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23:32:14

구려후 추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비정통 군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be673> 부흥운동 추존 불명 불명
안승 대양왕 구려후 추 고여율
<rowcolor=#fbe673> 불명 소고구려 소고구려 기타
대흥왕 고보원 덕무왕 보륜왕
<rowcolor=#fbe673> 기타
신찬성씨록에 등장하는 군주들
국왕 · 고구려 태자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백제 · 가야 · 신라 · 탐라 · 발해 · 태봉 · 후백제
후삼국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
}}}}}}}}}
<colbgcolor=black><colcolor=gold> 작위 후(侯)
성씨 고(高)?
이름 추(騶) / 도(騊)
생몰년 ? ~ 12년
1. 개요2. 문헌에서의 등장3. 누구인가?4. 결론5. 참고 문서

1. 개요

삼국사기한서 왕망전과 후한서 고구려전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 정체에 대해서는 후술되어있듯 여러 의견이 있다.

2. 문헌에서의 등장

三十一年漢, 王莽發我兵伐胡. 吾人不欲行, 強迫遣之, 皆亡出塞, 因犯法爲冦. 遼西大尹田譚追擊之, 爲所殺, 州郡歸咎於我. 嚴尤奏言, “貊人犯法, 冝令州郡, 且慰安之. 今猥被以大罪, 恐其遂叛. 扶餘之屬, 必有和者, 匈奴未克, 扶餘·獩貊復起, 此大憂也.” 王莽不聽, 詔尤擊之. 尤誘我將延丕靳校勘.

31년(12) 한의 왕망(王莽) 이 우리의 병력을 징발하여 오랑캐(胡)를 정벌하려고 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려고 하지 않자 강제로 보내니 모두 도망하여 새외(塞外)로 나갔고, 이 때문에 법을 어겨 도적이 되었다. 요서(遼西) 대윤(大尹)[1] 전담(田譚)이 이를 추격하다가 죽임을 당하니 주군(州郡)이 허물을 우리에게 돌렸다. 엄우(嚴尤)가 황제에게 아뢰어 말하기를 “맥인(貊人)이 법을 어겼으나 마땅히 주군으로 하여금 저들을 위로하여 안심하게 하여야 합니다. 지금 큰 죄를 그들에게 씌우면, 마침내 반란을 일으킬까 걱정됩니다. [반란을 일으키면] 부여의 족속 중에 따르는 자가 반드시 있을 것이니, 흉노를 아직 이기지 못하였는데, 부여와 예맥(獩貊)이 다시 일어나면 이는 큰 근심거리입니다.” 하였다. 왕망이 듣지 않고 엄우에게 명하여 이를 공격하였다. 엄우가 우리 장수 연비(延丕)를 유인하여 목을 베어 머리를 수도로 보냈다. 양한서(兩漢書)와 남북사(南北史)는 모두 “구려후(句麗侯) 추(騶)를 유인하여 목을 베었다.”고 하였다. 왕망이 이를 기뻐하고 우리 왕 이름을 고쳐 하구려후(下句麗侯)라 하고 천하에 포고하여 모두 알게 하였다. 이에 한(漢)의 변방 지역을 침범함이 더욱 심하여졌다.
《삼국사기》권제13 고구려본기 제1, 유리왕 31년
왕망(王莽)의 초(初)에 고구려의 군사를 징발하여 호(胡: 흉노,匈奴)를 정벌하게 하였으나, [고구려가 호(胡)를 정벌하러] 가지 않으려 하여 강압적으로 보냈더니, 모두 도망하여 국경을 넘은 뒤 [중국의 군현을] 노략질하였다.
요서(遼西)[군(郡)]의 대윤(大伊) 전담(田譚)이 그들을 추격하다가 살해되었다. [이에 중국의] 주(州)·군(郡)·현(縣)이 그 책임을 구려후 도(句麗侯 騊)[2]에게 전가시키었다.
엄우(嚴尤)는“...맥인(貊人)이 법(法)을 어긴 것은 그 죄가 도(騊)에게서 비롯된 것이 아니므로, 그를 안심시키고 위로해야 함이 마땅합니다. 지금 잘못하여 큰 죄(罪)를 씌우게 되면 그들이 마침내 반란을 일으킬까 걱정됩니다.”라고 아뢰었다.
그러나 왕망(王莽)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우(尤)에게 [고구려를] 치도록 명하였다.
우(尤)는 구려후 도(句麗侯 騊)를 만나자고 유인하여 그가 도착하자 목을 베어 그 머리를 장안(長安)에 보내었다.
왕망(王莽)은 크게 기뻐하면서 천하(天下)에 포고하여
고구려(高句麗)란 국호(國號)를 바꾸어 하구려(下句麗)라 부르게 하였다.
한서 왕망전

