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03:06:15

YAMATO(프로레슬러)


파일:PARADOXlogo.webp
YAMATO 요코스카 스스무 드래곤 키드
Kagetora 도이 나루키 BxB 헐크
파일:야마토 표지.jpg
<[ruby(全知, ruby=ぜん ち)][ruby(全能, ruby=ぜんのう)] / Almighty>
YAMATO
<nopad> 파일:YAMATO프로필1.jpg
DRAGONGATE
<colcolor=#E7161B><colbgcolor=#191919> 링네임 오노데라 야마토 ([ruby(小野寺, ruby=お の でら)] [ruby(大和, ruby=や ま と)])[1]
YAMATO[2]
본명 오노데라 마사토
[ruby(小野寺, ruby=お の でら)] [ruby(正人, ruby=まさ と)]
생년월일 1981년 9월 10일 ([age(1981-09-10)]세)
신장 172cm
체중 82kg
혈액형 B형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
학력 이치노세키농업고교 (졸업)[3]
미야기조리사전문학교 (졸업)
유형 올라운더
시그니쳐 무브 래리어트
미사일 킥[4]
드래곤 스크류
슬리퍼 수플렉스[5]
go to Hospital I[6]
갤러리아
피니쉬 무브 슬리퍼 홀드[7]
CBV[8]
무샤가에시 ([ruby(武者返, ruby=む しゃがえ)]し)[9]
갤러리아[10]
전지전능의 프랑켄슈타이너[11]
라그나로크[12]
별명 미스터 드림게이트[13]
(ミスタードリームゲート)
드래곤 게이트의 상징
(DRAGONGATEの[ruby(象徵, ruby=しょうちょう)])
전지전능 ([ruby(全知, ruby=ぜん ち)][ruby(全能, ruby=ぜんのう)])
테마곡 YAMATO SPIRIT - ACMA
데뷔 2005년 4월 3일 (23세)
쿄토부 쿄토시 카미교구 쿄토 KBS홀
DRAGONGATE RAINBOW GATE 3일차
vs 칸다 야스시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Ameba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요 커리어
[ 펼치기 · 접기 ]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 6회[14]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 1회
오픈 더 트윈 게이트 챔피언 10회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 6회
킹 오브 게이트 우승 (2016년)
섬머 어드벤처 태그 리그 우승 (2009년)
오픈 더 프리덤 게이트 챔피언 1회
류쿠 드래곤 프로레슬링 류오 챔피언 1회
킹 오브 FREEDOM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종합격투기 전적 2전 2패 (vs 히로세 카즈야, 코바야시 모토카즈)
1KO, 1판정

1. 개요2. 커리어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프로레슬러. 드래곤 게이트 소속.

드래곤 게이트가 낳은 최고의 에이스 중 한 명으로, 드래곤 게이트 역사상 최고의 황금 세대인 '현세대 6인'에서 출발하여 CIMA 이후 드래곤 게이트의 절대적 에이스로 자리잡은 선수이다.

2. 커리어

초등학생 시절부터 고등학생 때까지 야구를 배웠다가 드래곤 게이트에 입문하면서 프로레슬러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6년에 데뷔해 오노데라 야마토라는 링네임으로 시작했고, 다크 매치에서 모치즈키 마사아키를 포함한 자신이 동경한 칸다 야스시에게 각각 패하다가 1달 후 본경기에서 칸다 야스시와 다시 맞붙지만 패한다.

파이널 M2K 유닛으로 활동하며 싱글 및 태그팀 경기에 출전했지만 대부분 패했고, 아라이 켄이치로 & 요코스카 스스무와 같이 매그니튜드 키시와다 & 요시노 마사토 & 펜타곤 블랙을 상대로 DQ승을 거두며 첫 승리를 따냈지만 이후로는 한동안 패하는 경기가 다시 벌어졌다. 9월 말에 요코스카 스스무 & K-ness와 같이 맷 사이달 & 시사 보이 & 수퍼 사스를 상대로 처음으로 제대로된 승리를 거두고, 드래곤 게이트에서 활동하며 일본인 레슬러들 외에도 외국인 선수들과도 경기를 가지지만 싱글 경기에선 아직까지 1승을 거두진 못했다.

APE 키마타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둬 싱글 연패에서 탈출하고, 2007년에 개최된 NEX-1 토너먼트에 참가해서는 APE 키마타, 카츠오, 사이버 콩를 차례로 꺾고 우승까지 한다. 3월부터 미국으로 무사수행을 떠나며 링네임을 YAMATO로 변경한다.

