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2:39:10

Warframe/미니게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Warframe|Warframe]]

파일:워프레임_로고.png파일:워프레임 로고 화이트.png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ffffff {{{+1 장비}}}}}}
워프레임 무기 동반자 아크윙 착륙정
K-드라이브 레일잭 네크라메크
{{{#ffffff {{{+1 업그레이드}}}}}}
모드 리벤 모드 아케인 포커스 플렉서스
헬민스
{{{#ffffff {{{+1 기초 플레이 정보}}}}}}
조작 마스터리 랭크 오비터 피해 유형 자원
클랜 소모품 일일 접속 보상
{{{#ffffff {{{+1 미션 관련 정보}}}}}}
미션 퀘스트 보이드 균열 콘클레이브 신디케이트
이벤트 나이트웨이브 보존 낚시 채광
{{{#ffffff {{{+1 등장 적 정보}}}}}}
적 일람 보스 암살자 아이돌론 오브 마더
쿠바 리치 파보스의 자매들 테크노사이트 코다 집정관
{{{#ffffff {{{+1 지역}}}}}}
성계 지도 릴레이 아이돌론 평원 오브 협곡 캠비온 퇴적지
프록시마 두비리 홀바니아
{{{#ffffff {{{+1 세계관}}}}}}
등장인물 진영 조각들 언어 레퀴엠
{{{#ffffff {{{+1 기타}}}}}}
초보자 가이드 게임 용어 문제점 캡처라 미니게임
도전과제 워프레임 마켓 코믹스 사운드트랙 TennoCon
}}}}}}}}} ||

1. 개요2. 상세3. 목록
3.1. 워미우스3.2. 해피 제피르3.3. 프레임 파이터3.4. 칼리버 칙스 23.5. 올리의 크래쉬 코스
4. 기타

1. 개요

본 문서에서는 워프레임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미니게임들에 대해 서술한다. 각각의 게임들은 개인 스코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필 화면의 통계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종류에 따라서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게임들도 있으나 아쉽게도 글로벌 랭킹은 제공되지 않는다.

2. 상세

본래는 이스터에그 격으로 삽입된 숨겨진 요소였으나 업데이트 23.4에서 프레임 파이터가 출시되면서 전용 게임기 장식물인 "루도플렉스(Ludoplex)"를 장식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언제든 즐길 수 있는 정식 컨텐츠가 되었다. 루도플렉스는 세팔론 시마리스에게서 5만 평판으로 구입이 가능하며 작전 기지와 클랜 도장에 배치할 수 있다. 프레임 파이터는 루도플렉스를 구입할 시 기본적으로 플레이 가능하고, 이전에 추가된 두 게임들은 시마리스에게서 각각 2만 5천 평판으로 구입하여 해금할 수 있지만 따로 구입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방법으로도 여전히 플레이가 가능하다.

사족으로 루도플렉스 장식물의 하단부에는 코퍼스어가 적혀져 있는데 이는 해석하면 "PLAY OFTEN"이 된다. 게다가 루도플렉스의 루도(Ludo)는 라틴어로 "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코퍼스 문자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창작 언어라는 점을 감안하면 루도플렉스는 정황상 코퍼스 측에서 상업용으로 개발해서 판매하는 거치형 콘솔 게임기인 것으로 유추된다.

3. 목록

3.1. 워미우스

파일:WyrmiusSplash.png

타이틀에서 알 수 있듯이 코나미사의 슈팅 게임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패러디다. 플레이 방법은 또는 웜 프라임의 외형 설정 변경에서 화면 좌측 상단의 "W"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또는 로그인 화면에서 패스워드 없이 "Wyrmius"를 입력하면 된다. 단, 이 방법은 프로필의 스코어가 남지 않는다.

플레이어는 웜을 조종할 수 있으며[1] 코퍼스 세력이 적으로 등장한다. 횡방향 슈팅 게임이며 플레이어의 기체는 총 3기가 주어진다. 조작 방법은 기본 이동키와 스페이스 키를 통한 탄 발사뿐으로, 일반적인 슈팅게임에 등장하는 폭탄 시스템은 없다.

이름은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패러디지만, 같은 패러디 작품인 파로디우스 시리즈처럼 그라디우스 특유의 파워업 시스템까지는 가져오지 않았다. 오히려 파워업 시스템은 파로디우스보단 라이덴 시리즈에 더 가까운데, 파워업 아이템을 획득할 때마다 색상에 맞는 무기를 발사하는 시스템이다. 같은 색상의 아이템을 획득하면 해당 무기도 점점 더 강해진다.
  • 파랑: 웜의 기본 무기인 레이저 라이플을 발사한다. 파워업 시 더 많은 탄을 넓은 범위로 발사한다.
  • 빨강: 오그리스의 미사일을 발사한다.
  • 노랑: 란카의 탄을 발사한다. 일직선형 레이저를 쏘는데, 적을 꿰뚫는 효과가 있다.

