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6 11:06:57

넙다리삼각

femoral triangle에서 넘어옴

💪 근육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보디빌딩의 분류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colbgcolor=#eee,#333>어깨어깨세모근 · 돌림근띠<colbgcolor=#eee,#333>넓은등근 · 등세모근 · 척주세움근 · 뭇갈래근
가슴큰가슴근허리앞톱니근 · 척주세움근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아래팔근다리큰볼기근 · 골반바닥근
배곧은근 · 배바깥빗근 · 배속빗근 · 배가로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얼굴 및 목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머리덮개근육뒤통수이마근 · 관자마루근
앞귓바퀴근 · 위귓바퀴근 · 뒤귓바퀴근A · 고막긴장근 · 등자근
A : 세 귓바퀴근들은 귀를 들고 올리나 사람에서는 보통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음
얼굴 표정눈둘레근 · 눈썹주름근
코근 · 눈살근 · 코중격내림근
입근육의 아래머리입꼬리내림근 · 아래입술내림근 · 턱끝근
입근육의 위머리입꼬리당김근 · 큰광대근 · 작은광대근 · 위입술올림근 · 위입술콧방울올림근 · 입꼬리올림근
입무리입둘레근 · 볼근
씹기근육관자근 · 깨물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눈의 근육위눈꺼풀올림근 · 위곧은근 · 아래곧은근 · 안쪽곧은근 · 위빗근 · 아래빗근
입 안턱끝혀근 · 목뿔혀근 · 붓혀근
입천장입천장올림근 · 입천장긴장근 · 입천장인두근 · 목젖근 · 입천장혀근
후두반지방패근 · 뒤반지모뿔근 · 가쪽반지모뿔근 · 가로모뿔근 · 빗모뿔근 · 방패목뿔근 · 성대근 · 방패덮개근
인두아래인두수축근 · 중간인두수축근 · 붓인두근 · 귀인두관인두근
넓은목근 · 목빗근 (복장갈래 · 빗장갈래)
목뿔 위두힘살근 · 붓목뿔근 · 턱목뿔근 · 턱끝목뿔근
목뿔 아래복장목뿔근 · 복장방패근 · 방패목뿔근 · 어깨목뿔근
척주긴목근 · 긴머리근 · 앞머리곧은근 · 가쪽머리곧은근
척주앞목갈비근 · 중간목갈비근 · 뒤목갈비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팔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앞팔이음​근육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빗장밑근 · 앞톱니근
뒤팔이음​근육바깥기원​어깨근육얕은층 : 등세모근 · 넓은등근
깊은층 : 어깨올림근 · 마름근 (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자체기원​어깨근육어깨세모근 · 큰원근 · 돌림근띠 근육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작은원근 · 어깨밑근)
위팔앞칸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 부리위팔근
뒤칸위팔세갈래근 · 팔꿈치근A
A : 아래팔 뒤칸 근육으로 보기도 하며, 위팔세갈래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함
아래팔앞칸얕은층 : 원엎침근 · 노쪽손목굽힘근 · 긴손바닥근 · 자쪽손목굽힘근 ·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층 : 깊은손가락굽힘근 · 긴엄지굽힘근 · 네모엎침근
뒤칸얕은층 : 위팔노근 · 긴노쪽손목폄근 · 짧은노쪽손목폄근 · 손가락폄근 · 새끼폄근 · 자쪽손목폄근
깊은층 : 손뒤침근 · 긴엄지벌림근 · 긴엄지폄근 · 짧은엄지폄근 · 집게폄근
엄지두덩근육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 엄지모음근
새끼두덩근육새끼벌림근 · 짧은새끼굽힘근 · 새끼맞섬근
짧은 근육벌레근 · 등쪽뼈사이근 · 바닥쪽뼈사이근 · 짧은손바닥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다리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20px"
볼기큰볼기근 · 중간볼기근 · 작은볼기근
가쪽​돌림근궁둥구멍근 · 속폐쇄근 · 위쌍동근 · 아래쌍동근 · 넙다리네모근 · 바깥폐쇄근A
A : 기능적으로는 볼기 부위의 가쪽돌림근들과 유사하지만 위치상으로는 넓적다리 근육에 가까움
넓적​다리앞칸엉덩허리근 (엉덩근 · 큰허리근) · 작은허리근 · 넙다리근막긴장근 · 넙다리빗근 ·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곧은근 · 가쪽넓은근 · 중간넓은근 · 안쪽넓은근) · 무릎관절근
안쪽칸긴모음근 · 짧은모음근 · 큰모음근 · 두덩정강근 · 두덩근
뒤칸반힘줄근 · 반막근 · 넙다리두갈래근 (햄스트링)
관련 구조물넙다리삼각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 모음근굴 · 거위발
종아리앞칸앞정강근 · 긴발가락폄근 · 긴엄지폄근 · 셋째종아리근
가쪽칸긴종아리근 · 짧은종아리근
뒤칸얕은층 : 장딴지세갈래근 (장딴지근 · 가자미근) (아킬레스건B) · 장딴지빗근
B :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모여서 이루는 발꿈치힘줄이므로 작성
깊은층 : 오금근 · 긴엄지굽힘근 · 긴발가락굽힘근 · 뒤정강근
발등짧은발가락폄근 · 짧은엄지폄근C
C : 짧은발가락폄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하나 여기서는 서로 다른 근육으로 작성
발바닥1층 : 엄지벌림근 · 짧은발가락굽힘근 · 새끼벌림근
2층 : 벌레근 · 발바닥네모근
3층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모음근 · 짧은새끼굽힘근
4층 : 바닥쪽뼈사이근 · 등쪽뼈사이근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얼굴과 목의 근육, version=17, uuid=99c736e8-18c3-4b14-9e4f-5389dd29525c,
title2=틀:팔의 근육, version2=7, uuid2=a289455d-3589-4635-809c-7c5e35475e9d,
title3=틀:하반신의 근육, version3=15, uuid3=72291e44-c1e6-4299-825d-d35ac4d12ff4)]
femoral triangle
(넙다리삼각, 대퇴삼각)
파일:넙다리삼각.jpg 파일:넙다리삼각실제모습.png
오른쪽 넙다리삼각의 모식도[1] 왼쪽 넙다리삼각의 실제 해부 사진[단어]