ROH에 출연하면서 펠레 프리모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와의 경기에선 패하고, ACW & IWA의 합동무대에서는 스캇 서머즈에게 패하고, FIP에서는 로데릭 스트롱, 타카기 신고에게 각각 패한다.

미국활동을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온 YAMATO는 New Hazard에 가입하면서 다른 유닛들과 경쟁하게 되고, 2008년에 유닛에서 멤버들 간의 불화가 시작되면서 Muscle Outlawz에 가입한다. 공석이 된 오픈어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 자리를 두고 Gamma & 타카기 신고와 같이 요시노 마사토 & 도이 나루키 & BxB 헐크를 꺾고 새로운 오픈 더 트라이앵글 게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돈 후지이와의 경기에선 매번 패하고 다녔고, ROH가 일본에서 벌어지면서 에디 에드워즈와도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둔다. REAL HAZARD 유닛으로 활동하며 다른 유닛들과 매번 챔피언 자리를 두고 경쟁해 대부분 태그팀 경기에서 높은 승률을 올려나갔다. 그러나 유닛 내에서 또다시 불화가 시작되면서 유닛을 탈퇴해 KAMIKAZE에 가입한다.

2009년에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등장해 베스트 오브 더 수퍼 주니어에 참가하지만 높은 득점을 기록못해 탈락되고, 신일본에서 활동하는 다른 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져본다. 타카기 신고와 같이 섬머 어드벤처 태그 리그에 참가해 높은 득점을 기록하며 준결승전에서 아라이 켄이치로 & 칸다 야스시를 꺾고 결승전에서 나카지마 카츠히코 & 모치즈키 마사아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우승한다.

드래곤 게이트의 미국 지부인 드래곤 게이트 USA에서도 활동하며 일본과 미국을 오가는 활동을 하고, 2010년에 도이 나루키를 꺾고 새로운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싱글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2011년에는 드래곤 게이트 USA에서 BxB 헐크를 꺾고 오픈 더 프리덤 게이트 챔피언에도 등극하고, 미국과 일본을 오가는 활동을 이어나가지만 대부분 일본에서 챔피언 경력을 늘려나갔다.

2013년 6월에 토자와 아키라 & BxB 헐크를 상대로 오픈 더 트윈 게이트 챔피언십 매치를 벌였지만 패하고 타카기 신고를 배신해 MAD BLANKEY에 가입한다. MAD BLANKEY 일원으로 활동하며 다른 유닛들과도 대립하고, 매번 장벽이었던 돈 후지이까지 꺾는다. MAD BLANKEY에서 활동해서도 계속 챔피언 경력을 늘려나갔고, 지미즈와의 대립이 이어지며 유닛 해산 매치에서 패해 MAD BLANKEY가 해산된다.

MAD BLANKEY 해산 후로도 MAD BLANKEY에서 같이 활동한 멤버들과 때때로 팀을 이뤄 다니다가 코토카와 결탁해 신 유닛인 VerserK에 가입하고, 도이 나루키와 태그팀 듀오를 이뤄 출전한다. VerserK에서 활동하면서도 지미즈와 대립을 이어나갔고, 2016년에 Verserk에서 추방당한다. BxB 헐크 & 요스케 산타마리아와 같이 TRIBE VANGUARD를 결성해 Verserk와 대립하고, 킹 오브 게이트에 출전해 높은 득점을 기록해 준결승전에 진출하며 토자와 아키라를 꺾고 결승전에서 빅 R 시미즈까지 꺾으며 우승한다.

TRIBE VANGUARD로 활동하며 새로운 멤버들이 들어오고, 2018년부터 R.E.D.와 대립하며 두 유닛간의 대립은 장기화된다.

2019년에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해 KAI & 요스케 산타마리아 & 미노우라 코타와 같이 오오모리 호쿠토 & 노무라 나오야 & 이와모토 코지 & 제이크 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드래곤 게이트에선 Tribe Vanguard 내에서 멤버간의 문제로 해산된다.

2020년에 속한 유닛이 없이 정규군으로 활동하고, R.E.D.와도 대립하지만 속한 유닛이 없어 R.E.D.에게 패하고 다녔다. 2021년에 HIGH-END에 가입해 R.E.D.에게 다시 맞서며 조금씩 기세를 잡아갔고, 슌 스카이워커를 꺾고 통산 5회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에 오른다.

