凌 업신여길 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冫,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しの-ぐ | ||||||
- | |||||||
표준 중국어 | lí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업신여길 릉(凌). '업신여기다', '능가(凌駕)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업신여기다 |
음 | 릉 | |
중국어 | 표준어 | líng |
광동어 | ling4 | |
객가어 | lìn | |
민북어 | lěng | |
민동어 | lìng | |
민남어 | lêng | |
오어 | lin (T3) | |
일본어 | 음독 | リョウ |
훈독 | しの-ぐ | |
베트남어 | lăng |
유니코드에는 U+51C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MGCE(戈一土金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氷(얼음 빙)과 소리를 나타내는 夌(언덕 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얼음'이라는 뜻을 나타내었으나, 이후 '업신여기다', '능가하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달릴 릉(淩)의 간체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 능가(凌駕)
- 능긍(凌兢)
- 능란(凌亂)
- 능려(凌厲)
- 능멸(凌蔑)
- 능모(凌侮/凌冒)[1]
- 능반(凌叛)
- 능범(凌犯)
- 능소지(凌霄志)
- 능소화(凌霄花)
- 능연각(凌煙閣)
- 능오(凌傲)
- 능욕(凌辱)
- 능우(凌雨)
- 능정령(凌頂嶺)
- 능좌(凌挫)
- 능지(凌遲)
- 능파(凌波)
- 능핍(凌逼)
- 능학(凌虐)
- 침릉(侵凌)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구아이링(谷爱凌)
- 나가노 료타(長野 凌大)
- 나리타 료(成田 凌)
- 능봉(凌封)
- 능열(凌烈)
- 능조(凌操)
- 능진(凌振)
- 능통(凌統)
- 담릉(淡凌)
- 릉운철(凌云彻)
- 리하오링(李豪凌)
- 링 샤오유(凌曉雨)
- 링카이윙(凌啟榮)
- 마에다 료스케(前田 凌佑)
- 마츠다 료(松田 凌)
- 미야사카 료헤이(宮坂 凌平)
- 박능후(朴凌厚)
- 백능파(白凌波)
- 세코구치 료(世古口 凌)
- 소노다 료지(園田 凌士)
- 야마사키 료고(山﨑 凌吾)
- 양릉(楊凌)
- 옌쥔링(颜骏凌)
- 오미 시노구(大蛇 凌)
- 왕릉(王凌)
- 왕링윈(王凌雲): 중국의 민주화 인사 왕단의 어머니
- 요시다 료(吉田 凌)
- 우다능기(尤多凌其)
- 이공삼(貳凌三)
- 이능간(李凌幹)
- 장릉혁(张凌赫)
- 제릉(悌凌)
- 츠지 료시로(辻 凌志朗)
- 코즈키 료고(神月 凌吾)
- 쿤링(昆凌)
- 토미야마 료가(富山 凌雅)
- 토사 료가(土佐 凌牙)
- 하이자키 료헤이(灰崎 凌兵)
3.4. 지명
- 능연각(凌煙閣)
- 능원(凌源)
- 능한산성(凌漢山城)
- 능허대중학교(凌虛臺中學校)
- 능허봉(凌虛峯)
- 링샤오리(凌霄里)
- 링위안시(凌源市)
- 링윈현(凌云县)
- 링쿵루역(凌空路站)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능해길(凌해길)
-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凌虛大路)
- 인천광역시 연수구 능허대로(凌虛大路)
-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능파리(凌波里)
- 창덕궁 능허정(昌德宮 凌虛亭)
3.5. 창작물
3.6. 기타
- 능파미보(凌波微步)
- 료운카이(凌雲会): 일본 민주당의 보수 계파
- 凌克(Lingke): 링크 & 코의 중국어 표기
- 本田凌派: 혼다 크라이더의 중국어 표기
- 长安汽车 凌轩: 창안 린맥스의 중국어 표기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錂(강한 쇠 릉)
- 㱥(귀신이 나올 릉)
- 碐(돌이 울퉁불퉁한 모양 릉)
- 堎(땅 이름 릉)
- 裬(말뱃대끈 릉)
- 䮚(말의 병 릉)
- 踜(머물 릉)
- 棱(모 릉)
- 稜(모날 릉)
- 𧤁(모서리 릉)
- 掕(붙잡을 릉)
- 綾(비단 릉)
- 𩩡(뼈 불거진 모양 릉)
- 倰(속일 릉)
- 輘(수레 소리 릉)
- 㥄(슬퍼할 릉)
- 陵(언덕 릉)
- 婈(여자의 자 릉)
- 睖(응시할 릉)
- 祾(제사 이름 릉)
- 鯪(천산갑 릉)
- 崚(험준할 릉)
- 𣥻(그칠 증)
- 䗀(대합조개 증)
- 㖫(릉)
- 𣇾
- 𤊥
- 𦝄
[1] 凌侮는 '남을 업신여김', 凌冒는 '피하지 않고 무릅씀'의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