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05:14:30

공후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파일:공후.jpg
가수 이상은이 공후와 함께 재현한 고조선의 시 공무도하가
전주 MBC - 현의 실크로드/제1부 사라진 천년의 소리 공후
전주 MBC - 현의 실크로드/제2부 다시 찾은 천년의 소리
미국 ARIRANG CULTURE 방송국에서 소개한 한국 전통악기 공후
중국 공후연주

1. 설명2. 공무도하가3. 종류4. 개량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箜篌

1. 설명

한국중국의 전통 현악기.

서양 악기인 하프와 놀랄만큼 비슷하게 생겼다. 요즘 쓰이는 사람 키보다도 큰 오케스트라용 하프가 아닌 류트류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연주법이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가 2003년부터 연주자 조석연과 악기장인 고수환에 의해 복원이 시작되었다.참고

2. 공무도하가

일단 한국에서 사용되었다는 유명한 기록으로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기록으로, 공무도하가에서 나오는 공후다. 공무도하가를 공후로 연주하는 노래라 하여 공후인이라고도 부른다.
公無渡河(공무도하) 임아 물을 건너지 마오
公境渡河(공경도하) 임은 그예 물을 건너셨네
墮河而死(타하이사) 물에 빠져서 돌아가시니
當乃公何(당내공하) 가신 임을 어이하리요
고조선을 배경으로 한 공무도하가에는, 백수광부의 아내가, 남편이 술에 취해서 물을 건너다 빠져 죽었을 때의 슬픔을 이러한 가사의 노래로 불렀고, 이 사연 전해들은 어느 부인이 공후를 끌어당겨 이 노래를 뜯으며 불렀다고 한다.오르페우스의 동양여성버전 그 이후에는 쓰인 기록이 없기 때문에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3. 종류

종류에 대(大)공후관련 관련그림, 수공후, 와(臥)공후#, 소(小)공후#의 네 종류가 있다. 대공후는 23현으로 소공후와 같은 모양이지만 크기가 크다. 하주(下柱)를 허리에 꽂고 탈 수 있게 되어있다. 백제 때 일본에 전한 대공후가 쇼소인(正倉院, しょうそういん)에 보존되어 있다. 수공후는 21현으로 되어 있으므로 세로로 세워진 형태이고, 와공후는 13현짜리로 비스듬히 누워 있는 형태, 소공후는 13현으로 된 작은 공후이다. 국립국악원에 각 한 대씩 보존되어 있다.

4. 개량

1970~80년대에 북한에서는 악기 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전통 와공후에 양금, 하프, 쳄발로 등의 구조와 연주법을 응용해 개량시켜 옥류금이라는 악기를 만들기도 했다. 현의 개수는 최종 개량형 기준으로 33개이고 '도' 현은 빨간색, '파' 현은 파란색으로 물들여 구분한다.

양손으로 현을 뜯어 연주하며, 반음은 하프와 비슷하게 도~시까지 각 온음에 하나씩 배당된 일곱 개의 페달을 발로 밟아 조정한다. 참고로 이름이 옥류금인 이유는 악기를 개발하고 이름을 짓기 위해 김일성에게 갔더니 "소리가 금강산 옥류봉에서 흐르는 물소리같다"고 해서 옥류금이 되었다고 한다. 북한에서 개발한 악기지만 일본중국 등지를 통해 한국에도 유입되어 있고, 가야금 주자들 중에 이 악기를 부전공으로 익혀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일본의 게임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12편에서 소교가 연주하는 일러스트로 나온다. 같은 회사에서 만든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는 6편과 7편에서 채문희가 들고 나온다.

로스트아크의 스페셜리스트 직업군이 이 악기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