때때로 류쿠 드래곤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고 다니다가 2022년에는 프로레슬링 NOAH에도 첫 출연하고 Kagetora & 드래곤 키드와 같이 Eita & 스즈키 코타로 & NOSAWA론가이를 상대로 패하고, 오랜만에 미국에 출연해 하드코어 레슬링 단체인 GCW에도 출연해 토니 데픈과도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마이크 베일리와도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둔다. AAW에서 열린 짐 라이남 메모리얼 토너먼트에 참가해 재커리 웬츠를 꺾지만 프레드 예히와의 경기에서 패해 탈락되고, GCW에선 조나단 그레샴과의 경기에서 패하지만 블레이크 크리스찬, 조던 올리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Prestige에선 알렉스 셸리와도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드래곤 게이트 & NOAH의 합동흥행에서는 요시오카 세이키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2023년에 미국에서 다시 경기를 가지며 메이저 리그 레슬링에서 알렉산더 해머스톤과도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드래곤 게이트와 싱가포르의 RoR의 합동 흥행에도 출연하고, 드래곤 게이트에선 유닛없이 다른 선수들과 팀을 이뤄 출전하거나 때때로 다른 선수들과 싱글 경기를 가지며 활동을 이어나갔고, 미치노쿠 프로레슬링에도 잠시 출연해 미치노쿠 프로레슬링 소속 선수들과도 경기를 가졌다.

2024년에도 미국에 출연해 레슬콘에서 드래곤 키드 & 미노우라 코타 & 슌 스카이워커와 팀을 이뤄 빌라노 3 주니어 & 미스티코 스타 주니어 & 아베로 & 카베르나리오를 상대로 패하고, GCW에선 드래곤 키드 & 슌 스카이워커와 팀을 이뤄 아레즈 & 그링고 로코 & 라티고를 상대로 패하고, 드래곤 키드 & Kzy와 팀을 이뤄 Ben-K & 미노우라 코타 & 슌 스카이워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미국에서 열린 드래곤 게이트 & ETU의 합동 흥행에서믐 마이크 산타나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NOAH에 오랜만에 출연해 권왕과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UJPW에선 알파 울프 & 드래곤 베인 & 타카하시 히로무과 팀을 이뤄 닌자 맥 & MAO & 엘 데스페라도 & HAYATA를 상대로 패한다.

드래곤 게이트에선 유닛 활동없이 활동하며 유닛으로 활동하는 선수들과도 경기를 가지는 나닐을 보내다가 일시적으로 Tribe Vanguard를 결성해서 활동했다.

파일:YAMATO프로필.jpg
미노우라 코타와 헤어 VS 헤어 매치로 맞붙게 되면서 YAMATO가 승리를 거두면서 미노우라 코타는 룰에 따라 머리를 자르게 된다. Ben-K의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 자리에 도전하면서 승리를 거둬 통산 6회 챔피언에 오른다. 킹 오브 게이트에 우승한 드래곤 다이아 앞에 등장해 자신에게 도전할 것을 권하자 YAMATO는 드래곤 다이아와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 벨트 &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 벨트를 동시에 건 경기로 맞붙어 승리를 거둬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까지 얻으며 더블 타이틀 홀더가 된다.

2025년에도 더블 타이틀 홀더로 다니다가 4월 7일에 야나기우치 다이키를 상대로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십 매치를 가진 후 승리를 거두자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 자리를 포기하면서 오픈 더 브레이브 게이트 챔피언 자리가 공석 처리된다.

계속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으로 군림하며 모치즈키 마사아키를 상대로도 승리를 거둬 챔피언 자리를 지키자 슌 스카이워커가 등장해 도전을 하면서 슌 스카이워커는 패하면 드래곤 게이트를 떠난다는 조건을 내세우며 YAMATO는 슌 스카이워커와 맞붙게 되지만 YAMATO가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3. 여담

