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7 23:47:38

고령대가야축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축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수도권 <colbgcolor=#fff,#1c1d1f>서울세계불꽃축제 · 롯데월드타워 불꽃축제 ·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 서울거리예술축제 · 이태원 지구촌 축제 · 서울 빛초롱 축제 · 안산국제거리극축제 · 가평 자라섬 국제 재즈 페스티벌 · 서리풀 페스티벌 · 강남 페스티벌 · 의정부 부대찌개 축제
강원권 춘천마임축제 · 강릉단오제 · 화천산천어축제 · 평창송어축제
충청권 대전빵축제 · 천안빵축제 · 대전국제와인EXPO · 대전0시축제 · 보령머드축제 · 지상군 페스티벌 · 천안흥타령춤축제
경상권 고령대가야축제 · 진해 군항제 · 부산불꽃축제 · 영덕 대게 축제 · 대구 치맥 페스티벌 · 청도 소싸움 축제 · 포항거리예술축제 · 포항국제불빛축제 · 진주남강유등축제 · 부산국제영화제 · 구미라면축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김천김밥축제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피란수도 부산야행
전라권 남원춘향제 · 전주국제영화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 추억의 충장축제 · 함평나비축제 · 무주산골영화제
제주권 제주들불축제 · 성산일출축제
문서가 개설되지 않은 전체 목록은 한국의 축제 목록 참조. }}}}}}}}}
<colcolor=#fff>
고령대가야축제
Goryeong Daegaya Festival
파일:고령대가야축제로고.png파일:고령대가야축제01.jpg
고령대가야축제의 모습.
<colbgcolor=#f37321,#f37321> 시작 연도 2003년
개최일 매년 3월 넷째 주 금요일
개최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317 대가야문화누리
주최 고령군
주관 고령군관광협의회
후원 경상북도 고령군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colbgcolor#f37321><colcolor=#FFF>
고령대가야축제 2023 가자, 고령으로!
<colbgcolor#f37321><colcolor=#FFF> 파일:대가야축제1.jpg <nopad> 파일:대가야축제4.jpg
<nopad> 파일:대가야축제5.jpg <nopad> 파일:대가야별빛쇼1.jpg
세계유산의 도시, 고령 지산동 고분군!

매년 3월 말에서 4월 사이에 열리는 고령군의 대표적인 지역축제 행사.
영문 명칭은 "Goryeong Daegaya Festival" 이다.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의 대가야문화누리 및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일대에서 열리고 있으며, 고령군이 주최한다.

고령군대가야의 도읍지로써, 대가야의 전통과 역사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03년 부터 행사를 주최하여 운영하고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행사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2023 • 2024 최우수 지역축제로 선정되었다.

2003년부터 처음 시작을 한 후로 지금까지 최다 관람객을 집객시키는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2023년 행사는 약 30만명이 운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가야문화누리 야외음악당에서는 전야제를 비롯한 각종 음악 행사가 개최되고, 걸어서 5분 걸이의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에서 체험 및 부스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2. 특징


고령대가야축제는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매년 봄 열리는 대규모 역사·문화 행사로, 대가야의 도읍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지산동 고분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악성 우륵과 가야금의 시초라는 음악 문화를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다. 축제는 대가야읍 중심부와 대가야 역사테마관광지, 대가야광장, 대가야문화누리, 지산동 고분군 일대에서 펼쳐지며, 경북·대구권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수십만 명이 찾는다.

대가야읍은 인근 대구광역시·성주군·합천군·칠곡군 등과 접근성이 좋아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를 이용해 고령군에
방문할 수 있다.

주 무대는 고령군의 문화센터인 대가야문화누리와 대가야 왕릉으로 추정되는 대형 봉토분과 수십 기의 고분이 모여 있는 지산동 고분군, 역사테마관광지에 설치되며,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인 100대 가야금 합주는 전국에서 모인 연주자들이 한 무대에 올라 25현 가야금 현대 편곡곡을 연주해 장엄한 울림을 선사한다.

