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lbgcolor=#31006F><colcolor=#fff>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No. 25 | |
게일 굿리치 Gail Goodrich | |
본명 | 게일 찰스 굿리치 주니어 Gail Charles Goodrich Jr. |
출생 | 1943년 4월 23일 ([age(1943-04-23)]세)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UCLA |
신장 | 185cm (6' 1") |
체중 | 77kg (170 lbs) |
포지션 | 슈팅 가드 |
드래프트 | 1965 Territorial 드래프트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지명 |
소속 구단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65~1968) 피닉스 선즈 (1968~1970)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70~1976) 뉴올리언스 재즈 (1976~1979)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전직 농구선수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프랜차이즈 선수였다.2. 커리어
2.1. NBA 입성 전
고등학교 농구부 시절 주장을 맡으며 팀의 챔피언십을 이끌었다. 하지만 장학금을 얻기 위해 아버지의 모교인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로 가고 싶었지만 작은 키가 문제였고 결국 존 우든 감독이 이끄는 UCLA로 가게 된다.당시 뛰어난 볼 핸들링 기술과 뛰어난 코트 비전을 살려 팀을 이끌었는데 2년 차 때는 팀 내 최고 기록인 평균 21.5득점으로 팀을 30경기 전승으로 모교의 첫 NCAA 우승을 이끌었다. 이듬해인 1964-65 시즌에는 평균 24.6득점을 올렸으며 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미시간 대학교를 상대로 커리어 하이 42점을 넣어 팀의 2연패를 달성했다. 여담이지만 이 기록은 1973년 NCAA 토너먼트에서 같은 대학 후배인 빌 월튼이 멤피스 대학교와의 NCAA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기록한 44득점이 깨질 때까지 유지되었다.
2.2.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기 시절
1965년 확장 드래프트에서 고향 팀인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 지명되었지만 작은 키가 문제였다. 루키 시즌 7.8득점으로 저조했다가 2년 차에 들어서 UCLA 시절 팀 동료였던 월트 해저드와 출전 시간 경쟁을 벌이며 12.4득점까지 올렸지만, 1967-68 시즌에는 아치 클라크에게 주전 가드 자리까지 빼앗겨 버렸고 시즌이 끝난 후 신생팀 피닉스 선즈로 이적한다.2.3. 피닉스 선즈 시절
이적 후 첫 해 때는 23.8득점, 5.4리바운드, 6.4어시스트로 예전과 달리 커리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기록을 세워 에이스급으로 성장해 이를 인정받아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2년차에 들어서 평균 7.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피닉스에서 2시즌을 마치고 멜 카운츠와의 트레이드로 3시즌 만에 레이커스로 복귀했다.[1]2.4.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기 시절
다시 돌아온 레이커스에서 제리 웨스트와 함께 백코트를 이끌며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시킨 굿리치는 이듬해 1971-72 시즌[2] 82경기를 모두 출전해 커리어 하이 25.9득점을 올렸으며 NBA 파이널에서 뉴욕 닉스를 꺾고 생애 처음으로 우승 반지를 얻게 된다.1973-74시즌에는 평균 25.3득점 5.2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올NBA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고, 1974-75시즌에도 스피드와 체력을 유지하면서 좋은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시즌이 끝나고 재계약 문제 때문에 법정 싸움으로 번지게 되자 자유계약 신분으로 뉴올리언스 재즈와 계약하면서 9시즌을 보낸 레이커스를 떠난다.
2.5. 뉴올리언스 재즈 시절
재즈에서는 포인트가드 피트 마라비치와 함께 백코트를 이끌었지만 아킬레스건을 다쳐 재활 치료와 연습에 매진했지만 팀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한 채 1978-79 시즌을 끝으로 선수를 은퇴했다.3. 은퇴 후
현역에서 물러난 이후 샌디에이고 클리퍼스에서 어시스턴트 코치를 맡았다. 이후 농구계를 떠나 코네티컷주에 정착해 골프장 투자회사의 간부를 맡았으며 NBA TV에서 해설자를 맡았다.이후 1996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레이커스에서 오랫동안 활약한 공로를 인정받아 11월 20일 등번호 25번을 영구결번시켰다.
4. 둘러보기
게일 굿리치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 | ||||
1972 |
베스트팀 | |||
| 1st : 1973-74 |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 |
게일 굿리치 | |
헌액 연도 | 1996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1006F>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ccac00> No. 8 & 24 | No. 13 | No. 16 | No. 21 | No. 22 |
<rowcolor=#31006F> 코비 브라이언트 (Kobe Bryant) | 윌트 체임벌린 (Wilt Chamberlin) | 파우 가솔 (Pau Gasol) | 마이클 쿠퍼 (Michael Cooper) | 엘진 베일러 (Elgin Baylor) | |
<rowcolor=#ccac00> No. 25 | No. 32 | No. 33 | No. 34 | No. 42 | |
<rowcolor=#31006F> 게일 굿리치 (Gale Goodrich) | 매직 존슨 (Magic Johnson) | 카림 압둘자바 (Kareem Abdul-Jabbar) | 샤킬 오닐 (Shaquille O'Neal) | 제임스 워디 (James Worthy) | |
<rowcolor=#ccac00> No. 44 | No. 52 | No. 99 | 🎙️ | ||
<rowcolor=#31006F> 제리 웨스트 (Jerry West) | 자말 윌키스 (Jamaal Wilkes) | 조지 마이칸 (George Mikan) | 칙 헌 (Chick Hearn)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1번 | ||||
프랭크 셀비 (1958, 1960~1964) | → | 게일 굿리치 (1965~1968) | → | 짐 클레몬스 (1971~1972) |
피닉스 선즈 등번호 25번 | ||||
팀 창단 | → | 게일 굿리치 (1968~1970) | → | 존 베첼 (1970~1972)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25번 | ||||
르로이 엘리스 (1962~1966) | → | 게일 굿리치 (1970~1976) | → | 올리버 맥 (1979~1980) |
뉴올리언스 재즈 등번호 25번 | ||||
버니 프라이어 (1975) | → | 게일 굿리치 (1976~1979) | → | 테리 펄로 (1979~1980)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25번 | ||||
에디 존스 (1994~1996) | → | 게일 굿리치 | → | 영구 결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