  • 이치노세키시에서 대중식당을 경영하는 부모님 밑에서 셋째로 태어났으며, 이로 인해 요리에 관심이 많아서 센다이시의 조리사 전문학교인 미야기조리사전문학교에서 조리사 면허를 취득했으며 2012년 말에는 푸드 코디네이터 3급 자격도 취득했다. 스스로 프로레슬러 겸 요리사 겸 푸드 코디네이터라고 칭할 만큼 요리에 애착도 상당하다.
    • 그래서 이미 드래곤 게이트의 탑급 선수가 된 이후에도 챵코 담당을 맡았다고 전해진다. 보통 챵코 담당은 신인들이 담당하고 신인을 벗어나면 뒤도 안 돌아보고 다음 신인들에게 넘긴다는 점에 빗대어 보면 YAMATO의 요리에 대한 애착이 확실함을 알 수 있다.
    • 2015년 6월부터 쇼가쿠칸의 주부 정보 사이트인 'Woman insight'에서 요리 칼럼인 '레슬러 YAMATO의 근육 키친'을 연재했으며, 2019년 12월에 서적화되었다. 이외에도 2019년에는 TV 시즈오카에서 레귤러로 요리 프로그램을 맡았으며, 2020년부터 월간지 「지상」에서 레시피를 연재하다가 2024년 7월에 연재한 레시피를 정리하여「YAMATO의 승부 밥」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
  • 2004년에 종합격투기에서도 활동한 적이 있지만 총 전적은 2전 2패를 기록했다.
  • 좋아하는 것은 건담, 일본사, AKB48이다. 특히 건담 사랑이 상당히 지극해서 기술 명에도 건담 관련 용어를 쓰거나, 본인을 건담의 뉴타입에 대비되는 '올드타입'이라고 칭할 정도이다.
  • 이외에도 본인도 인정할 정도로 취미가 굉장히 다양하다. 주짓수도 시작해서 2025년에는 블루벨트 2그랄을 달성했다.
  • 나르시스트적인 면모가 더해진 기믹 상 항상 시합 전에 손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확인하는데, 이 거울은 이치카와 카츠야 아나운서에게 선물받은 것이라고 한다.

4. 둘러보기

드래곤 게이트 현세대 6인
YAMATO BxB 헐크 타카기 신고
도이 나루키 요시노 마사토 토자와 아키라

파일:매드 블랑키 로고.webp
해체 선언 당시의 멤버
도이 나루키 YAMATO 사이버 콩
K-ness 문제용 펀치 토미나가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black"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margin: -5px 0px"
미스터 큐큐 토요나카 돌핀 토자와 아키라 우하 네이션
BxB 헐크 돈 후지이 리드 스콧
Kzy CIMA Gamma
}}}}}}}}} ||

파일:Dg2019logo2.png 역대 KING OF GATE 우승자
2015 2016 2017
요시노 마사토 YAMATO T-Hawk
파일:Dg2019logo2.png 역대 레이 데 파레하스 우승자팀
2007,2008 2009 2010
머슬 아웃로즈/WORLD-1
도이 나루키 & 요시노 마사토
KAMIKAZE
타카기 신고 & YAMATO
WORLD-1
도이 나루키 & 요시노 마사토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수훈상
미야하라 켄토
(2016)
YAMATO
(2017)
마루후지 나오미치
(2018)

[1] 데뷔 때부터 2007년 5월 7일, 미국 수행에서 귀국할 때까지 사용했던 링네임.[2] 2007년부터 쭉 써오고 있는 링네임.[3] 현 이치노세키 제2고교. 1968년 이치노세키 제2고교에서 분리독립했다가 2004년에 재병합으로 이치노세키 제2 고교 소속 농업과가 되었다. 하드코어 단체 프로레슬링 FREEDOMS의 대표인 사사키 타카시와 '우는 아이도 그치는 대거인' 이시카와 슈지가 이치노세키 제2고교 출신이다.[4] 이름은 미사일 킥인데, 프론트 드랍킥 식으로 떨어지는 다른 선수들과 달리 탑 로프에서 떨어지는 동시에 몸을 틀며 상대에게 일반 드롭킥을 차는 매우 특이한 미사일 킥을 찬다.[5] 슬리퍼 홀드 이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6] 점핑 엔즈이기리. 코너에 앉혀놓은 상대에게도 점프해서 사용하기도 하며, 연발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7] YAMATO의 격투기 경력을 상징하는 기술.[8] Cross Bone Vanguard. TAKA 미치노쿠의 저스트 페이스 락과 같은 기술로, 기술명의 유래는 기동전사 건담 F91에 등장하는 조직인 크로스본 뱅가드.[9] 스피어.[10] 리버스 브레인 버스터 자세로 잡아 날리는 툼스톤 파일드라이버. 선회식으로도 사용한다.[11] 프랑켄 슈타이너. 활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제자리에서 사용하거나 카운터로 사용하는 등 각종 활용법을 보여준다.[12] 리버스 브레인 버스터의 자세로 상대를 잡아 싯다운과 동시에 왼쪽 사이드에 후두부부터 떨구는 갤러리아의 업그레이드 버전 기술. 기술명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종말의 날.[13] 드래곤 게이트의 상징인 오픈 더 드림 게이트 챔피언을 사상 최다(6회) 횟수 등극한 YAMATO가 얻은 별명이다.[14] 사상 최다. 기존 기록은 타카기 신고요시노 마사토와 함께 기록한 4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