1. 개요2. 구조
2.1. 경계2.2. 지나는 구조물
3. 관련 구조물4. 왜 중요한가?

[clearfix]

1. 개요

넙다리삼각(femoral triangle)은 넓적다리 앞칸에 위치하는 가장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 넙다리삼각의 꼭대기 지점은 넓적다리 위쪽 1/3 지점에 존재하며, 이 안을 넙다리신경/동맥/정맥 등이 모두 지나는 역삼각형 모양 구조이다. 개정 전 용어는 대퇴삼각([3]).

2. 구조

2.1. 경계

넙다리삼각의 가쪽/안쪽/위쪽 경계(boundary)는 다음과 같다:
  • 가쪽 경계 -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의 안쪽 경계.
  • 안쪽 경계 - 긴모음근('a'dductor longus muscle)의 안쪽 경계. 단,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가쪽 경계로 보기도 한다.[4][5] 이 문서의 해부 사진에서는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설정하였다.
  • 위쪽 경계 - 고샅인대('i'nguinal 'l'igament).

이들 경계를 외우는 방법으로는 가쪽-안쪽-위쪽 경계를 이루는 구조들의 첫자를 따와 'sail'이라고 외우는 방법이 있다. 예시. 마침 역삼각형 모양인 넙다리삼각이 처럼 생기기도 했다.
한편, 위쪽 경계인 고샅인대를 넙다리삼각의 바닥(base), 안쪽 경계인 긴모음근 안쪽 경계와 가쪽 경계인 넙다리빗근 안쪽 경계가 만나는 지점을 넙다리삼각의 꼭대기(apex)라고 정의한다.
한편, 넙다리삼각의 바닥면(floor)[6]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은 가쪽에서 안쪽 순서로 엉덩허리근두덩근, 긴모음근[7]이다. 넙다리삼각의 천장(roof)은 깊은쪽에서 얕은쪽 순서로 넙다리근막(fascia lata; deep fascia), 얕은근막(superficial fascia), 체근막(cribriform fascia, Hesselbach's fascia), 피부(skin)가 차례로 존재한다.

2.2. 지나는 구조물

가쪽에서 안쪽 순서로 나열한다. 넓적다리 밑쪽의 혈류나 신경 신호 전체를 전달하는 생명에 직결된 중요한 구조물들이 다수 넙다리삼각을 지나간다.
  • 가쪽넙다리피부신경(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 넙다리신경(femoral nerve)
  • 음부넙다리신경 넙다리가지(femoral branch of genitofemoral nerve) - 음부넙다리신경은 두 개의 가지를 내는데, 이 중 음부가지(genital branch)는 넙다리삼각을 지나지 않는다.[8] 음부가지는 external spermatic nerve라고 불리기도 하며, 넙다리가지보다 가쪽으로 내려가서 고환올림근(cremaster muscle) 등을 지배한다.
  • 넙다리동맥(femoral artery)
  • 넙다리정맥(femoral vein), 큰두렁정맥(great saphenous vein)[9]
  • 깊은고샅림프절(deep inguinal lymph nodes) - 고샅림프절은 크게 얕은고샅림프절(superficial inguinal lymph nodes)과 깊은고샅림프절(deep inguinal lymph nodes) 두 그룹으로 먼저 나눌 수 있는데, 얕은 쪽은 대부분 두렁정맥구멍(saphenous opening) 근처에 분포하고, 깊은쪽은 넙다리정맥 안쪽에 분포한다.

