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20:07:00

갈매기(희곡)

1. 개요2. 등장인물3. 줄거리
3.1. 1막3.2. 2막3.3. 3막3.4. 4막
4. 기타

1. 개요

Чайка
Chayka

러시아 작가 안톤 체호프희곡. 체호프의 4대 희곡 가운데 첫 작품이라고 한다. 연극으로는 1896년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초연되었다. 이때 당시 엄청난 혹평을 받는 바람에 체호프는 다시는 희곡을 쓰지 않겠다고 결심했지만[1]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의 설득으로 1898년 모스크바에서의 재공연이 성공을 거두자 계속해서 극작 활동을 하게 된다.

2. 등장인물

  • 이리나 니콜라예브나 아르카지나
    유명한 배우. 다소 거만하고 격정적인 성격으로 자신 외의 사람들에게는 인색하다. 사별한 남편과의 사이에서 뜨레플레프를 낳았다, 아들과의 사이는 그리 좋지 못하다. 뜨레고린과는 연인관계이지만, 그가 떠날지도 모른다고 생각해 이를 두려워 한다.
  • 콘스탄틴 가브릴로비치 뜨레플레프
    아르카지나의 아들. 작가가 되고 싶어 하며 자신이 사랑하는 니나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가족들 앞에서 공연을 선보이지만 평은 그리 좋지 못했다. 결국은 어머니의 애인이기도 한 뜨레고린에게 니나를 뺏긴 후 돌아온 니나의 몰락한 처지를 확인하고 자살한다. 마샤가 극중에서 꼬스쨔라고도 부른다.
  • 니나 미하일로브나 자레치나야
    소린의 이웃인 또 다른 대지주의 딸. 뜨레플레프를 사랑하는 한편으로 연극배우가 되어 성공하고 싶다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결국 사회적으로 성공한 남자인 뜨레고린을 동경하게 되어 그와 함께 떠나지만 결국은 버림 받는다. 제목의 '갈매기'는 그녀를 상징한다.[2]
  • 보리스 알렉세예비치 뜨레고린
    아르카지나의 애인. 유명한 작가이지만 창작에 대한 고통과 유명세에 대한 강박으로 시달리고 있다. 뜨레플레프의 연극에 출연한 니나를 보고 사랑에 빠져 NTL을 범하지만, 결국 그녀의 앞날을 망친 후 아르카지나에게 돌아온다.
  •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소린
    아르카지나의 오빠로 대지주. 희곡의 배경은 소린의 영지이다. 계속해서 도시로 가고 싶어한다.
  • 일리야 아파나시예비치 샤므라예프
    소린의 영지 관리인.
  • 폴리나 안드레예브나
    샤므라예프의 아내. 딸인 마샤는 아끼지만 남편인 샤므라예프는 사랑하지 않으며 도른과 불륜관계에 있다.
  • 마샤
    샤므라예프와 폴리나의 딸. 뜨레플레프를 좋아했지만 그가 니나를 사랑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를 단념한다. 4막에서 메드베첸코와 결혼했지만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남편을 사랑하지 않는다.
  • 예브게니 세르게예비치 도른
    소린의 주치의. 극 중 뜨레플레프가 만든 극이나 소설을 유일하게 호평하는 인물로, 주치의인데 약은 안 주려고 한다.(…)
  • 세묜 세묘노비치 메드베첸코
    학교 교사.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는 마샤를 계속 위로해주지만, 오히려 매번 마샤한테 무시당한다. 결국 4막에서는 결혼에 성공하지만 아내를 비롯해 처가 식구들에게 외면당한다. 등장인물들 중 가장 애처로운 처지.

3. 줄거리

3.1. 1막

뜨레플레프는 가족들 앞에서 니나를 주연으로 자신의 희곡을 공연한다. 하지만 아르카지나는 아들의 희곡을 공공연히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이 때문에 화가 난 뜨레플레프는 공연을 중단한다. 뜨레플레프가 자리를 떠난 사이 니나는 뜨레고린을 소개받게 된다. 니나는 가족들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금방 자리를 떠나고, 모두가 떠난 자리에 남은 마샤는 도른에게 자신이 뜨레플레프를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백한다.

