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라스 알게티 Ras Algethi | 베타성 코르네포로스 Kornephoros | 감마성 헤르쿨레스자리 감마 Υ Her | 델타성 사린 Sarin | |||||
엡실론성 헤르쿨레스자리 엡실론 ε Her | 제타성 루틸리쿠스 Rutilicus | 에타성 헤르쿨레스자리 에타 η Her | 세타성 루크발게티 게누비 Rukbalgethi Genubi | |||||
이오타성 헤르쿨레스자리 이오타 ι Her | 카파성 마르피크 Marfik | 람다성 마아심 Maasym | 뮤성 헤르쿨레스자리 뮤 μ Her | |||||
누성 헤르쿨레스자리 누 ν Her | 크시성 헤르쿨레스자리 크시 ξ Her | 오미크론성 헤르쿨레스자리 오미크론 ο Her | 파이성 헤르쿨레스자리 파이 π Her | |||||
로성 헤르쿨레스자리 로 ρ Her | 시그마성 헤르쿨레스자리 시그마 σ Her | 타우성 루크발게티 셰말리 Rukbalgethi Shemali | 웁실론성 헤르쿨레스자리 웁실론 υ Her | |||||
피성 헤르쿨레스자리 피 φ Her | 카이성 헤르쿨레스자리 카이 χ Her | 헤르쿨레스자리 프시 ψ Her | 오메가성 쿠잠 Cujam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헤르쿨레스자리 1 | 헤르쿨레스자리 2 | 헤르쿨레스자리 3 | 헤르쿨레스자리 4 | |||||
헤르쿨레스자리 5 | 헤르쿨레스자리 6 | 헤르쿨레스자리 7 | 헤르쿨레스자리 8 | |||||
그 외 헤르쿨레스자리에 속한 항성 | ||||||||
<colbgcolor=#fff,#1c1d1f> HD 162826 | HD 164595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심원천체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메시에 13S | 메시에 92S | UGC 10310G | - | ||
- |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헤르쿨레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UGC 천체 | ||||
UGC 10309 북쪽왕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 | UGC 10310 헤르쿨레스자리의 왜소은하 | → | UGC 10311 북쪽왕관자리의 타원은하 |
UGC 10310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6h 16m 17.9000468088s |
적위 | -47° 02′ 43.128874644″ | |
별자리 | 헤르쿨레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SB(s)m 왜소은하 | |
거리 | 33,276,000 광년 10,200,000 파섹 | |
운동 | 시선속도 | 715.05 km/s (z: 0.002388)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4.8454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2.8' × 2.2' | |
지름 | 24,190.62 광년 7,417.65 파섹 | |
명칭 | ||
Arp 2, UGC 10310, SDSS J161617.90+470243.1, DDO 204, CGCG 251-004, MCG +08-30-002, PGC 57678 |
1. 개요
UGC 10310 / Arp 2UGC 10310은 헤르쿨레스자리에 위치한 마젤란형 은하이다.
2. 상세
근처에 여러 작은 은하들이 있지만, UGC 10310의 크기를 감안할 때 이 은하들은 모두 후경 천체인 은하군으로 보인다. 따라서, UGC 10310이 상호작용은하라는 것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마젤란은하의 형태를 띄는 것은 상호작용은하의 전형적인 특성이기 때문에, 아마도 이 은하는 1~2번만 상호작용하거나 작은 규모의 상호작용만 하고, 이후 상호작용에서 풀려나 마젤란은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존속했을 가능성이 크다.[1] 또한, 중심에 Gaia DR3 1386983925022553216이라는 활동은하핵이 위치한다는 것이 위 주장을 강하게 뒷받침한다.[2] "두 은하가 다 합병된 것 아니냐?"는 비교적 쉽게 반박할 수 있는데, 두 은하가 완전히 합쳐졌다면 보통 타원은하가 되기 때문에 위 주장은 현 UGC 10310과 모순된다.2.1. PGC 101538
PGC 천체 | ||||
PGC 101537 헤르쿨레스자리의 완두콩은하 | ← | PGC 101538 헤르쿨레스자리의 전리수소영역 | → | PGC 101539 용자리의 방출선은하 |
PGC 101538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6h 16m 23.5420809528s |
적위 | +47° 02′ 02.261620176″ | |
별자리 | 헤르쿨레스자리 | |
겉보기 등급 | 16.933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전리수소영역 | |
거리 | 33,276,000 광년 10,200,000 파섹 | |
운동 | 시선속도 | 710.5 km/ s |
규모 | ||
겉보기 크기 | 0.35' × 0.26' | |
지름 | 1,038.47 파섹 | |
명칭 | ||
PGC 101538, SDSS J161623.52+470202.3, [WP2004] J161623+470201, HS 1614+4709, [BKD2008] WR 122, Gaia DR2 1386981077457955712, SDSS J161623.53+470202.3, [ITS2007] 52377-624-361, Gaia DR3 1386981077457955712 | ||
출처 | ||
SIMBAD |
PGC 101538이라는 전리수소영역이 위치해 있다. 다만, 해당 성운이 PGC 목록에 속한다고 해서 은하는 아니니 오인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