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기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원신동행정복지센터)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세원마을입구) | ||
종점행 | 첫차 | 07:30 | 기점행 | 첫차 | 07:55 |
막차 | 18:10 | 막차 | 18:40 | ||
평일배차 | 60분 | 주말배차 | 60분 | ||
운수사명 | 주원교통 | 인가대수 | 2대 | ||
노선 | 원신동행정복지센터 - 곡릉천농원 - 신원마을(4~10, 23단지) - 삼송마을(15~17단지) - 삼송역 - 신원마을(1~4단지) - 세원마을입구 |
2. 개요
주원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12-1번이 전신이다.
- 2012년까지는 삼송지구에는 들어오지 않았던 노선이었다. 당시 노선은 고양 오금동(삼하낚시터)[1]~삼송역간 노선이었다.
- 2013년 삼송지구의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이 노선은 삼송역에서 삼송지구 내에 있는 15, 17단지와 신원마을 5, 6, 9단지를 추가 경유함과 동시에 종점을 원신동주민센터까지 연장하였다.
- 2017년 5월 1일에 오금동 오지 구간을 단축하고, 093번 대신 세원마을 들어가는 것으로 노선을 변경하는 것과 곡릉천농원(호국로1283번길)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링크 단축된 오금동 구간은 094번이 대체한다.
- 2019년 5월 1일 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관련으로 주원교통 076번 노선의 막차가 1시간 단축되었다.
- 2022년 1월 16일에 삼송리슈빌센트럴파크 및 삼송 LH16단지 승차 정류장[2]이 바뀌었으며, 경로 또한 세솔로에서 삼송로 경로로 변경되었다. 전기버스 투입으로 인하여 세원마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세원마을입구로 단축되었다.
4. 특징
- 고양시 오금동으로 갈 손님은 이 노선 대신 삼송역에서 094번을 이용해야 한다.
- 이 노선은 삼송역 중간 대기 노선이며, 행선지별 안내는 하단 참고.
- 삼송역(4번출구): 신원마을 1~4단지, 세원마을입구
- 삼송역(5번출구): 삼송마을 15~17단지, 신원마을 4~10, 23단지, 원신동행정복지센터 - 이 노선의 삼송역 출발 시간은 4번 출구 매시 19, 49분에 출발한다.
- 삼송역에서 출발하는 040, 047번은 신원마을 4~10단지 운행 방면이 이 노선과는 반대로 운행된다.
- 048, 076, 093: 삼송역(5번출구) 승차.
- 040, 047: 삼송역(4번출구) 승차.
5. 연계 철도역
[1] 2016년 현재 이 구간은 오금동 도로 사정이 바뀌는 바람에 더 이상 가지 않는다.[2] 2021년 10월 1일 부 정류장명 개정에 따라 계룡리슈빌에서 삼송리슈빌센트럴파크, 삼송16단지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