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07:04:33

게마(드래곤 퀘스트 5)

파일:DQV_-_Ladja.png
ゲマ / Ladja
1. 개요2. 작중 행적

[clearfix]

1. 개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드래곤 퀘스트 V 천공의 신부의 악역으로 이명은 '사교의 사도'. CD 시어터판 성우는 스즈오키 히로타카. 드래곤 퀘스트: 유어 스토리에서의 성우는 요시다 코타로/제이슨 마노카. 드래곤 퀘스트 라이벌즈에서의 성우는 나카오 류세이..

2. 작중 행적

사람들에게 구원을 주겠다고 속여 이것저것 갈취하는 악의 종교집단, '빛의 교단'의 간부. 교주 이블의 심복을 자처하고 있지만 실은 마왕 밀드라스의 부하이다. 쟈미곤즈라는 마물을 부하로 부리고 다닌다.

주인공의 아버지 파파스를 살해하고, 주인공과 헨리를 신전 건설 현장으로 끌고가서 10년간 노예로 부려먹은 장본인. 주인공에게 있어선 인생을 망친 원수 중의 원수. 주인공은 대사가 없기 때문에 알 수 없지만 그의 딸과 아들의 대사로 미루어보면 게마와 그의 직속 부하를 만나기만 해도 분노로 몸을 떠는 듯하다.

본래 원작에서는 중간에 죽어버리는 중간보스였으며, 사망하면서 "교주님 만세!"라는 유언을 남길 정도로 빛의 교단의 교주인 이블을 진심으로 따르고 존경하는 놈으로 나왔었다. 그러나 리메이크에서는 단지 인심을 모으기 위해 이블을 이용했을 뿐, 존경같은 건 개뿔도 없었단 설정이 되었으며 이용가치가 없어진 이블을 자신의 손으로 직접 살해한 뒤 마계로 옮겨갔다. 이 후 마계에서 주인공의 어머니 마사를 기습하여 중상을 입힌 다음 최종 결전 끝에 패배하고 최후를 맞이하며 주인공과의 기나긴 악연에 끝을 맺는다.

게임이 리메이크되면서 게마의 비중이 늘어난 이유는 호리이 유지가 말하길 5는 주인공과 대립각을 세우는 악역이 없었기 때문에 그 면을 강화하기 위해 주인공과 가장 악연이 많았던 게마를 스토리의 중심이 되는 악역으로 부각하였다 한다. 밀드라스를 부각하지 않고 게마를 부각하였단 시점에서 왠지 밀드라스가 불쌍해진다. 뭐 사실 중간에 맞아죽는 SFC판 때부터 이미 밀드라스보다 존재감이 있었으니...[1]

다만 비중이 늘어난 동시에 실책도 늘어나 일본팬들 사이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늘어났다.

1. 왜 주인공과 아내를 석상으로 만들고 그냥 놔두었나
SFC판에선 쟈미가 죽기 전 최후의 발악으로 건 저주 때문에 당한 거라서 석상이 되는 전개가 납득이 됐으나 리메이크에선 게마가 얌전하게 등장해서 이들을 왜 죽이지 않고 석상화만 시키고 그냥 방치를 한 까닭에 주인공은 결국 저주가 해제되고 말았다.

2. 왜 그랑바니아 호구조사를 안했냐
석화시킨 후 그랑바니아 호구조사를 했으면 게임은 끝났는데 왜 안했냐는 비판

3.용의 탑에서 용의 눈을 빼앗지 않고 그냥 퇴각한 점
SFC판에선 이 때 게마는 전사해 상황은 종료됐으나 용의 탑에서 게마는 전력을 다하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 때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마스터 드래곤이 부활하는 상황인데 왜 굳이 퇴각했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비판

4. 빛의 교단과의 싸움 당시 관전만 하고 참전하지 않은 상황
이 때 이블과 협력해서 싸웠으면 주인공과 용자를 죽일 수 있었으나 참전을 안하고 애꿏은 이블만 죽인 상황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곳에서 아이들을 납치하면서 정작 플로라나 데보라는 납치하지 않은 모순적인 행동 등. 여러 실수를 저질러 밀드라스가 괜히 아무래도 좋았다며 디스를 한게 아니냐며 게마를 비판하는 일본팬들이 많다.

데리고 다니는 부하인 쟈미와 곤즈도 자봉도도리아를 연상케하는 것도 그렇고 게마가 하는 대사, 말투, 웃음소리를 볼 때 캐릭터적 모델은 드래곤볼프리저인 모양. 실제로 모바일 게임으로 나왔던 라이벌즈에서는 프리저의 성우가 캐스팅되었다. 밀드라스가 나메크 성인을 닮아 있음을 볼 때(...) 캐릭터 디자인 단계부터 게마의 비중이 더 높았던 모양이다.

마법사 계열 적으로 주문 공격이 특기지만 입김공격도 쓰며 눌어붙는 입김을 사용하는 드퀘의 몇 안 되는 보스 중 하나다. 눌어붙는 입김 처맞고 마비되면 대책 없으므로 싸우기 전에 마비 회복 아이템 '만월초'를 잔뜩 싸들고 가자.

파일:Gema_(DQYS).jpg
드래곤 퀘스트: 유어 스토리에서는 원작보다 더 기괴해진 디자인으로 등장. 영화에서 등장하지 않는 이블을 대신해 마계의 문을 열고 밀드라스를 부활시키는 역할도 맡게 되었다.


[1] 그래도 드래곤 퀘스트 몬스터즈 조커 2 프로페셔널에서 새로 등장하긴 했지만 능력치 성장 한계치만 보면 밀드라스보다 압도적으로 낮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