3.2. 2막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아르카지나는 자신을 자랑해 보이고, 소린과 도른은 논쟁을 벌인다.[3] 아르카지나는 시내로 나가겠다고 하지만 샤므라예프는 말을 내주지 않으려 한다.

자리에 동석해있던 니나는 갈매기를 사냥하고 돌아오던 뜨레플레프와 마주치지만, 뜨레플레프는 뜨레고린 때문에 기분이 상해 자리를 떠난다. 뜨레고린과 니나는 함께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뜨레고린은 창작에 대한 괴로움을 토로하지만 니나는 그에 대한 동경과 함께 배우가 되고 싶다는 열망을 내비친다. 뜨레고린은 뜨레플레프가 사냥한 갈매기를 보며 새로운 소설을 구상한다.[4]

3.3. 3막

뜨레플레프와 뜨레고린의 사이는 악화되어 있고, 결국 뜨레플레프는 자살을 기도하지만 실패했다.
아르카지나와 뜨레고린은 모스크바로 돌아가기로 한다. 마샤는 뜨레고린에게 메드베첸코와 결혼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밝힌다. 아르카지나와 뜨레플레프가 만나고, 뜨레플레프는 아르카지나에게 붕대를 갈아달라고 요청한다. 두 사람은 뜨레고린에 대한 대화를 나누며 충돌하지만 곧 화해하는 듯 보인다. 아르카지나는 완전히 떠나고, 뜨레고린은 놓고 온 물건을 찾으려다[5] 니나와 마주친다. 니나는 배우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고백하고, 뜨레고린은 그녀와 재회하기로 약속하고 키스를 한다.

3.4. 4막

2년이 흘렀다. 그 사이 뜨레플레프는 소설가가 되었고 니나는 뜨레고린과 연인이 되어 그의 사생아를 낳았지만 아이는 죽었다. 결국 두 사람은 헤어졌고 니나는 배우로서 성공하지 못한 채 자신의 고향으로 잠시 되돌아 온 상태다. 메드베첸코와 마샤는 결국 결혼했다. 하지만, 폴리나가 그렇듯이, 마샤는 메드베첸코를 사랑하지 않는다.

도른의 부름으로 아르카지나와 뜨레고린[6]이 소린을 만나기 위해 돌아온다. 사람들이 카드놀이를 하는 사이 혼자 작업실에 남아있던 뜨레플레프는 돌아온 니나와 마주친다. 뜨레플레프는 아직도 니나를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백하지만, 니나는 혼란스러워 하다가[7] 나는 당신에게 맞아죽어도 할 말이 없다며, 더 이상 당신을 사랑할 수도 당신에게 사랑을 받을 수도 없다는 말을 하고 떠난다. 절망한 뜨레플레프는 권총으로 머리를 쏴서 자살한다. 그 때 카드놀이에 모두 빠져있었는데, 뜨레플레프를 찾던 도른이 이 상황을 목격하고, 뜨레고린에게만 귓속말로 뜨레플레프가 자살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을 끝으로 막이 내린다.[8]

