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07:46:54

앞 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ゼン, セン
일본어 훈독
まえ, さき
-
표준 중국어
qi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반대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앞 전(前). 앞, 먼저, 미래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일상적인 용법은 아니지만 논문 등에서는 기원전의 연도에 한자 前을 붙여 표현하기도 한다. 기원전 120년을 '前 120년'이라고 쓰는 식.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앞
중국어 표준어 qián
광동어 cin4
객가어 chhièn
민북어 chîng
민동어 cièng[文] / sèng[白]
민남어 chiân[文] / chêng, chûn[白]
오어 xxi (T3)
일본어 음독 ゼン
훈독 まえ, さき
베트남어 tiền

이 글자의 원래 형태는 歬이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발을 나타내는 (그칠 지) 자 아래에 (배 주) 자와 같은 형태[5]가 있고, 그 양옆으로 길()이 나 있는 형태로 등장한다. 그래서 이 글자는 회의자이며, '배를 타고 앞으로 나아가다'라는 뜻에서 '앞'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신 리)의 옛 형태처럼 舟의 형태를 신발로 보아, '신을 신고 앞으로 나아가다'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갑골문에서는 양옆으로 行 자가 없는 형태도 나타나는데, 이 형태가 금문소전까지 이어졌다. 한편 전서에서는 舟 자 옆에 (칼 도) 자가 추가된 형태(𣦃 / 𠝣)가 등장하는데, 이는 '자르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후 '자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는 다시 이 밑에 刀 자를 더한 (자를 전) 자로 분화되고, 기존의 前 자는 다시 원래의 뜻인 '앞'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편 현재의 자형은 예서에서 止 자와 舟 자의 형태가 일그러지면서 만들어진 것이다.[6]

왼쪽 아래의 부분을 대만과 홍콩에서는 月이 단독으로 쓰일 때처럼 왼쪽 세로획 끝이 휘어진 형태로 쓰지만, 한국과 중국과 일본에서는 왼쪽 세로획을 똑바로 세워서 쓴다. 서체에 따라서는 月 부분의 안쪽이 가로획 2개 대신 점 2개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초서체로 쓸 경우 아래의 부분을 처럼 쓰는 경우가 많다.

창힐수입법으로는 TBLN(廿月中弓)으로 입력한다.

읽기 7급II, 쓰기 6급에 속하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기원전(紀元前)
  • 면전(面前)
  • 목전(目前)
  • 문전(門前)
  • 사전(事前)
    • 사전감사(事前監査), 사전구속영장(事前拘束令狀), 환경사전조사(環境事前調査)
  • 생전(生前)
  • 식전(式前/食前)
  • 아전(衙前)
  • 여전(如前)
  • 역전(驛前)
  • 오전(午前)
  • 이전(以前)
  • 전과(前科)
  • 전근대(前近代)
  • 전기(前期)
  • 전년(前年)
  • 전대(前代)
  • 전략(前略)
  • 전력(前歷)
  • 전례(前例)
  • 전립선(前立腺)
  • 전망(前望)
  • 전면(前面)
  • 전문(前文)
  • 전반(前半)
  • 전방(前方)
  • 전생(前生)
  • 전선(前線)
    • 열대전선(熱帶前線), 온난전선(溫暖前線), 적도전선(赤道前線), 최전선(最前線), 한랭전선(寒冷前線)
  • 전세(前世/前歲)
  • 전신(前身)
  • 전야(前夜)
  • 전월(前月)
  • 전위(前衛)
  • 전임(前任)
  • 전자(前者)
  • 전전(戰前)
  • 전제(前提)
    • 대전제(大前提), 소전제(小前提), 전제조건(前提條件)
  • 전조(前兆/前朝)
  • 전조등(前照燈)
  • 전주(前週)
  • 전주곡(前奏曲)
  • 전진(前秦)
  • 전진(前進/前陣/前陳)
    • 공격전진(攻擊前進)
  • 전초(前哨)
    • 전초전(前哨戰)
  • 전치사(前置詞)
  • 전편(前便/前篇)
  • 전한(前漢)
  • 전향적(前向的)
  • 전회(前回)
  • 전후(前後)
    • 전후방(前後方)
  • 종전(從前)
  • 직전(直前)
  • 향전(向前)
  • 혼전(婚前)

3.2. 고사성어/숙어

  • 前倨後恭 전거후공
  • 前古未聞 전고미문
  • 前古所無 전고소무
  • 前功可惜 전공가석
  • 前代未聞 전대미문
  • 前無後無 전무후무
  • 前事勿論 전사물론
  • 前事之不忘後事之師 전사지불망후사지사
  • 前生緣分 전생연분
  • 前人未踏 전인미답
  • 前程萬里 전정만리
  • 前妻所生 전처소생
  • 前瞻後顧 전첨후고
  • 前虎後狼 전호후랑
  • 前後曲折 전후곡절
  • 前後矛盾 전후모순
  • 前後不計 전후불계
  • 前後事緣 전후사연
  • 前後首末 전후수말
  • 前後左右 전후좌우
  • 前鑑昭然 전감소연
  • 前車可鑑 전거가감
  • 前車覆轍 전거복철
  • 前車覆後車戒 전거복후거계
  • 前途多難 전도다난
  • 前途洋洋 전도양양
  • 前途遙遠 전도요원
  • 前途有望 전도유망
  • 前門拒虎後門進狼 전문거호후문진랑
  • 前覆後戒 전복후계
  • 前言往行 전언왕행
  • 前進之望 전진지망
  • 前車覆後車戒 전차복후차계
  • 前遮後擁 전차후옹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반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가시 형)


[文] 문독[白] 백독[文] [白] [5] 혹은 (무릇 범) 자의 금문 형태와 닮기도 했다.[6] (옷 복)도 前처럼 본래 舟 부분의 형태가 예서에서 月로 일그러져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