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별 여자 축구 국가대표 선수권 ※UEFA 여자 챔피언십을 제외한 모든 대회는 FIFA 여자 월드컵 지역 예선을 겸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유럽 축구 연맹 UEFA 여자 유로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여자 아시안컵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W 챔피언십 | |
| | | |
아프리카 축구 연맹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여자 네이션스컵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
UEFA 여자 유로 | |
UEFA Women's EURO | |
| |
<colbgcolor=#009FC5><colcolor=#fff> 창설 연도 | 1984년 |
주관 단체 | 유럽 축구 연맹 |
참가 자격 | 유럽 축구 연맹에 등록된 축구협회 여자 대표팀 중 개최국 팀 및 예선을 통과한 15개팀 |
최근 우승팀 | |
최다 우승팀 | |
웹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유럽 축구 연맹(UEFA)이 주관하는 유럽 여자 축구 국가 대항 대회다. 창설 연도는 1984년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보다 9년 늦게 창설되었다.대회명은 〈UEFA 여자 유로 ××××〉(Women's Euro ××××) 식으로 정해지며, 이는 2009년 대회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 특징
- 초기에는 개최 주기가 불규칙적이었으나 1997년 대회부터는 FIFA 여자 월드컵과 2년 간격으로 4년마다 열리며, 남자부 대회가 열린 다음 해에 열린다. 여자 축구 대회다 보니 흥행이나 관심도는 남자부 대회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다.
- 다른 여자 대륙컵과는 달리 FIFA 여자 월드컵의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지 않는다. 단, 1991년, 1995년 대회는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기도 했다.
- 1984년 대회부터 1995년 대회까지는 4개국만 참가했으나, 1997년 대회부터는 8개국, 2009년 대회부터는 12개국으로 늘어났고, 2017년 대회부터는 16개국이 참가한다.
- 승리 시 승점은 1995년 대회까지는 2점이었다가, 1997년 대회부터 3점으로 상향되었다.
- 조별리그 순위 결정 방식은 남자부 대회와 동일하다. 순서는 「승점→승자승→골득실→다득점→…」으로, 승점이 같은 2팀이 있으면 상호 전적을 먼저 비교하고 동점이면 전체 골득실, 다득점 등을 비교한다. 승점이 같은 팀이 3팀일 때 역시 상대 전적을 먼저 비교하며, 다른 한 팀과의 전적은 제외한다.
- 전반적으로 독일이 강세를 보이는 대회다.
- 특이하게 공식 로고는 정해지지 않고 매 대회마다 로고가 새롭게 디자인되는 남자부 대회와 달리, 공식 로고만을 사용해왔다. 그러다가 UEFA 여자 유로 2022부터 공식 로고를 베이스로 한 새로운 대회 로고가 제작되었다.
3. 역대 대회
| |||||
역대 UEFA 여자 유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84 (홈&어웨이) | 1987 노르웨이 | 1989 서독 | 1991 덴마크 | 1993 이탈리아 | |
<rowcolor=#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95 독일 | 1997 노르웨이·스웨덴 | 2001 독일 | 2005 잉글랜드 | 2009 핀란드 | |
<rowcolor=#ff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2013 스웨덴 | 2017 네덜란드 | 2022 잉글랜드 | 2025 스위스 |
연도 | 결승전 | 3위 결정전 or 준결승 패배팀 | 참가 팀 수 | ||||
우승 | 득점 | 준우승 | 3위 | 득점 | 4위 | ||
<colbgcolor=#fcd> 1984[1] | | 1 : 0 0 : 1 (4 pen. 3) | | | 4개팀 | ||
노르웨이 1987 | | 2 : 1 | | | 2 : 1 | | |
서독 1989 | | 4 : 1 | | | 2 : 1 (연장) | | |
덴마크 1991 | | 3 : 1 (연장) | | | 2 : 1 (연장) | ||
이탈리아 1993 | | 1 : 0 | | | 3 : 1 | | |
독일 1995 | | 3 : 2 | | | |||
노르웨이·스웨덴 1997 | 2 : 0 | | | 8개팀 | |||
독일 2001 | 1 : 0 (골든골) | | | ||||
잉글랜드 2005 | 3 : 1 | | | ||||
핀란드 2009 | 6 : 2 | | | 12개팀 | |||
스웨덴 2013 | 1 : 0 | | | ||||
네덜란드 2017 | | 4 : 2 | | | 16개팀 | ||
잉글랜드 2022 | | 2 : 1 (연장) | | | |||
스위스 2025 |
4. 역대 우승팀
국가 | | | ||
<colbgcolor=#FEC> 횟수 | <colbgcolor=#FEC> 연도 | <colbgcolor=#EEE> 횟수 | <colbgcolor=#EEE> 연도 | |
8 | 1989, 1991, 1995, 1997, 2001, 2005, 2009, 2013 | 1 | 2022 | |
2 | 1987, 1993 | 4 | 1989, 1991, 2005, 2013 | |
1 | 1984 | 3 | 1987, 1995, 2001 | |
1 | 2022 | 2 | 1984, 2009 | |
1 | 2017 | - | ||
- | 2 | 1993, 1997 | ||
- | 1 | 2017 |
5. 관련 문서
[1] 홈&어웨이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