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2:30:32

가면라이더 데스트림/게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가면라이더 데스트림
1. 개요2. 기본 폼 - 헤라클레스 게놈3. 네오 버스트
3.1. 코모도드래곤 게노믹스3.2. 크로커다일 게노믹스3.3. 콩 게노믹스

1. 개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서브 라이더가면라이더 데스트림의 폼 체인지.

2. 기본 폼 - 헤라클레스 게놈

파일:데스트림 스탠딩.png
■신장: 205.9cm
■체중: 102.4kg
■펀치력: 85t
■킥력: 167t
■도약력: 한 번에 74.8m
■주력: 100m 0.8초
이가라시 겐타가 데스트림 드라이버와 헤라클레스 바이스탬프를 사용해 변신한 모습이다! 가면라이더 베일이 갖는 압도적인 힘을 뛰어넘는 스펙을 가지고 있다.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의 능력을 응용해 등에서 뻗어나오는 6개의 다목적 매니퓰레이터 "헤라클로"와 다중 게노믹스에 의한 노도의 스트롱 파워를 전개할 수 있다. 자, 지금이야말로 진정한 스트림을 일으키자!

데스트림 드라이버헤라클레스 바이스탬프를 인식해 변신한 데스트림의 기본 폼.

바이스탬프의 액티베이트 노크를 눌러 활성화 후, 바이스탬프 패드에 스탬프를 찍고[1] 이후 상단의 압인젝터에 한번 더 찍으면 장착자의 등에서 날개가 튀어나온뒤 날개가 흡수되면서 갑주로 변화하여 번데기 형상의 갑주가 장착자를 둘러싸고, 뒤이어 등에서 헤라클로가 튀어나와 갑주를 부숴 데스트림이 나타나 변신을 완료한다.

데몬즈, 베일, 오버 데몬즈는 각각 모델 장갑이 옆으로 붙어있던 반면, 이쪽은 헤라클레스 모델이 앞으로 붙어있는 듯한 형상으로 바뀌었다.

42화에서 첫 등장하며, 베일의 강화 형태인 크림슨 베일과의 최종 결전에서 승리한다. 이후에는 겐타가 치료 중이라 싸움에는 임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작중 내에서 재등장한 시점은 기프와의 싸움이 끝난 후 극장판에서 활약한다.

극장판 이후인 47화에서는 죠지가 반란을 일으키는 중에도 겐타가 딱히 나서지 않기에 등장이 없다. 그 후 49화에서 마지막 등장을 하는데 이땐 바이스와 서로 짜고 치는 싸움이라 진심으로 대응하지 않은 것도 있지만 기파드 렉스의 힘으로 바이스와 융합한 오리 장난감에게 먹혀 똥방귀로 분출되어 나오는 연출과 함께 패배. 바이스와의 연극이었던 것이 망정이다.

무비 배틀로얄에선 미등장. 초반 3부자 목욕씬에서 리바이, 라이브와 함께 세 명의 영 좋지 않은 곳을 가리는 용도로 초상화만 잠깐 나왔다.(...)
  • 바이스탬프 기동음
    헤라클레스!
  • 변신 준비음
    Contract!
  • 변신음
    Spirit Up! Slash! Sting! Spiral! Strong!
    가면라이더 데스트림!
  • 특수기
    - 헤라클로 : 등에서 뻗어나온 6개의 다목적 매니퓰레이터. 끝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달려 있어 변신 시에도 껍질을 깨부숴 가면라이더 데스트림을 드러내고, 신축이 자유로워 공격과 방어에 사용할 수 있다.
    - 네오 버스트[2]: 데스트림 드라이버의 스트림 노크를 누르고, 원하는 바이스탬프를 패드와 압인젝터에 찍어 그 바이스탬프의 힘을 끌어낸 장비를 착용한다. 발동시의 음성은 네오 버스트지만 명칭은 게노믹스로 나온다.
  • 필살기
    - 데스트림 피니시 : 헤라클레스 바이스탬프를 다시 찍고 스트림 노크를 눌러 발동하는 필살기. 푸른 에너지를 휘감아 라이더 킥을 날린다. 이때 다리에 헤라클레스 형상의 에너지체가 장착된다.
    - 데스트림 노바 : 네오 버스트를 발동한 상태에서 스트림 노크를 두 번 눌러 More. 음성이 나면 한 번 더 눌러 발동하는 필살기. 네오 버스트로 착용한 장비의 힘을 최대한 끌어낸 공격을 한다.

3. 네오 버스트

각 형태는 그대로 게노믹스로 호칭.#

원래는 데몬즈 드라이버의 원형인 베일 드라이버에는 없는 기능이었으나 죠지 카리자키가 개조해 데스트림 드라이버로 강화되면서 추가한 덕분에 데몬즈 드라이버와 똑같이 스트림 노크를 누르는 것으로 발동할 수 있다.
  • 스트림 노크 기동음

    • Next!

