傲 거만할 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ゴウ | ||||||
일본어 훈독 | あそ-ぶ, あなど-る, おご-る | ||||||
傲 | |||||||
표준 중국어 | 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傲는 '거만할 오'라는 한자로, '거만하다', '오만(傲慢)하다', '꿋꿋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거만하다 |
음 | 오 | |
중국어 | 표준어 | ào |
광동어 | ngou6 | |
객가어 | ngau | |
민북어 | ngāu | |
민동어 | ngô̤[文] / ngó̤[白] | |
민남어 | ngō͘ | |
오어 | ngau (T3) | |
일본어 | 음독 | ゴウ |
훈독 | あそ-ぶ, あなど-る, おご-る | |
베트남어 | ngạo |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敖(거만할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0B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GSK(人土尸大)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간오(簡傲)
- 거오(倨傲)
- 건오(蹇傲)
- 고오(高傲)
- 과오(夸傲)
- 교오(驕傲)
- 기오당(寄傲堂)
- 능오(凌傲)
- 사오(奢傲)
- 언오(偃傲)
- 오기(傲氣)
- 오만(傲慢)
- 오색(傲色)
- 오시(傲視)
- 오연(傲然)
- 오탄(傲誕)
- 오퍅(傲愎)
- 은오(嚚傲)
- 치오(侈傲)
- 태오(怠傲)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㜜(거만할 오)[3]
- 䦋(길고큰모양 오)
- 滶(노닐 오)
- 隞(땅이름 오)
- 𨫼(번철 오)[4]
- 𪍮[⿰麥敖](볶을 오)[5]
- 獓(사나운개 오)[6]
- 磝(성이름 오)
- 嗷(시끄러울 오)
- 璈(악기이름 오)
- 慠/𢕟[⿰彳敖](오만할 오)
- 㠂(잔돌많은산 오)[7]
- 𨄨[⿰𧾷敖](조개 오)
- 䮯(준마 오)[8]
- 𩪕[⿰骨敖](집게발 오)
- 𧑃[⿰虫敖](차오 오)[9]
- 謸(헐뜯을 오)[10]
- 𢳆(재촉할 촉)
- 𡏼[⿰土敖]
- 𭵶[⿰火敖]
- 𰖢[⿰日敖]
- 𰘗[⿰木敖]
- 𬑞[⿰目敖]
- 𭽠[⿰白敖]
- 𲀿[⿰衤敖]
- 𨎞[⿰車敖]
- 𫗺[⿰首敖]
- 𫘀[⿰香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