로닉스 버전이다. 여기저기 파손된 상태는 나머지 애니매트로닉스 적들과 동일. 헌데 단순히 파손된게 아니라 복부에 이빨과 촉수가 보인다. 아무래도 Five Nights at Freddy's 4에 등장하는 나이트메어 애니매트로닉스들이 모티브인 듯.[55]
다만 문제는 바로 특수 능력. 기존 사령관의 공격 속도 버프에서 따온 이동 속도 버프 스킬 때문에 크고 튼튼한 서킷이 되어버렸다. 거기다 첫 등장 시 샷거너 1마리를 대동하고 나오기 때문에 방어선이 부실하다면 사령관을 죽여도 샷거너가 방어선을 통과해 그대로 GG. Lost Soul이 활성화되면 스킬을 활용해 샷거너 무리를 길 중반까지 배달시켜준다. 여러모로 골치아픈 적.
4.15. 양말 인형(Sock Puppet)
양말 인형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6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400 | ||
체력(추가 인원)[56]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매우 빠름(10) | ||
방어력 | 5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57] | 히든,[58] 육중한[59] | ||
지급 캐시 | ???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26웨이브에 난데없이 등장하여 플레이어를 당황하게 만드는 튼튼한 고속계 적. 달의 서곡 이벤트 Act 3의 그 양말 인형이며 되도록 지상의 고 DPS 타워들로 잡는 걸 추천한다. 특히 추적자가 제일 잘 잡는다. 절벽 타워로 잡는 것은 좋지 않는데 나중에 가면 추가 속성으로 히든 감지를 얻기 때문이다. 이는 맵이 길과 절벽이 가깝고 절벽의 면적이 좁은 것도 아니라서 절벽 타워로만 잡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러 히든 감지를 넣었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폭죽 기술자가 있다면 이야기가 다르지만.
밸런스 패치 이전에는 빙결과 감전에 면역이라 저지 수단도 맹독 사수밖에 없어 난이도 상승의 주범이자 뉴비절단기라는 칭호까지 얻을 정도로 악명 높은 적이었으나, 면역이 모조리 사라지면서 일렉트로쇼커와 슬레져, 크라이오맨서의 훌륭한 먹잇감이 되었다.
4.16. 벌룬 키드(Balloon Kid)
풍선 꼬마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28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500 + 500 | ||
속도 | 평균 이상(4) | ||
방어력 | 0% | ||
속성 | 비행[60] | ||
지급 캐시 | 1,25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이제 막 도전한 초보들을 몰아세우는 Pizza Party 최대의 난적 중 하나.
28웨이브부터 몰려오는 적. 기존의 타락한 세라프를 대체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본은 Five Nights at Freddy's 2의 벌룬 보이(Balloon Boy)다. 타락한 세라프의 4배에 달하는 압도적인 체력과 더한 물량으로 플레이어를 밀어붙인다.
방어에는 에이스 파일럿과 엔지니어, 레인저가 비행 감지가 가능해 효율이 좋다. 다만 에이스 파일럿은 지속적으로 경로를 따라 비행하기 때문에 DPS의 지속력이 떨어지며, 엔지니어는 본체인 엔지니어 본인이 DPS가 부족한데다 센트리가 비행 감지가 없기 때문에 그렇게 좋은 대체제는 아니다. 레인저는 높은 대미지와 넓은 사거리 덕에 추천되나 최대 레벨은 오히려 공속이 느려 사령관 버프를 쓰지 않으면 놓칠 가능성이 생긴다.
뭐니뭐니해도 가장 좋은 카운터들은 추적자와 박격포, 일렉트로쇼커, 폭죽 기술자. 추적자는 범위가 사실상 무제한인데다 단일 타겟 처리에 탁월한 상단과 다수의 적을 쓸어버리는데 좋은 하단 루트가 있기 때문에 취향것 상단 루트와 하단 루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61] 박격포는 애초에 절벽 타워 + 광역 공격 + 레인저와 달리 빠른 공속으로 리워크 이전 피자 파티에서도 자주 채용되고 있었던 만큼 리워크 후에도 효율이 매우 좋다. 일렉트로쇼커는 최대 레벨 기준 100의 피해량에 최대 8명까지 연쇄 공격이 가능해 한번에 벌룬 키드 여럿을 공격하고 견제할 수 있다. 다만 박격포와 일렉트로쇼커는 둘 다 설치 제한이 4개밖에 되지 않는다는게 함정 아닌 함정. 폭죽 기술자는 버프를 통해 압도적인 딜링을 자랑하는 액셀러레이터와 터렛에게 비행 감지를 부여, 벌룬 키드를 순식간에 쓸어버리도록 만들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벌룬 키드는 하드코어 모드의 풍선, 납 풍선 이후 2년만에 일반 게임 모드에 추가된 비행 속성의 적이다. 이후 리메이크된 폴른 모드에서도 타락한 세라프와 타락한 천사가 비행 특성을 달고 나온다.
