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20:47:14

골든 트라이앵글(마약)

파일:삼각지대.png

1. 동남아시아마약지대2. 서남아시아의 마약지대

1. 동남아시아마약지대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금지 지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국가
이 국가들은 영주(永住), 취재ㆍ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 받아야 예외적 여권사용 허가를 받고 방문ㆍ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1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1
2004.4.9 ~
2025.2.28
2006.12.29 ~
2025.2.28
2007.7.21 ~
2025.2.28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2011.6.28 ~
2025.2.28
2011.8.20 ~
2025.2.28
2014.8.4 ~
2025.2.2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2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3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2022.2.13 ~
2025.2.28
2023.4.29 ~
2025.2.28
2024.5.1 ~
2025.2.28
}}}}}}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일부 지역이 여행금지로 지정된 국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6
2015.12.1 ~
2025.2.28
2022.3.8 ~
2025.2.28
2022.3.8 ~
2025.2.28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7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9
2023.4.15 ~
2025.2.28
2023.4.15 ~
2025.2.28
2023.8.1 ~
2025.2.28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10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11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2
2023.11.25 ~
2025.2.28
2024.2.1 ~
2025.2.28
2024.8.6 ~
2025.2.28
}}}
{{{#!wiki style="margin-bottom: -20px"
여권법 이외의 법률로 여행이 금지된 지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
《국가보안법》·《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참고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 참고 }}}
{{{#!wiki style="margin-bottom: -0px"
윗첨자1: 2007. 8. 7 부터 입국시 처벌 도입.
여행금지국가 · 출국권고국가 · 여행자제국가 · 여행유의국가 }}}}}}}}}}}}

태국미얀마, 라오스접경지역으로, 과거에는 아편 재배로 악명이 높았으나 라오스 보케오주 정부가 중국자본을 투입해서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金三角经济特区)를 2007년부터 조성하면서 일대가 카지노와 관광 리조트 단지로 변모한 곳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메스암페타민을 생산하는 요충지로 다시 부활하고 있다.

이 삼각지대는 아편 생산에 최적의 기후와 자연 조건을 갖춘 천혜의 요지로 알려진 곳으로, 과거에 마약왕이자 샨족 독립운동을 지휘했던 쿤사의 지도하에 막강한 사병(私兵)을 조직, 특히 미얀마 동부 살윈강 동안(東岸)의 산주 일대에서 연간 약 100만 톤의 생 아편이 채취되고 있었다. 이 채취된 아편에서 생산된 헤로인이 한때 미국에 유통되는 헤로인의 60%에 달했다고 한다.

1995년 쿤사가 미얀마 정부와 협상하여 샨족 독립운동을 멈추고 해산한 뒤 관광 단지로 개발되어 쿤사 박물관, 아편 박물관도 있다.

현재는 아편의 원료인 양귀비꽃의 대체 작물로 녹차커피를 재배하고 있는데 워낙에 땅이 좋은지라 매우 성공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카지노를 비롯한 관광 사업과 함께 골든 트라이앵글에 사는 지역민들에게 또 다른 수익원이 되고 있다.

인근의 태국은 카지노가 불법이기 때문에 이곳에 태국인 관광객들과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온다고 한다. 접경지대인 덕분에 중국을 빠져나와 태국을 통해 탈북하려는 탈북민들의 탈북 경로로도 종종 이용되었다.

2013년에는 쿤사의 후계자인 나오칸 일당을 중국이 소탕한 뒤 잡아다 4명을 처형한 적도 있었다. 네이버 기사

2018년경 삼골이라는 삼합회와 연관된 마약 조직이 부활해 광범위한 메스암페타민 생산 기지를 만들었다고 한다. 아시아 지역의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생산의 40%를 유통하고 있다고 한다. 메스암페타민 계열의 야바MDMA 같은 합성마약도 생산하고 있다. 2021년 1월 이 삼골의 두목 체치롭네덜란드에서 체포되었다. 기사

쿤사와 한때 대립하던 와족의 와방연합군은 이 지역의 와족 자치주에서 아직도 세력을 잡고 있는데, 이들도 마약 재배와 밀매를 여전히 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도 사실상 손 대기 어려운 곳이다.

2023년 11월 24일에 미얀마쪽 골든 트라이앵글이 한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취업사기 및 마약 관련 범죄가 증가하여 여행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24년 2월 1일에는 라오스쪽 골든 트라이앵글도 추가로 여행금지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2. 서남아시아의 마약지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의 3국의 접경지대, 특히 아프간 헬만드 주 일대 제2의 헤로인 주산지를 말한다. 여기는 특히 황금의 초승달 지대(Golden Crescent)라고도 한다(전부 이슬람 지역이라서). 미군이 아프간에서 어떻게 해서든 소탕하려 막대한 돈을 들였으나 번번히 실패했다. 이는 아프가니스탄양귀비꽃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현지인들에게 양귀비는 그저 중독성 마약이 아닌 생필품이기 때문에 필요하다.[1]거기에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비리 및 부정부패, 탈레반이 군자금으로 쓰면서 수요가 더 커졌다.

아프간에서 주로 생산된 헤로인은 이란을 통과하는 루트, 우즈베키스탄 마피아, 타지키스탄 마피아, 키르기스스탄 마피아 같은 조직이 마약을 받아 중앙아시아를 거쳐 러시아로 가는 루트가 있다. 또한 남쪽의 파키스탄 마피아들이 마약을 받아 카라치의 항구를 이용하여 유럽이나 호주, 미국으로 밀수하는 루트가 있다.


[1]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이후 사실상 외부와의 접촉이 없는 상황인 가운데,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에게 양귀비는 비상약처럼 쓰이곤 한다. 한국도 새마을운동 이전까지만 해도 시골에선 양귀비를 진통제 대용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