초반에는 굉장히 쉽지만 후반으로 갈 수록 난이도가 꽤나 어려워진다. 탄이 미친듯이 쏟아지고, 어차피 미니게임이라 생각하고 만든 것인지 웜 센티널 특유의 사이즈가 그대로 히트박스로 적용되어 피격 판정이 굉장히 안 좋다. 탄에 살짝 스치기만 해도 죽을 수 있는 수준으로 여러모로 길 잃은 바이킹이 생각나는 부분. 최종 보스로 헬리오스가 등장하며[2] 클리어 시 자동으로 하드 난이도가 적용된 첫번째 스테이지로 돌아가는 것이 특징이다.

3.2. 해피 제피르



모바일 게임 Flappy Bird를 패러디한 게임. 플레이 방법은 워미우스와 동일하게 제피르의 외형 설정 변경에서 좌측 상단의 "Z"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또는 로그인 화면에서 패스워드 없이 "Flappy"를 입력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개인 스코어는 기록되지 않는다.

플레이 방법은 원작과 동일하게 스페이스 버튼을 눌러 장애물들을 피해주면 된다. 제피르는 테일 윈드 어빌리티와 낙하로 상승과 하강을 조작하는데, 기본적으로 어빌리티의 조작감이 좋지 않은 편인데다 조작 캐릭터가 인간형인만큼 히트박스가 세로로 길게 적용되기 때문에 워미우스처럼 피격 판정이 좋지 않아서 이를 고려하며 플레이해야 한다. 50점을 돌파하면 해피 제피르 포스터 장식물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3.3. 프레임 파이터

파일:warframe_frame_fighter.jpg

업데이트 23.4에서 추가된 대전 격투 게임으로, 루도플렉스 구입 시 기본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온라인 자동 매칭으로 다른 유저와 대전을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엑스칼리버, 볼트, 매그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외의 다른 워프레임들은 행성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프레임 파이터 캐릭터 조각을 스캔하는 것으로 해금할 수 있다. 워프레임을 모두 해금하면 오비터에 장식할 수 있는 프레임 파이터 포스터를 받을 수 있다. 해금한 워프레임의 프라임 워프레임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외형을 프라임 버전으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엑스칼리버 움브라를 소지하였다면 일반 엑스칼리버 대신 엑스칼리버 움브라를 선택할 수도 있다.

기본 조작은 약공격, 중공격, 강공격, 잡기, 막기, 어빌리티 사용 키가 할당되어 있으며 미니게임으로 만들어진 만큼 워프레임 고유의 타격 모션까지 제작되지는 않았다. 대신 각각의 워프레임들은 하나의 어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다.
워프레임스캔 장소어빌리티
가라지구섀터드 래쉬
나이더스포보스비럴런스
나타토성블레이징 차크람
네크로스데이모스소울 펀치
노바유로파안티매터 드롭
닉스해왕성사이킥 볼츠
라이노수성라이노 스톰프
로키해왕성스위치 텔레포트
림보목성배니쉬
매그기본
메사에리스피스메이커
미라지화성프리즘
바우반유로파테슬라
발키르목성립 라인
밴쉬금성소닉 붐
볼트기본쇼크
새린세드나스포어즈
아틀라스에리스랜드슬라이드
애쉬천왕성슈리켄
엑스칼리버기본슬래쉬 대쉬
엑스칼리버 움브라루아레이디얼 하울
엠버토성파이어볼
오공포보스아이언 잽
오베론세레스스마이트
옥타비아데이모스말렛
이나로스화성데시케이션
이바라수성퀴버
이쿼녹스천왕성메타모르포시스
제피르토성테일 윈드
코라금성윕클로
크로마명왕성스펙트랄 스크림
트리니티명왕성웰 오브 라이프
티타니아세드나랜턴
프로스트세레스프리즈
하이드로이드지구템페스트 배러지
해로우루아컨뎀

3.4. 칼리버 칙스 2



워프레임: 1999 업데이트로 추가된 네번째 미니게임. 90년대에 유행했던 런앤건 스타일의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들의 패러디로 홀바니아 중앙 쇼핑몰의 오락실에 비치된 전용 게임기를 통해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락실에 위치한 아미르에게서 헥스 신디케이트의 평판으로 ROM을 구매해서 루도플렉스에서 플레이할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익스트림즈뿐만 아니라 Sumo Digital 스튜디오도 개발에 협력하여 출시된 게임이기도 하다.