4.17. 미니거너(Minigunner)
미니건 사수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0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30,0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이하(2.5) | ||
방어력 | 30% | ||
속성 | 보스[Boss][63] | ||
지급 캐시 | 체력의 10%당 3,0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미니건 | 미니거너가 이동을 멈춘 뒤 들고 있던 미니건을 사방으로 난사한다. 이때 휘말린 모든 타워를 기절시킨다. |
Pizza Party의 3라운드 보스.
30웨이브에서 등장하는 적. 미니거너의 애니매트로닉스 버전이다. 파손된 상태는 다른 타워 로봇들과 공통. 외형의 경우 이전에 한정 스킨으로 공개된 미니거너의 인형 스킨을 수정한 것이다. 기존 타락한 수호자와 템플러를 대체하는 적. 리워크 이전에는 욱스 더 폭스의 호위무사 포지션이었다. 상당히 높은 체력을 가졌으며 스킬도 광역기라 굉장히 골치아픈 적이다. 다른 보스 포지션의 적들과는 달리 혼자서만 등장하는데도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매우 오랜 시간을 버틴다. 하지만 빙결 면역이 없는지라 첫 등장만 잘 넘긴다면 슬레져와 크라이오맨서로 수월히 대처할 수 있다.
4.18. 가짜 엄브라(Mimic Umbra)
가짜 엄브라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1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16,000 | ||
속도 | 평균 이상(4) | ||
방어력 | 25% | ||
속성 | 시체[64] | ||
추가 속성[65] | 육중한[66] | ||
지급 캐시 | 체력의 25%당 4,00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0 | 폭발 면역 X |
Pizza Party 최대의 난적 중 하나이자 미니거너를 이어 등장하며 쉴 틈을 주지 않는 적.
31웨이브부터 등장하는 타락한 탱크를 대체하는 적. 보면 알겠지만, 2021 일식 이벤트의 최종 보스였던 엄브라(Umbra)의 봉제 인형 내지는 애니매트로닉스 버전이다.[67] 속도는 타락한 탱크보다 못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느린 편도 아니고 높은 체력과 마비 면역, 시체 속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어찌저찌 죽여도 무려 총합 32,000의 무지막지한 피통을 가진 시체를 남겨 시간을 지체시키고 더 나아가 게임을 터뜨려 버린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등장할 때는 복수 개체 없이 단독으로만 등장하며, 빙결 면역이 없어 슬레져와 크라이오맨서로 대처가 가능하다.
4.19. 브레이커4(Breaker4)-β
분해자 4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2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200 | ||
체력(추가 인원) | 230 (트리오), 250 (쿼드) | ||
속도 | 평균(3) | ||
방어력 | 35%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68] |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69], 육중한[70], 재빠른[71] | ||
지급 캐시 | 375$ | ||
소환자 | 네크로맨서 보스, 공허 파괴자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분해 | 사망하는 즉시 3마리의 브레이커3를 소환한다. |
Pizza Party의 의외의 난적.[72]
브레이커2의 보스 버전. 브레이커2가 그렇듯이 사망하면서 더 약한 브레이커3을 소환한다. 문제는 한 명만 소환하는 브레이커2와 달리 한번에 셋을 소환 한다는 것. 즉, 브레이커4 > 브레이커3 > 브레이커2 > 브레이커로 이어지는 4단 분리가 놈의 상징이나 다름없다. 사실상 TDS에서 가장 많은 분열 횟수를 지닌 적이 된 셈.[73] 그런데 단순 4단 분리가 아니라 브레이커 4 > 브레이커 3 3마리> 브레이커 2 3마리> 브레이커 3마리로 한번에 총 10마리의 적이 튀어나오는 경이로운 수량이 더 큰 문제다. 한번에 10마리의 적이 튀어나오는 특성상 실제 체력은 더욱 높다.[74] 게다가 브레이커들이 소환되며 가지는 짧은 무적 시간까지 있어 생각보다 더욱 오래 버틴다. 박격포나 로케티어 같은 장거리 폭발 타워로 상대하거나 미니거너/액셀러레이터 + 사령관 스킬의 공격 속도 버프로 녹여버리는 쪽이 좋다.