3.1. 코모도드래곤 게노믹스

파일:데스트림 코모도드래곤 게노믹스.png
■신장: 205.9cm
■체중: 110.1kg
■펀치력: 91t
■킥력: 167t
■도약력: 한 번에 70.3m
■주력: 100m 1초
이것이 코모도왕도마뱀의 고유 능력을 도미네이트 업하면서 발현된 코모도 드래고닉 히트를 장착한 가면라이더 데스트림의 모습이다. 그 초정열적인 히트로 모든 충격을 만곡시킬 수 있다. 심지어 선단에서 집중 방사한 열선공격으로 모든 것을 녹여버릴거라고! 히하!!

코모도왕도마뱀의 힘이 담긴 코모도드래곤 바이스탬프를 사용한 게노믹스. 코모도왕도마뱀의 머리 형상을 한 클로인 코모도 드래고닉 히트를 팔에 장비한다.[3] 바이스탬프 태그는 가면라이더 류우키. 류우키와 태그인 것에 걸맞게 고열을 다룰 수 있어 실드나 열선 공격을 할 수 있다.

극중에서는 왼팔에 장착해 사용했지만, 설정상 오른팔에도 장비할 수 있다. 또한 원본 조형이 괴인의 것이었기 때문에 너무 사실적으로 생겨서 다른 게노믹스, 네오 버스트와 비교해도 이질감이 강한 편.
  • 바이스탬프 기동음
    코모도드래곤!
  • 실행음
    Dominate up! 코모도드래곤! 네오 버스트!

3.2. 크로커다일 게노믹스

파일:데스트림 크로커다일 게노믹스..png
■신장: 205.9cm
■체중: 108.7kg
■펀치력: 93.1t
■킥력: 167t
■도약력: 한 번에 71.2m
■주력: 100m 0.9초

악어의 힘이 담긴 크로커다일 바이스탬프를 사용한 게노믹스. 악어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대 드릴인 크로커 위자 롤링을 팔에 장비한다.[4] 바이스탬프 태그는 가면라이더 위자드. 극장판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배틀 패밀리아에서도 시크를 상대할 때 등장.

극중에서는 오른팔에 장착해 사용했지만, 설정상 왼팔에도 장비할 수 있다.
  • 바이스탬프 기동음
    크로커다일!
  • 실행음
    Dominate up! 크로커다일! 네오 버스트!

3.3. 콩 게노믹스

파일:데스트림 콩 게노믹스.png
■신장: 205.9cm
■체중: 121.2kg
■펀치력: 104.4t
■킥력: 167t
■도약력: 한 번에 63.1m
■주력: 100m 1.3초

고릴라의 힘이 담긴 콩 바이스탬프를 사용한 게노믹스. 고릴라의 손을 구현한 콩 아스트로 브레이커를 양팔에 장비한다.[5] 바이스탬프 태그는 가면라이더 포제. 콩 바이스탬프는 잇키도 자주 썼는데, 바이스탬프는 한 종의 스탬프가 복수 존재하는 것이 극중에서 확인되었고[6], 잇키가 자신의 콩 바이스탬프를 빌려주거나 양도했다는 묘사도 없어서 잇키의 것과는 다른 걸 쓴 것으로 보였고, 차후 프로토 바이스탬프로 밝혀졌다.

* 바이스탬프 기동음
콩!
  • 실행음
    Dominate up! 콩! 네오 버스트!


[1] 이때 제로원의 연출같이 홀로그램이 경고 표시와 함께 나타난다. 경고 표시는 '공사 중(Construction in Progress)' → '자 외 출입 금지(Access to Authorized Personnel Only)'라는 의미.[2] 베일 드라이버에는 없던 기믹으로, 죠지가 41화에서 이가라시 겐타로부터 베일 드라이버를 넘겨받아 개량하면서 추가되었다.[3] 어나더 류우키의 클로를 개조, 재도색한 것이다.[4] 두더지 게노믹스의 데몬 디그 존의 리페인트이다. 데몬 디그 존이 두더지의 땅파기를 표현했다면 이쪽은 악어가 사냥감을 물고 치명타를 먹이기 위해 몸을 휘젓는 '데스 롤'을 표현한 듯하며, 극중에서 가면라이더 위자드가 드릴 위자드 링으로 고속회전 공격이나 땅파기 공격 등을 선보였기 때문에 위자드와의 연관성도 챙겼다.[5] 같은 스탬프를 써 변신한 가면라이더 바이스 콩 게놈의 콩 게노 블레이서를 도색도 없이 그대로 가져다 썼다. 이 때문에 후에 촬영한 가면라이더 기츠 X 리바이스 MOVIE 배틀로얄에서도 콩 게놈이 그대로 출연할 수 있었다.[6] 33화에서 아카이시의 방에 같은 종의 스탬프가 여러 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잇고, 40화에서 아카이시가 베일에게 프로토 바이스탬프를 찍어줄 때 한 종의 스탬프가 5개씩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2 (이전 역사)
문서의 r6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