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0 02:27:35

지껄일 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かまびす-しい, やかま-しい
-
표준 중국어
xu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喧은 '지껄일 훤'이라는 한자로, '지껄이다'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베풀 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5A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JMM(口十一一)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지껄일 노)
  • (지껄일 득)
  • (지껄일 집)
  • (지껄일 찰)
  • (지껄일 화)
  • (지껄일 훤/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𡺟[⿰山宣](산이름 권/훤)
  • (가래 선)
  • (걷을 선)
  • (도리옥 선)
  • (둥글게싼벽 선)
  • (땅이름 선)
  • 𩝑[⿰𩙿宣](먹을 선)
  • (바림 선)
  • 𪃗[⿰鳥宣](뱁새 선)
  • (상쾌할 선, 너그러울 훤)
  • (선두를 선)
  • (송어 선)
  • 𩏆[⿰韋宣](가죽다루는장인 훤)
  • 𩋢[⿰革宣](가죽신 훤)
  • (굼벵이 훤)
  • (따뜻할 훤)
  • (밝을 훤)
  • (신골 훤/원)
  • (여자의자 훤)
  • (지껄일/잊을 훤)
  • (큰눈 훤)
  • 𧤎(휘두를 훤)
  • 𠊿(선)
  • 𤟿[⿰犭宣](선)
  • (선)
  • 𫕍[⿰⻖宣]
  • 𤚗
  • 𦝻[⿰⺼宣]
  • 𮋌[⿰羽宣]
  • 𬧂[⿰𧾷宣]

[1] 시끄럽게 떠든다는 뜻.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출전하는 봉산탈춤 양반춤에서 등장한다. "이 양반들, 어찌 듣소. 양반 나오시는데 담배와 훤화를 금하라 하였소."[2] 켄카료세이바이. 중근세 일본에서 싸움이 일어나면 양편을 모두 처벌한다는 법원칙. 켄카(훤화)는 싸움을 뜻하며 한국어의 훤화와는 뜻이 다르지만 이체자를 사용한다는 점만 다르고 같은 뜻의 한자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