4.19.1. 브레이커3(Breaker3)
분해자 3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N/A | ||
| |||
능력치 | |||
체력 | 100 | ||
체력(추가 인원) | 115 (트리오), 125 (쿼드) | ||
속도 | 평균 이상(4) | ||
방어력 | 20% | ||
속성 | 없음 | ||
지급 캐시 | 0$ | ||
소환자 | 브레이커4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분해 |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2를 소환한다. |
브레이커4로 부터 소환 되는 적.
사망하면서 브레이커2를 소환 하기 때문에 은근 잡기가 꺼리는 놈. 거기다 브레이커 4에서 소환 될 때는 아예 3마리씩 튀어나와서 배로 골치 아프다.
4.20. 저주 인형(Voodoo Doll)
저주 인형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3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2,500 + 4,000 | ||
체력(추가 인원) | ??? (트리오), ??? (쿼드) | ||
속도 | 평균 (4.25) | ||
방어력 | 0% | ||
속성 | 비행[76] | ||
지급 캐시 | 체력의 25%당 2,000$ | ||
면역 | |||
빙결 면역 0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33웨이브에 등장하는 이전 달의 서곡 이벤트 Act 3에서 등장했던 적이다.
매우 높은 체력을 가졌기에 엔지니어로는 잡는게 매우 힘들며 빙결 면역까지 있어서 폭죽 기술자 + 빙결 타워로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절벽 타워인 박격포나 레인저, 또는 추적자 + 일렉트로쇼커를 통해 잡는 걸 추천한다.
4.21. 봉제인형 처형자(Executioner Plush)
봉제인형 처형자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5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65,000 + 20,000 | ||
속도 | 느림(1,75) | ||
방어력 | 25% | ||
속성 | 보스[Boss] | ||
지급 캐시 | 0$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X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스킬 | |
참수 | 봉제인형 처형자가 도끼를 직선으로 던지고 되받는다. 이때 도끼의 경로에 있던 타워들을 모두 기절시킨다. |
Pizza Party의 4라운드 보스.
기존 달의 서곡 Act 1의 최종 보스이자 Act 3의 미니 보스였던 적으로, 이번 피자 파티에서는 35웨이브와 40웨이브에 등장해 타락한 의장병의 포지션을 담당하게 되었다. 재등장한 다른 이벤트 적들과 마찬가지로 온갖 버프를 받았는데 우선 기본 체력 외에도 쉴드 체력을 기본적으로 부여받아 총합 85,000이라는 무식하기 그지없는 맷집을 자랑하며, 속도와 스킬 사용 빈도까지 강화되었다. 때문에 메딕이 있어도 타워들은 기절이 풀린 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 다시 기절하는데다 유닛들 역시 추풍낙엽마냥 쓸려나가니 마땅히 대처 수단이 없다면 금새 라인이 밀리게 된다.
물론 까다롭다는 건 보스 속성으로 인해 빙결과 마비에 면역을 가지는 첫 등장 시점 한정으로, 이후 40웨이브에서 재등장했을 때는 전무한 면역으로 인해 디버퍼들에게 방해받다가 녹아내려 죽는다. 물론 그럼에도 스킬을 최소 1번은 쓰고 죽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여담으로 혼자서만 레거시 버전 지급 캐시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이유는 불명.
4.22. 사신(Reaper)
사신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36 | ||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 |||
능력치 | |||
체력 | 35,000 | ||
속도 | 평균 이하(2.5) | ||
방어력 | 0% | ||
속성 | 없음 | ||
추가 속성[78] | 히든[79], 육중한[80] | ||
지급 캐시 | 체력의 10%당 4,000$ | ||
면역 | |||
빙결 면역 O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O | 폭발 면역 X |
스킬 | ||||
죄를 가져오리 | 낫을 휘두르며 마법진을 만들어 세 마리의 악마를 소환한다. 이때 사신은 잠시 동안 무적 상태가 된다. | |||
영혼 척출 | 근접한 타워에게 낫을 휘둘러 다수의 타워를 기절시킨다. |
소환사 계열 적들 중에서 가장 높은 체력을 지니고 있다. 거기다 무려 체력 7,000짜리 악마를 3마리나, 즉 총합 21,000의 피통을 가진 잡몹을 소환한다. 화룡점정으로 악마 또한 죽을 때 죄악을 소환하니 사실상 체감 체력은 이보다 더 높다. 특히 나중에는 히든 속성을 얻어 절벽 타워들을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은 물론이고 육중한을 얻어 역대 소환사 보스들 중에서 가장 높은 체력을 지니게 된다.