대가야 종묘대재로 개막하여 3일간 진행되며. 관람객이 직접 갑옷을 입거나 활쏘기, 토기 빚기를 체험할 수 있는 부스 활동. 뮤지컬 도둑맞은 새, 지산동 고분군 야간 트래킹, 고령군민 가요제, 뮤직페스티벌 등이 열린다. 낮에는 각종 부스 활동과 지역 예술단체 공연이 열리고, 밤에는 초청 가수들의 무대가 이어진다., 2024년에는 힙합 그룹 다이나믹 듀오가 출연해 젊은 층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외에도 대가야 시기의 음식을 재현한 대가야 밥상, 한우·돼지 숯불구이, 대가야 딸기 막걸리 시음 등 전통 음식 체험과 농특산물 직거래 장터가 운영되고, 축제 기간 중 하루는 지산동 고분군을 야간 개방해 조명과 해설이 어우러진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2024년 고령대가야축제는 ‘세계유산, 고령지산동 고분군!’을 주제로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열렸으며, 100대 가야금 합주, 대가야의 길 퍼레이드, 전통무예 시연, 현대 음악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30만여 명이 방문했다. 고령대가야축제는 대가야의 찬란했던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공연·체험·관광이 어우러진 경북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 여담

매년 행사에 불꽃놀이를 시행한다.

고령대가야축제는 개최 기간과 운영 시간이 매해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오전 시간대부터 밤늦게까지 진행된다. 예를 들어 2024년 축제는 3월 29일~31일 3일간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일대에서 열렸으며, 공식적으로는 매일 오전 11시부터 밤 10시까지 운영되도록 안내되었다

다만 현장 상황에 따라 시작 시간은 일부 조정될 수 있으므로, 공식사이트나 고령군청 홈페이지에서 최신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축제 기간 중 자원봉사자를 위한 지원도 이뤄진다. 축제 운영보조나 안내 등의 활동을 위해 모집된 학생 봉사자에게는 활동 시간 인정과 함께 점심 식사(식권) 등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2016년 축제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에는 “자원봉사 활동 시간 제공 및 점심 제공”이 명시되어 있으며
최근에도 비슷한 형태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축제장에는 고령 지역의 청소년 예술단체도 매년 공연으로 참가한다. 대표적으로 대가야청소년오케스트라, 우륵청소년가야금연주단,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등 지역 음악·무용 단체들이 오프닝 공연이나 축하 공연에 참여하여 다채로운 무대를 꾸민다. 특히 축제 둘째 날에는 100대 가야금 연주가 하이라이트 공연으로 펼쳐진다. 예컨대 2025년 축제 둘째 날 오후 2시에는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내 우륵지에서 100명의 연주자가 대규모 합주를 선보였다


축제 개회식은 전통 의례인 대가야 종묘대제로 시작된다. 개막 첫날 오전에 대가야 왕실의 종묘(대가야종묘)에서‘춘계 대가야종묘대제’가 거행되며, 이를 통해 대가야 역대 왕과 지역 선조들에 대한 제사 의례를 재현하며 축제의 시작을 알린다
(이때 대가야 6대왕의 위패를 비롯한 왕실 유물에 참배하는 전통 의식이 진행된다.)

이 밖에도 행사장 인근 편의 시설로는 매점이 마련되어 있고, 경상북도 공공배달앱인 **‘먹깨비’**를 통해 음식 배달 주문도 가능하다. 관내 음식점에서 주문하여 축제장 지정 장소로 배달을 요청할 수 있어, 돗자리나 파라솔을 챙겨 편하게 식사를 즐길 수도 있다.

축제에 관한 자세한 정보나 최신 일정은 고령대가야축제 공식 홈페이지와 고령군청, 고령군관광협의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각 사이트에는 행사장 위치, 교통편, 주차장 및 셔틀버스 안내 등 방문객 편의 정보를 비롯하여, 축제 기간 중 진행되는 공연ㆍ체험ㆍ참가 프로그램 안내 등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