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21:49:23

고중석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광주고등법원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오필선
제2대
김종규
제3대
방준경
제4대
김홍섭
제5대
민문기
제6대
기세훈
제7대
이재옥
제8대
한만수
제9대
김중서
제10대
장순룡
제11대
박정근
제12대
배석
제13대
김윤경
제14대
한재영
제15대
황도연
제16대
천경송
제17대
김영진
제18대
고중석
제19대
이영범
제20대
지홍원
제21대
이철환
제22대
이동락
제23대
조용완
제24대
강철구
제25대
김용담
제26대
김연태
제27대
박송하
제28대
이태운
제29대
김관재
제30대
정갑주
제31대
조용호
제32대
이진성
제33대
김용헌
제34대
방극성
제35대
유남석
제36대
최상열
제37대
황병하
제38대
윤준
제39대
배기열
}}}}}}}}}}}} ||

前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고중석
高重錫
파일:고중석.jpg
<colbgcolor=#911B2B><colcolor=#E6B366> 출생 1937년 9월 18일
전라남도 담양군
사망 2024년 6월 30일 (향년 86세)
재임 기간
헌법재판소 재판관
(윤관 대법원장 지명 / 김영삼 대통령 임명)
1994년 9월 15일 ~ 2000년 9월 14일
가족 배우자 문인자, 1남 2녀
학력 광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경력 제14회 고등고시 합격
헌법재판소 재판관

1. 개요2. 생애3. 주요 판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법조인. 前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했다.

고재호대법관의 조카이기도 하다.

2. 생애

1937년 9월 18일,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났고 광주고등학교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62년 제14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한 후 1966년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했다. 이후 서울민사지방법원·서울형사지방법원·서울고등법원 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가정법원·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전주지방법원·광주고등법원·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전주지방법원·대전지방법원·광주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했다.

광주고등법원장을 지내던 1994년 9월 윤관 대법원장 지명으로 헌법재판관에 임명되어 2000년 9월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2024년 6월 30일, 향년 86세로 사망했다.

3. 주요 판결

  • 1996년 사형제도를 규정한 형법 41조와 250조에 대해 합헌 취지의 다수의견을 내면서 “사형은 인간의 죽음에 대한 공포심과 범죄에 대한 응보 욕구가 맞물려 고안된 ‘필요악’으로서 불가피하게 선택된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 1997년 동성동본 혼인금지 제도에 위헌 취지의 다수의견을 냈다.
  • 1997년 교수협의회 활동 이력으로 교사 재임용이 거부된 사건에서 거부 사유 및 구제 절차가 규정되지 않은 당시 사립학교법에 대해 위헌 취지의 소수의견을 냈다.


[1] 위헌이 더 많았지만 위헌 결정에는 6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과되었다.[2] 5.18 특별법은 ‘1979년 12월 12일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하여 발생한 헌정질서 파괴행위에 대해서는 1993년 2월 24일까지 공소시효의 진행이 정지된다’고 규정했다. 1993년 2월 25일 문민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는 전두환, 노태우 정권이었으므로 수사와 기소가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