5. 최종 보스
5.1. 욱스 더 폭스(Wox the Fox)
- [ 정규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 ||<-5><tablebordercolor=#0ca7ee><bgcolor=#0ca7ee><tablealign=center> 일반 게임 모드 ||
무덤 도굴꾼 실험체 제 0호 <colbgcolor=#191919> 실험체 제 0호 몰튼 워로드 <colbgcolor=#191919> 타락한 왕 특별 게임 모드 파일:AwakenedFallenKingV3.png 멍청이 보스 방사능 괴수 총잡이 욱스 더 폭스 각성한 타락한 왕 하드코어 <colbgcolor=#191919> 타락한 소드마스터 공허 파괴자 이벤트 보스들 보러 가기 (구) 보스들 보러 가기
여우 욱스 | |||
| |||
출연하는 모드 | Pizza Party | ||
첫 출현 웨이브 | 40 | ||
능력치 | |||
체력 | 450,000 | ||
체력(추가 인원)[81] | 517,600 (듀오) 562,600 (트리오), 607,600 (쿼드) | ||
속도 | 매우 느림(0.9) | ||
방어력 | 0% | ||
속성 | 보스[Boss] | ||
지급 캐시 | ??? | ||
면역 | |||
빙결 면역 X | 마비 면역 O | 화염 면역 X | 폭발 면역 X |
BGM | 욱스 더 폭스의 테마곡 |
스킬 | |
게임 오버 | 욱스가 이동을 멈춘다. 그리고 그 즉시 화면이 확대되면서 점점 어두워지더니 욱스가 플레이어를 향해 점프스케어를 시전하고 {{{#AC7AC0 50% 사거리 감소 디버프}}}를 몇초간 건다. 이 스킬은 처음 등장한 직후와 체력이 절반 이하로 내려갔을 때에만 사용한다. |
생일 서프라이즈 | 욱스가 타워를 향해 케이크를 집어던진다. 이때 날아오른 케이크는 그대로 6조각으로 나뉘어져 지면에 닿는 즉시 폭발하며 범위 내의 모든 타워를 기절시킨다. |
코인 건 | 왼팔에 달린 기계 발톱에서 폭발하는 동전 여럿을 쏴 광역으로 타워를 기절시킨다. |
멜로디 충격 | 욱스가 기타를 꺼낸 후 강하게 한번 내리쳐 넓은 원형의 파장을 만든다. 퍼져나가는 파장 내의 모든 타워가 기절하고 유닛이 피해를 입는다. |
40웨이브에 등장하는 Pizza Party의 최종 보스.
맵의 배경이 되는 욱스의 피자 파티(Wox's Pizza Party)의 마스코트 애니매트로닉스다. 외형은 푸른 털의 거대한 여우 애니매트로닉스로, 붉은 줄무니가 있는 탑 햇을 쓰고 있으며 왼손은 거대한 기계 발톱이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패러디인 본 게임 모드 답게 이 애니매트로닉스도 FNaF 시리즈의 주역 4인 애니매트로닉스들을 합친 듯한 특성을 지녔다.[83]
다른 특별 게임 모드의 최종 보스들인 방사능 괴수, 건슬링어처럼 타워들의 사거리를 감소시키는 패턴을 지니고 있다. 사거리 감소 스킬에 모든 스킬이 광역 스턴이라 메딕이 없다면 고전 할 각오를 해야 한다. 체력도 타락한 왕보다 훨씬 높고 까다로우니 이제 막 폴른을 깬 유저라면 좀 더 준비를 하고 도전해야 한다.
