ガロメ[1] / Don Piero[2]
"오~ 레어 카드." - 사채 빚 대신 카드를 삥뜯으며.
1. 개요
유희왕 5D's 3기 69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이후 유희왕 ARC-V에도 잠시 출연했다. 성우는 시오야 코조 / 이광수.2. 작중 행적
칼리 나기사에 따르면 사채업자로 돈을 빌려주고 이런 저런 가짜 서류에 싸인을 받아내 골수까지 쥐어짜는 대악당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흔히 등장하는 3류 찌질이악당. 평소의 언행은 예의를 차리는 편이지만 약자에게는 고압적인 태도로 돌변한다.D-휠러를 꿈꾸던 마르코라는 소년 또한 이 작자의 수법에 걸려들어 채무를 지게 되었고, 그가 마르코의 집을 뒤집어놓고 레어 카드를 뜯어가는 횡포를 부리던 것을 알게 된 잭 아틀라스는 분노하여 그에게 마르코의 빚을 변제해주는 것을 조건으로 듀얼을 신청하게 된다. 하지만 가로메는 그런 잭을 보고 전 킹이라는 칭호말고 가진게 없지 않느냐면서 비웃었고, 잭이 소유한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휠 오브 포츈을 걸고 듀얼을 하게 된다. 먼저 갑부 고블린으로 잭의 라이프를 회복시켜준 후에 '지옥징수관 토이치', '헬 트레이더', '무한 론(대출)'등 기믹답게 사채관련 카드를 사용, 효과 데미지를 주면서 잭을 몰아붙인다. 패를 1장 버리면 론 토큰을 파괴할 수 있지만 잭은 이를 완강히 거부했고, 잭의 필드에 론 토큰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악덕 상법'이라는 장착 마법의 서포트로 잭의 라이프를 1000 남겨놓는 활약을 벌인다. 하지만 그 후 "이제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휠 오브 포츈은 내꺼다!"라며 훌륭한 패배 플래그를 날렸고, 결국 바로 그 다음 턴에 마르코의 카드를 활용한 잭의 전술로 그의 카드에 의해 패배하게 된다. 잭의 카드가 아니라 자신이 빚을 몰수했던 아이의 카드에게 패배한데다, 쓰러지면서 가발이 날아가 민머리가 훤히 드러난 것으로 인해 가로메 입장에서는 보통 굴욕이 아닐 듯 하다.
패배한 이후 등장하지 않았다.
이후 유희왕 ARC-V에서 등장. 엑스트라로 이름도 밝혀지지 않았지만 모습은 같은 인물이 출연했다. 여기서는 톱스 출신으로 나왔다.
3. 사용 카드
원래 있던 카드 말곤 어느 것도 OCG화되지 않았지만, 무한 론과 지옥징수관 토이치는 태그 포스 5에서 게임 오리지널 카드로나마 등장하는 수혜를 얻었다.3.1. OCG화된 카드
3.2. OCG화되지 않은 카드
3.2.1. 헬 트레이더
한글판 명칭 | 헬 트레이더 | |||
일어판 명칭 | ヘル・トレーダー | |||
영어판 명칭 | Nefarious Trader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1 | 어둠 | 악마족 | 0 | 0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보다 낮을 경우, 패에서 이 카드를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 위에 "론 토큰"(암석족/빛 속성/레벨 1/공격력 0/수비력 0)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론 토큰"은 릴리스할 수 없다. 상대는 패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론 토큰"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
갑부 고블린과의 콤보로 첫턴부터 꺼냈다.
3.2.2. 지옥징수관 토이치
한글판 명칭 | 지옥징수관 토이치 | |||
일어판 명칭 | 地獄徴収官トイチ | |||
영어판 명칭 | Toichi the Nefarious Debt Collector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3 | 어둠 | 악마족 | 800 | 1300 |
"지옥징수관 토이치"는 필드 위에 1장밖에 존재할 수 없다. 이 카드는 필드 위에 "론 토큰"이 존재하는 한,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1턴에 1번, 상대의 필드 위의 "론 토큰"의 수×10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데미지를 줄 때 차용증을 들이댄다. 론 토큰 자체가 이미 빚이라는 걸 강조하는 듯.
