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07:25:03

정릉역

정릉(국민대)
파일:UiLine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Jeongneung
(Kookmin Univ.)
한자 貞陵
간체자 贞陵
가나 [ruby(貞陵, ruby=チョンヌン)]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지하122 (정릉동 996-330)
운영 기관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
개업일
우이신설선 2017년 9월 2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
6.1. 아리랑로
6.1.1. 1번 출구6.1.2. 2번 출구
6.2. 정릉로(1번 출구)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S119번.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지하122 (정릉동 996-330) 소재. 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식회사가 운영 중이다.

2. 역 정보

파일:UL10.jpg

역명은 해당 역이 위치한 성북구 정릉동에서 따왔고 아리랑고개 사거리와 아리랑고개입구 삼거리 사이에 있다. 내부순환로와 교차하므로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이 완공된다면 환승역이 될 수 있다.

성북구에서 이 역의 역명을 "정릉역"으로 명명하여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정릉을 테마로 한 창의문화역을 만들 수 있게 협조해달라는 요청을 서울시에 제출한 바 있고, 2016년 1월에 실시한 주민 선호도에서도 1. 정릉역, 2. 세계유산정릉역 두 개의 후보 중 정릉역이 총 105표 중 64표(60.95%)를 얻어 1순위가 되었다. 서울시 지명위원회를 통해 최종 역명 역시 정릉역으로 확정되었다.

병기역명은 유상판매로 국민대입구가 병기되게 되었고, 이후 국민대로 변경되었다.

국민대학교의 경우 북한산보국문역이 더 가까우나, 버스 환승을 통해 가기에는 정릉역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이쪽으로 병기역명을 구매하였다.[1] 실제 학교 기준 동쪽으로 등하교를 하는 학생들은 절대다수가 정릉역을 거쳐 등하교[2]했기 때문에, 더 가까운 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병기역명에 대한 거부감은 적은 편이다. 다만 향후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이 개통된다면 북한산보국문역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역이 새로 생기기 때문에 병기역명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

여담으로 분당선 선정릉역 명칭 제정 시 '정릉역'이 될 뻔 했는데, 이 동네의 임팩트가 너무 크기 때문에 선릉역과의 중복에도 불구하고 선정릉역이 되었다. 결국 '정릉역'이라는 이름은 이 곳에서 무난하게 차지하였다.

1, 2번 출입구 모두 캐노피로 지어졌으며, 대합실이 메자닌층(복층)형태로[3] 시공되어 좁은 역사크기에 비해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대합실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건너갈 수 있다.

다른 역들이 밋밋한 마감재를 활용한 것에 비해 이 역만큼은 평범한 철판이 아닌 돌로 마감재를 했다.

이 역과 북한산보국문역 사이에 2연속 드리프트가 있어, 소리가 꽤 시끄럽게 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KB국민은행 북악지점, 내부순환로 정릉램프, 서울숭덕초등학교가 붙어있다. 인근에 아리랑시장, 정릉힐스테이트아파트 외에 소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몰려있다. 그리고 병기역명이 '국민대입구'라고 되어있지만 실제 국민대학교로 가려면 2km가 넘어 30분 이상 걸리니 버스를 타고 다섯 정류장을 더 가야 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b7c450><bgcolor=#b7c450> 연도 || 파일:UiLine_icon.svg ||<bgcolor=#b7c450> 비고 ||
2017년 6,983명 [4]
2018년 7,792명
2019년 8,454명
2020년 6,801명
2021년 7,280명
2022년 8,250명
2023년 8,853명
출처
서울열린데이터광장

5. 승강장

파일:정릉 승강장.jp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승강장
북한산보국문
성신여대입구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솔샘·삼양·4.19민주묘지·북한산우이 방면
성신여대입구·보문·신설동 방면

6. 연계 버스

6.1. 아리랑로

6.1.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정릉입구.정릉역(08264) ||
간선
지선
심야

6.1.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정릉입구.정릉역(08263) ||
간선
지선, 맞춤
심야

6.2. 정릉로(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119) ||
간선
지선
마을
공항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120) ||
간선
지선
마을
공항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257) ||
지선

7. 둘러보기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북한산보국문역의 경우 서경대학교가 좀 더 가까워서 역명경쟁에서 확실히 이긴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안전빵으로 정릉역을 노린 측면도 있다. 게다가 '정릉'이란 명칭의 상징성도 고려했을 것이고. 국민대는 1992년에 길음역에 병기역명으로 국민대입구를 붙이려 했으나 서경대에서 강하게 반발해 무산된 바 있다. 어차피 두 학교 모두 길음역에서 거리가 멀어서 어느 학교가 들어가도 말이 나올 수밖에 없었지만.[2] 다만 정릉역에서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버스들을 타기 위해선(정릉2동주민센터) 5분정도 걸어야 하는데 중간에 육교를 이용해야(숭덕초등학교) 되기 때문에 소요시간대비 환승 난이도는 쉬운편은 아니다.[3] 6호선의 버티고개역과 비슷한 구조[4] 개통일인 9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5]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