특이하게도, 피해를 입을 때마다 겉면의 외골격 내지는 인형 탈이 점점 벗겨지고(파손되고) 그 속의 내골격이 노출된다. 그래서 욱스가 체력이 거의 다 빠지면 겉의 탈이 다 벗겨져 내골격만 남은 상태로 가동 중지된다. Lost Soul이 적용될 경우엔 아예 첫 등장부터 내골격 상태로 등장한다.[84] 또한 TDS 최초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체력과 스탯에 변화가 생기는 적으로, 특수한 조건을 충족해 도전 가능한 Lost Soul 모드에선 체력이 늘고 방어력 20%가 추가된다.[85][86]
플레이어의 게임 화면에 자체적 영향을 끼치는 공격 패턴은 2022 덕 헌트의 ㅍ卜멸의 5己ㅣ의 포효 패턴과 유사하다. 포효 패턴은 그저 화면을 크게 흔들 뿐이지만[87] 욱스는 점프스케어 연출과 사거리 50% 감소의 부가 요소까지 달려 있다는 게 차이.
Lost Soul 모드를 클리어하면 지급되는 워든의 스킨인 "살인마 워든"의 최대 레벨 외형에 욱스의 모델이 일부 재사용되었다. 최대 레벨의 외형이 머리가 보라색 눈의 기계 머리가 되는데, 이게 욱스의 내골격 머리 모델이다.[88]
다른 모든 보스들이 인형으로 출시될 때 공허 파괴자랑 같이 유일하게 인형이 안 나왔다. 여러모로 안습.
[1] FNaF의 프레디, 보니, 치카[89], 폭시 가면을 쓰고 등장한다. 그 외에도 유명 유튜버인 Dream의 가면도 있다.[2] 적어도 터렛과 레인저는 물론, 액셀, 엔지니어, 헬기등 고화력 타워들이 준 필수 수준인 방사능 모드와는 달리 미니거너 정도만 구비해두면 충분히 깰 수 있을 수준이다.[3] 물론 로스트 소울 활성화 시는 제외. 늘어나는 좀비의 수와 방어력 추가로 인한 난이도 증가와 흑백 필터로 인한 시야 혼란도 문제지만, 제일 큰 문제는 쓸 수 있는 타워가 제한된다는 것이다. 헬기나 레인저 같이 공중 타격이 가능하면 모를까 고DPS 타워인 액셀러레이터와 엔지니어, 터렛은 후술할 벌룬 키드 때문에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해진다.[4] 예외적으로 샷거너와 커맨더는 체력이 높아지지 않았다.[5] 그도 그럴 것이 폴른 리워크 이후 피자 파티의 난이도 위상은 그야말로 바닥이었다. 심지어 로스트 소울을 활성화해도 폴른보다 쉬웠고, 당초 폴른보다 난이도를 높게 잡은 특수 모드라는 컨셉에 전혀 맞지 않았으니 난이도 상향이 있을것이라는 루머가 계속 돌았고 리워크 소식이 들려오면서 이는 사실이 되었지만 갭이 워낙에 심하다보니 이런 평가가 올 수밖에 없다.[6] 일각에서는 이게 하드코어 리워크의 시동을 거는 패치라고 주장한다. 하드코어는 모든 모드 중 가장 최고난도 컨셉으로 제작되었으나 마지막 모드 밸패가 된 지 4년이나 지나면서 정규 모드인 폴른보다도 난이도가 쉽고 오히려 플레이가 심심할 정도로 늘어졌기에 특수 모드를 손보면서 난이도를 정상까지 올릴 해법을 찾는다는 것이다.[7] 특히나 일렉트로쇼커와 크라이오맨서의 채용률이 급상승했다. 대부분의 골치 아프던 적들이 면역을 싸그리 제거당하면서 원래도 좋던 일렉트로쇼커의 성능이 더욱 빛을 발하게 되었으며, 특히나 골치 아픈 벌룬 키드의 극카운터로 써먹기에 좋다. 크라이오맨서의 경우 슬레져나 프로스트 블래스터보다 빙결 능력은 떨어지나 특유의 슬로우 효과와 싼 가격 덕분에 빙결 면역을 보유한 적이 있으면 성능이 급하락하는데다 더 비싼 가격 때문에 신 캐시 시스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상술한 둘보다 더욱 쓰기 편하다. 빙결 면역이 없는 가짜 엄브라를 카운터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8] Fallen[9]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1] Pizza Party[12]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4] Pizza Party[15]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6]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7] Pizza Party[18]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19] Pizza Party[Boss] 빙결 면역, 마비 면역, 파일:ConfusionBomb.png혼란 면역, 낙진 면역, 넉백 면역, 방어력 감소 면역을 포함함.[21]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22] 게임 도중 적용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23]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24]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25] 특성이 적용된 좀비가 사망할 경우 슬라임을 소환함.[26]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27] 브레이커 2 + 브레이커의 체력 총합은 이지는 29, 캐주얼 & 중급은 60, 몰튼은 90, 폴른은 120, 피자 파티는 150, 하드코어와 나머지 특별 모드는 70이다.[2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2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시킴.[3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시킴.[31] 특성이 적용 된 적이 사망할 경우 그 자리에 녹아내린 시체를 소환한다.[Boss] [33]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34] 게임 도중 적용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35]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시킴.