4. 기타

  •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안톤 체호프의 희곡이기도 하다. 아예 갈매기만 따로 책으로 나와 있을 정도. 연기학원이나 연극영화과에서 연극 작품을 올릴 때 흔히 올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또한 연극 극단에서 가끔 올리기도 한다.
  • 한국 배우들이 공연한 버전 중에서는 2000년대 중반에 극단 '골목길'[9]에서 공연한 버전이 가장 유명하다. 여기에 나온 배우들이 모두 드라마 또는 영화에서 상당히 잘 나오는 배우들로 이뤄진지라, 평균 경력만 10년이 넘는다.[10] 니나 역할로 장영남이 나왔는데, 꽤나 좋은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11] 참고로 예술의전당에 그 버전이 소장되어 있고, 시청도 가능하니 궁금하면 가서 보도록 하자.
  • 만화 카사네에 등장한다. 줄거리 진행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절묘하게 희곡의 내용과 엮은 연출이 훌륭하다.[12]
  • 이상의 소설 <날개>의 유명한 첫 문장,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는 체호프의 <갈매기>를 읽고 감명을 받아 쓰여진 문장이라고 이상이 밝혔다. 구시대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예술을 꿈꾸었던 뜨레쁠료프의 이상에 이상이 깊은 인상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 김도영의 단편 영화 <자유 연기>에서 주인공(강말금 역)이 마지막에 내뱉는 독백 역시 <갈매기>의 니나의 독백을 가져온 것이다. 연기를 더 이상 하고 싶으나 녹록치 않은, 나이든 여배우의 심정을 표현한 독백으로 유명하다.
  • 레진코믹스에 갈매기(희곡)을 현대를 배경으로 각색한 만화 <갈매기와 밀렵꾼>이 연재되었다.
  • 대학로 연극 분장실(시미즈 쿠니오, 淸水邦夫)에서도 갈매기가 주요 소재로 쓰인다.
  • 2023년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D.P. 시즌 2 3화에서도 주요 소재로 쓰인다. 5년차 탈영병이자 드랙퀸인 장성민이 좋아하는 희곡이며 그의 예명인 니나 또한 갈매기에서 따왔다.


[1] 체호프 자신도 공연중에 나올 정도였으니(...)[2] 극 초반부의 죽은 갈매기가 니나와 동일시 된다. 성씨 자레츠나야는 river side를 의미한다고 한다.[3] 말이 논쟁이지, 들어보면 초딩 싸움이다(...) 소린은 도시로 가고 싶지만, 도른은 "그냥 여기 쳐박혀 계시라"고 한다.[4] 갈매기처럼 자유로운 여자가 있는데 어느 날 한 남자가 다가와서 그녀를 파멸시킨다는 내용. 니나의 이야기와 거의 일치한다.[5] 의도일 수도 우연일 수도 있다.[6] 뜨레고린은 일꾼 야코프에게 뜨레플레프가 사냥했던 갈매기를 박제해달라고 부탁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때 야코프가 갈매기 박제를 가져오자 뜨레고린 본인은 정작 자신이 이를 왜 주문했는지 이유를 잊은 상태이다.[7] 여기서 그 유명한 "나는 갈매기예요."라는 말을 한다.[8] 참고로 뜨레플레프는 2년여 전에도 니나 때문에 권총 자살을 시도한 적이 한 번 더 있었다. 그 땐 관자놀이를 빗나가서 살아남았었지만, 당연히 그의 엄마인 아르카지나는 한동안 정신적 충격을 받고 뜨레플레프를 걱정했다. 이로 인해 도른이 뜨레고린에게만 알리고 아르카지나에게 알려주지 않았던 것.[9] 극단장이 박근형인데, 우리가 아는 박근형과는 동명이인으로, 유명한 연극연출가이다.[10] 여기 출연한 배우들 중에서 제일 막내의 경력이 10년이기 때문이다.[11] 원래 니나 버전은 감정도 뭣도 없는 사람인데, 감정 있고 멘탈이 쪼개져버린 니나로 변신해서 연기했다. 특히, 4막에서 뜨레쁠레프를 만났을 때의 연기인 "날 때려죽여도 할 말이 없어어어" 하면서 뜨레플레프를 울면서 뿌리치는 장면은 그야말로 장영남 내공을 보여준 것이란 평가가 있다.[12] 특히 여배우를 꿈꿨으나 잔인한 자신의 현실(갈매기의 니나는 자신을 버린 뜨레고린과 배우의 꿈을 성공하지 못한 자신의 처지, 카시네의 니나는 자신의 병인 '잠자는 공주 증후군'과 자신의 니나를 완전히 뺏어가게 된 카사네)에 스스로인 채 그 꿈을 이루지 못하는 신세지만, 그러면서도 스스로로 있고 싶기를 바라는 니나라는 등장인물에 탄자와 니나는 그녀처럼 되기를 갈망하여 똑같이 진짜 자신으로 남기 위해 2번의 최후의 선택을 하는 부분이 꽤나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