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1:17:16

언덕 릉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リョウ
일본어 훈독
みささぎ
-
표준 중국어
lí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陵은 '언덕 릉'이라는 한자로, '언덕'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9675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GCE(弓中土金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언덕 부)와 음을 나타내는 (언덕 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언덕 고)
  • (언덕 구)
  • (언덕 부)
  • (언덕 아)
  • (언덕 안)
  • (언덕 애)
  • (언덕 원)
  • (언덕 치)
  • (언덕 파)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강한 쇠 릉)
  • (귀신이 나올 릉)
  • (돌이 울퉁불퉁한 모양 릉)
  • (땅 이름 릉)
  • (말뱃대끈 릉)
  • (말의 병 릉)
  • (머물 릉)
  • (모 릉)
  • (모날 릉)
  • 𧤁(모서리 릉)
  • (붙잡을 릉)
  • (비단 릉)
  • 𩩡(뼈 불거진 모양 릉)
  • (속일 릉)
  • (수레 소리 릉)
  • (슬퍼할 릉)
  • (업신여길 릉)
  • (여자의 자 릉)
  • (응시할 릉)
  • (제사 이름 릉)
  • (천산갑 릉)
  • (험준할 릉)
  • (가파를 준)
  • 𣥻(그칠 증)
  • (대합조개 증)
  • (릉)
  • 𣇾
  • 𤊥
  • 𦝄

[1] 가능역과 가릉역은 한자가 같지만 발음이 다르며 실제로도 다른 역이다.[2] 서울특별시 광진구, 경기도 화성시 모두 한자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