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3:35:11

에서 넘어옴
잡을 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ダ, ナ
일본어 훈독
つか-む, と-らえる, ひ-く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拏는 '잡을 나'라는 한자로, '잡다'를 뜻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종 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잡다'라는 뜻으로는 통자(通字)인 (붙잡을 나)가 완벽하게 대체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拿를 쓰지 拏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이 한자가 한라산[1]에 쓰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拿 못지않게 쓰이는 한자가 되었다.

또 다른 이체자로 挐가 있다.

유니코드에는 U+62C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女水手(VEQ)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𪏷(달라붙을 나)
  • 𧘽(해어진 옷 나)
  • (삼거웃 녀)
  • (군살 노)
  • 𥅄(눈 부릅뜰 노)
  • (돌살촉 노)
  • (둔한말 노)
  • (새 이름 노)
  • (성낼 노)
  • (쇠뇌 노)
  • (자식 노)
  • (힘쓸 노)
  • (음역자 놀)
  • 𣭄(털 많은 모양 여)
  • 𪗭(물 차)
  • (국고/재물 탕/처자 노)
  • (걸레 녀)
  • 𧉭
  • 𨥬

[1] 활음조 현상이 일어나 속음인 '한라산'으로 굳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