이때 넙다리혈관집(femoral sheath)은 넙다리동맥과 넙다리정맥이 고샅인대 뒤쪽으로 지나올 때, 넙다리혈관을 둘러싼다. 중요한 것은 넙다리혈관집이 넙다리신경은 싸지 않는다는 것이다. 혈관과 림프절들은 이 혈관집 안을 지나간다.
이 가쪽에서부터 넙다리삼각을 지나는 구조물의 순서가 신경('n'erve), 동맥('a'rtery), 정맥('v'ein)이기 때문에 Navy라고 줄여서 외우기도 한다. 앞에서 넙다리삼각 경계를 이루는 구조물 암기법이 sail이었던 걸 생각하면 나름대로 억지로 연관지어 암기에 사용할 수 있을 법도 하다.

3. 관련 구조물

3.1. 넙다리혈관집

넙다리혈관집은 넙다리삼각 구역 안에서 넙다리동맥/정맥을 둘러싸는 근막집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넙다리혈관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넙다리관, 넙다리관구멍

넙다리관은 넙다리혈관집의 안쪽 구멍이며, 넙다리관구멍은 넙다리혈관집의 위끝으로 입구 역할을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넙다리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모음근굴

모음근굴은 넙다리삼각 꼭대기부터 시작되는, 넙다리동맥/정맥의 주행경로를 둘러싸는 굴 모양 구조물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음근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왜 중요한가?

상술했듯 넙다리삼각에서는 다수의 주요 구조물들이 지나간다. 따라서 이 부위를 다치면 다리와 넓적다리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이 넙다리삼각 구조는 넙다리빗근이 지나가지 않아 보호가 덜 되는 곳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안쪽에 위치하는 넙다리정맥이 사이클 등의 운동을 하다가 손상되기 쉽다. 한편, 넙다리동맥은 이 삼각에서도 피부 표면 가까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샅인대 중앙 바로 밑부분에서는 넙다리동맥의 박동을 느끼기 쉬우며살쪘으면 박동이 안 느껴진다, 혈관 카테터 등을 시행할 때 이 넙다리삼각을 지나가는 중인 넙다리동맥 부분을 표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임상적인 이득도 있지만, 역시 표면 가까이에 있다 보니 동맥 파열이 일어나기도 쉽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1] 그림의 long saphenous vein은 두 번째 그림의 gsv(great saphenous vein, 큰두렁정맥)의 다른 이름이다. 즉, 같은 정맥이다.[단어] al=adductor longus (긴모음근), gsv=great saphenous vein (큰두렁정맥), pect=pectineus (두덩근), v=femoral vein (넙다리정맥), a=femoral artery (넙다리동맥), pf=profunda femoris artery; deep femoral artery (깊은넙다리동맥), n=femoral nerve (넙다리신경), ip=iliopsoas (엉덩허리근), 그 외 약어 아닌 단어는 sartorius (넙다리빗근), inguinal ligament (고샅인대). 긴모음근보다 안쪽에 존재하는 긴 근육은 두덩정강근.[3] 큰 대, 넓적다리 퇴, 석 삼, 뿔 각[4] 대한해부학회가 펴낸 국소해부학 셋째판의 경우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가쪽 경계라고 설명한다.[5] 이 경우 넙다리삼각의 영역은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봤을 때보다 좁아지게 되고, 넙다리삼각의 바닥을 이루는 근육들에서 긴모음근은 빼고 설명하게 된다.[6] 앞의 base와는 다르다. Floor는 넙다리삼각보다 깊은쪽의 구조들이고, base는 사실 바닥이라기보다는 위쪽 벽에 더 가깝다.[7] 단, 위에서 설명했듯 넙다리삼각 안쪽 경계를 긴모음근 안쪽 경계로 봤을 때.[8] 해당 사진 참조. 음부가지가 고샅인대 위쪽에서 샅굴(inguinal canal)을 통해 빠져나와 밑으로 주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9] 두렁정맥구멍(saphenous opening)을 나오면서 넙다리정맥에서 분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