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7:24:38

고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질병에 대한 내용은 말라리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튀르크 제족)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1. 개요2. 상세3. 기타4. 연주 동영상

파일:고금 앞.jpg
파일:고금 뒤.jpg
출처: 영문위키페디아

1. 개요

금(, qín), 고금(, gǔqín), 칠현금(, qīxiánqín)이라고도 불리는 중국의 전통악기이며 한국에서도 문묘제례악에 편성된 국악기이다.

2. 상세

현재 중국에서는 고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아직도 연주되지만, 한국에서는 조선 말기에 이미 쇠퇴하기 시작했고, 윤용구(尹用求 1853-1939)가 지은 '휘금가곡보(徽琴歌曲譜)'를 끝으로 한국에서 금의 연주법은 끊겨 문묘제례악에도 연주되지 않았다. 이후 국립국악원에서 연주법을 복원하여 현재도 편성하여 연주한다.

중국 문명과 역사를 같이 할 정도로 오래되었고, 상류층과 지식인 계층에게 특히 사랑받은 악기이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중국 악기의 아버지, 성인(聖人)의 악기' 취급을 받는다.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앞뒤로 붙여 만든 울림통에 줄 7개를 걸어 연주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앞판은 오동나무, 뒷판은 밤나무로 만들고 검은 칠을 한다. 현은 7개가 있는데 현을 따로 기러기발로 받치지 않고 대신 복판 한켠에 흰 조개껍질로 만든 지판 13개를 표시하고 그 자리를 왼손으로 짚어 소리낸다.

길이는 3자 6치 6푼[1], 긴 너비 6치[2], 짧은 너비 4치[3]이며 머리부분은 천원지방을 반영하여 둥글고 아래쪽이 네모나서 모든 치수에 철학적인 의미가 있는 특이한 악기이다.

이나 가야금 등이 안족으로 현을 받친 1현 1음 추구형의 다현금인 반면, 거문고와 같이, 한 현에서도 어느 휘를 짚느냐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일현 다음 추구형인 것이 특징이다. 삼국사기의 '거문고중국의 금을 본떠 만들었다.'는 기록이 아주 신빙성 없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구조는 확실히 다를지라도 안현법과 연주법 등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조율이나 손 짚는 법이 괴랄한 것도 특징이다. 거문고도 조현법이나 안현법이 특이하긴 하지만, 이쪽은 좀 더 심하다. 기본적으로 현 조율은 낮은 줄부터 (낮은음자리표) C-D-E-G-A-C'-D'로 조율한다. 그리고 손 짚는 곳을 나타내는 '휘'를 박는 곳은 복판의 1/2, 1/3과 2/3, 1/4과 3/4, 1/5과 4/5, 1/6과 5/6, 1/8과 7/8로 음률 중심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수비학적이다. 따라서 1음(장2도)차이로 괘가 서 있는 거문고와 달리 c-d-e플랫-e-f-g-a-c'-e'-g'-c-g'-c''''라는 희한한 음계가 나온다.

연주할 때는 악기를 바닥이나 책상 등에 올려놓고 휘를 박은 곳을 손으로 짚으면서 뜯는다.[4] 거문고에서 왼손 명지로 4괘를 짚는 것이 기본 포지션인 것과 마찬가지로, 고금에서는 e음을 왼손 명지로 짚고 나머지 음은 엄지로 비껴 짚는다. 오른손으로 타는 법은 E음현은 무명지로 안쪽으로 퉁기고, G#~E♭까지는 오른손 식지로 바깥으로 퉁기며, 나머지는 모두 오른손 장지로 안쪽으로 퉁겨서 탄다.

또 줄 위에 가볍게 손가락을 대서 배음을 연주하기도 하고, 현 위에서 손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특유의 음색을 내기도 하는 등 주법도 다양하고, 음색도 다양한 것을 추구한다.

현대 중국에서는 과 함께 전통악기 인지도에서 투 탑을 달린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astern_Han_guqin_player%2C_pottery_from_Pengshan.jpg
후한 시기 묘에서 출토된 금 연주자의 토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69px-Bodhisattva_musicien_Mus%C3%A9e_Guimet_2418.jpg
금을 타는 모습을 형상화한 북위 시대의 불상
파일:구소환패.jpg
당(唐)대에 만들어진 명금이라고 하는 구소환패(九霄環佩)

한국어로 번역된 중국 문학에서 거문고라는 단어가 나오면 원문은 십중팔구 금이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금을 개량한 악기라고 전한다. 악기의 구조나 연주 방식 등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거문고와 금이 한국과 중국에서 차지하는 문화적인 위치가 동등하다. 그 이외에 일본의 이치겐킨(일현금)도 금에서 파생된 악기라고 한다.[5]

만주어로는 '키투한(kituhan)'이라고 불렀다.

3. 기타

한자 '즐거울 락(樂)'글자 모양의 기원이 된 악기이다. 양쪽 실 사변은 고금의 현을, 중간에 백 자는 몸통을, 아래 나무 목 자는 재료를 나타낸다.

4. 연주 동영상


[1] 1년 366일을 나타낸다. 옛 역법에서 1년을 366일로 친 것은 지구의 공전주기가 일수로 365.25일에서 1/4일을 하루로 처리했기 때문.[2] 동서남북과 상하를 나타낸다.[3] 춘하추동을 나타낸다.[4] 눕혀놓은 기타를 생각하면 된다.[5] 당초 금은 일현금, 삼현금, 오현금, 칠현금, 구현금, 중금(10현), 대금(20현)이 있었다. 이중 이치켄킨은 일현금이 일본으로 전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에도 역시 1, 3, 5, 7, 9현금이 12세기 초 고려 예종 때 전해졌다는 기록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