플레이어는 질리언과 릴리언 중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해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총 3개의 잔기가 주어진다. PC 기준으로 WASD가 이동과 조준, 스페이스가 점프, 시프트가 대시인데, 워미우스 때와는 다르게 우클릭으로 일반 공격, 좌클릭으로 특수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한 캐릭터에 따라 서로 다른 성능이 구현된 점도 특징이다. 질리언은 대상을 핀포인트로 공격하는 레이저 캐논을, 릴리언은 전방에 드론으로 가하는 융단 폭격을 특수기로 사용한다.

진행 도중에는 주기적으로 공중에 보급 드론이 등장하며, 이를 공격하면 메탈슬러그 시리즈데몬 프론트처럼 파워 업 아이템을 드롭한다. 파워업 아이템들은 체력 회복이나 일시 무적을 제공하며 드론의 색상에 따라 화염 방사기나 레이저 라이플, 로켓 런처 등의 총기 아이템을 제공하기도 한다. 총기는 획득한 파워업의 갯수에 따라 총 1~3단계까지 성능이 상승한다.

다만 파워업 아이템이나 스코어는 추가 잔기까지는 제공해주지 않는데, 칼리버 칙스는 총 3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인 러시라도 하는 것인지 도중에 게임 오버가 되어도 무한 컨티뉴 플레이가 가능하다. 대신 최종 보스를 클리어해도 즉시 처음 스테이지로 돌아가서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데, 1999년의 타임 루프와 전자기기를 감염시키는 테크병의 영향으로 루프가 반복될 수록 게임이 실시간으로 망가지고 기괴하게 변형되어 난이도가 상승하는 것이 특징이다.

첫번째 루프에서는 일반 난이도가 적용되나, 두번째 루프에서부터는 접촉시 자동으로 데미지를 입히는 실드가 적용되며 세번째 루프에서는 투사체의 크기 증가, 네번째 루프에서는 체력이 두배로 증가한다. 플레이어는 처음으로 칼리버 칙스 2의 클리어에 성공 시 질리언과 릴리언의 글리프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보급 드론이 일절 등장하지 않는 다섯번째 루프까지 연속으로 클리어하는 데 성공하면 킹 코기 엠블럼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3.5. 올리의 크래쉬 코스

파일:OllieCrashCourse.jpg

테크병 앙코르 업데이트로 추가된 다섯번째 미니게임. 오락실 등지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 체감형 레이싱 게임들의 패러디로 홀바니아 중앙 쇼핑몰 내부에 비치된 바이크 모양의 전용 게임기를 통해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락실에 위치한 아미르에게서 헥스 신디케이트의 평판으로 ROM을 구매해서 루도플렉스에서 직접 플레이할수도 있다.

게임은 아토미사이클을 직접 조작해서 고정된 코스를 빠르게 2회 주파하여 스코어링과 시간 단축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로, 코스에는 부스트 아이템과 장애물 등의 배치되어 있는데다 이탈시 맵 밖으로 추락해서 시간을 잡아먹기 때문에 적절한 드리프트 컨트롤이 필요하다. 밸런스상 윌리는 사용할 수 없지만 아토미사이클 특유의 불렛점프는 여전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적의 루트를 찾아 주행 구간을 건너 뛸 수 있는 점이 특징으로, 클리어 시 메일을 통해서 올리 플루프와 포스터 등의 장식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90초 이내로 완주에 성공시 아토미사이클 올리 도장도 획득할 수 있다.

4. 기타


미니게임과는 거리가 멀지만 위의 두 게임들과 비슷하게 로그인 화면에서 특수한 문자를 입력하므로써 시작할 수 있는 일종의 시뮬레이션. 로그인 창에 패스워드 없이 ''grineer.outbreak 혹은 corpus.outbreak''를 입력하면 테스트룸[3]으로 이동한다. 그곳에서 이전에 입력했던 진영에 따른 각각 진영의 유닛들이 인페스티드 진영 유닛들과 함께 다량으로 스폰되어 서로 난장판을 벌여가며 싸우는 모습이 끝없이 계속되는게 전부. 구경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게 없지만 사양 체크용 요소로 만들었다는 듯. 워프레임 특유의 물리엔진이 적용되어 난장판 와중에 하늘로 승천하거나 레그돌 현상이 벌어지는 유쾌한 장면도 간간히 감상할 수 있다.


[1] 웜 프라임으로 실행시켜도 플레이어블 기체는 웜뿐이다. 색상도 기본 컬러.[2] 헬리오스는 코퍼스제 센티넬이다.[3] 데브스트림에서 개발자들이 신규 유닛등을 시연할때 쓰는 맵과 타일셋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