'토이치'는 일본의 사채업계에서 쓰는 말로, 이율이 '10일에 1할' 즉 연리 365%(실제로는 대부분의 사채업자는 복리로 계산하기 때문에 훨씬 더 높아진다[3])를 가리키는 고금리 대출, 또는 위법적인 고리대금업자를 부르는 은어이다.
3.2.3. 무한 론
한글판 명칭 | 무한 론 | |||
일어판 명칭 | 無限ローン | |||
영어판 명칭 | Endless Loan | |||
지속 함정 | ||||
상대 필드 위에 "론 토큰" 이외의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때, 상대 필드 위에 "론 토큰"(암석족/빛 속성/레벨 1/공격력 0/수비력 0)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론 토큰"은 릴리스할 수 없다. 상대는 패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론 토큰"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
태그 포스에는 론 토큰은 싱크로 소재로 사용할 수 없다는 조건이 붙었다.
싱크로 소재로 사용할 수도 없고 릴리스할 수도 없지만 릴리스와는 별개로 패가 아니라 토큰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하는 경우 아주 평범하게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일러스트에서 난쟁이 악마가 엄청나게 무거운 철괴를 등에 짊어지고 낑낑대는게 특징. 패를 묘지로 보내서 론 토큰을 파괴했다면 얼마든지 승리할 수 있었으나 잭은 "킹의 사전에 변제는 없다"면서 끝까지 거부했다. 이 카드가 게임 오리지널로 등장한 태그 포스 5에서도 상대들은 4보다 떨어진 AI 수준을 자랑하며 어떤 일이 있어도 론 토큰 파괴를 위해 카드를 버리지 않는다.
태그포스에서 이 카드로 전용 덱을 짜고 싶다면 블랙 가든을 이용하면 좋다. 필드 위에 블랙 가든과 무한 론이 있다면 상대가 몬스터 소환을 하는 순간 자신 필드에 로즈 토큰이 소환되고, 여기에 반응해 상대 필드엔 론 토큰이 소환, 또 여기에 반응해 로즈 토큰이 소환되는 식으로 루프가 돌아가 자동으로 필드가 꽉 차버린다. 상대는 론 토큰을 치우고 싶으면 패를 왕창 버려야하고 안 치우면 전개가 안 되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에 처하게 되는 셈. 이 상태로 위의 토키치는 물론 자업자득이나 비밀병기 머신건 등의 번 카드로 승리하면 된다. 변형 덱으로 론 파이어 블로섬을 불러 로즈 토큰들을 춘희 티타니얼을 비롯한 최상급 식물족 몬스터로 바꿔먹는 "식물 론 덱"도 존재한다.
일단 콤보가 작동하면 상대는 론 토큰을 터트릴 블랙홀이나 격류장 등의 몬스터 제거 카드는 물론 블랙 가든과 무한 론을 치울 마함 제거 카드까지 마련해야 하는데, 이런 대량 제거 카드들은 태그 포스 시기 죄다 제한 아니면 금지라 모으기 힘들다. 콤보 파츠를 모아야 하는 건 이쪽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블랙 가든은 당시 무제이던 테라포밍, 무한 론은 불행을 알리는 검은 고양이로 서치할 수 있어 사정이 낫다. 다만 재밌는 덱인 것과는 별개로 번 론 덱은 시계신의, 식물 론 덱은 에콜 드 Sin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태그포스 사양으로 OCG화 된다고 해도 쓸일은 전무한데, 현 환경에서 토큰으로 필드를 왕창 채워준다는 건 고링크 몬스터에게 죽도록 얻어 맞겠다는 선언일 뿐이기 때문이다.
3.2.4. 악덕 상법
한글판 명칭 | 악덕 상법 | |||
일어판 명칭 | 悪徳商法 | |||
영어판 명칭 | Illegal Business Practices | |||
장착 마법 | ||||
1턴에 1번, 장착 몬스터가 상대 플레이어에게 주는 효과 데미지는 배가 된다. |
토이치에게 장착해 효과 데미지를 2배로 했다.
이후 로튼이 이 카드의 상위호환인 더블 암즈를 사용했다. 효과는 동일하지만, 턴 제약이 없다는 게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