[36]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37] Pizza Party[3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3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4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41] Pizza Party[42] 스킬 사거리내 타워가 없을때.[43] Pizza Party[44] 유닛의 충돌, 폭발 공격 및 납 감지(Lead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45]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46]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시킴.[47] 모든 타워가 자신을 최우선으로 공격하도록 유도 한다.[4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4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5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51] 유닛의 충돌, 폭발 공격 및 납 감지(Lead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52] Pizza Party[Boss] [54]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55] 복부의 이빨이 어딘가 나이트메어 프레드베어와 유사하게 보인다.[56] Pizza Party[57]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58]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5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60] 비행 감지(Flying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61] 다만 설치 제한이 5기가 전부인데다 장탄 수가 있기 때문에 공격을 끊고 재장전해야 하므로 조심해야 한다.[Boss] [63]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64] 특성이 적용된 적이 사망할 경우 그 자리에 녹아내린 시체를 소환 한다.[65] 게임 도중 적용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6]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시킴.[67] 때문에 팬덤에선 혹시 이것이 엄브라의 귀환을 위한 떡밥 아니냐는 의견이 잠깐 떠돌았었다. 물론 실상은 그런 거 없다에 불과했고, 엄브라 본체는 여전히 사망한 상태로 이벤트에서 과거 회상이나 동상으로만 등장하고 있지만.[6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9]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7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71]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72] 다른 모드에선 처리하기 귀찮을 뿐 대처에는 문제가 없느 적이지만, 여기선 사령관의 버프를 먹은 샷거너들이 타워들의 공격을 막아주며 진격해서 샷거너를 잡을 때 쯤이면 출구 근처에서 브레이커 무더기가 쏟아져 나오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73] 덕 헌트 전까지는 일식 이벤트의 태양의 파편 > 달의 파편 > 달의 먼지의 3단 분리가 최대였다. 이후 덕 헌트에서는 어미 오리가 어미 오리 > 수레 > 알돌이 > 오리/멋진 오리/살찐 오리/스파이 오리로 4단분리를 선보였다.[74] 브레이커 4 및 죽으면서 연쇄적으로 튀어나오는 모든 브레이커들의 체력을 합치면 이지는 475, 캐주얼은 580, 중급은 620, 몰튼은 770, 폴른은 860, 특별 게임 모드 셋과 하드코어는 710이나 한다.[75] Easy, Casual, Intermedate, Molten, Fallen, Hardcore, Polluted Wasteland Ⅱ, Badlands Ⅱ,[76] 비행 감지(Flying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Boss] [7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79]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8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81] Pizza Party[Boss] [83] 암전 패턴과 탑 햇은 프레디, 기타를 이용하는 패턴은 보니, 케이크를 이용하는 패턴은 치카, 그리고 여우 애니매트로닉스라는 점은 폭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84] 게임 오버 스킬의 연출 역시 내골격의 상태로 변한다.[85] 이 상태의 욱스는 TDS 최초로 방어력을 가진 최종 보스다. 이후 중급 & 캐주얼 모드의 실험체 제0호, 폴른 모드의 타락한 왕, 히든 웨이브의 각성한 타락한 왕도 방어력을 가지게 되었다.[86] 2024년 이후부터는 이벤트의 보스와 적들도 이지와 하드 모드 여부에 따라 능력치가 달라진다.[87] 별다른 연출이 없는 대신 화면을 흔들기 때문에 타워를 설치, 업그레이드, 판매하려 할 때 거슬리고 사령관 체인에도 부담을 준다.[88] 머리만 따왔으며 이 스킨의 모티브는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메인 빌런인 윌리엄 애프튼(일명 퍼플가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