3. 누구인가?

일단 중원에서는 추에 대해 구려후(句麗侯), 즉 고구려의 지도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후(侯)는 작위제후를 뜻하는 말로써, 인물을 후로 바꾼 신나라에서 상대국에 대한 하대적인 정책을 의미한다.

3.1. 장수 연비

삼국사기에는 목이 잘린 주체가 추가 아닌 연비라는 장수로 나오며 주석으로 한서에는 구려후 추로 되어있다고 나와있다. 그래서 이 부분은 김부식이 삼국사기의 역사서를 만들 때 중국계 역사서의 기사와 국내 역사서를 조합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한서 왕망전을, 인물 이름은 현대에는 전해지지 않는 국내 역사서를 참고한 듯 보인다. 연비라는 이름은 중국계 역사서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설은 아래의 고구려 왕 설들에서 발생하는 여러 연대적 모순에 저촉되지 않고, 내적 명분이 필요했던 왕망과 엄우 입장에서의 전과 과장 욕구와 합치한다는 점에서 개연성을 얻는다.

한편, 반대로 이런 기록의 차이가 흑역사를 숨기고 싶었던 고구려인들의 조작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왜냐면 삼국사기의 서술이 목이 잘린 주체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한서의 서술이랑 동일하다는 것은 김부식이 참고한 고구려 자체 기록이 빈약하거나 한서에서 카피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달리 보면 고구려인들이 자신들의 시조를 바꾸고 역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구려후 추를 연비라는 장수로 바꿨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3.2. 유리명왕

구려후 추가 목이 잘린 시기가 서기 12년인데, 삼국사기에서 서기 12년에 재위중이었던 왕은 유리왕이었다. 다만 이럴 경우 삼국사기에 나온 유리왕의 사망연도인 18년은 어떻게 되는 거냐? 할 수 있지만 중국 측 사서에만 나오고 삼국사기에는 누락된 유리의 막내 여진으로 비정되는 고여율의 존재를 삽입하면 모순되는 것이 없다. 즉, 유리가 서기 12년에 사망 -> 유리의 막내 여진, 즉 여율이 즉위 -> 서기 18년에 사망 식으로 된다. 마침 삼국사기 유리왕 본기의 기록이 무슨 이중인격을 보는 것마냥 서로 다른 두 사람의 재위처럼 기록되어있기에, 이대로 해석한다면 실제로는 위에 서술된 것처럼 일이 일어났지만, 후일 고구려인들이 전대미문의 치욕을 숨기려 목이 잘린 주체를 연비라는 인물로 바꾼 뒤 여율을 삭제하고 서기 18년까지 유리의 생년을 늘렸다고 추정할 여지도 있다.

3.3. 동명성왕

유리왕설의 논거는 상당히 그럴 듯하지만 큰 허점이 하나 있다. 그건 바로 서기 12년에 재위한 고구려 왕을 유리왕이라 확신할 수 있냐는 것이다. 사실 위의 유리왕설에서 구려후 추를 유리왕이라 비정한 근거는 단순히 당시 재위중이었던 왕이 유리왕이라 삼국사기에 나와있다 하나뿐인데, 알고 있듯이 삼국사기는 중국 기록보다 거의 모든 경우에서 고구려 자체 기록을 신뢰한데다가 술이부작의 방법을 취해 이것들을 수정없이 기록하다 보니 고구려 왕조가 왜곡한 역사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위에서 언급한 고여율의 존재도 이를 간접적으로 입증한다. 그렇다면 구려후 추는 누구냐? 추모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추'가 동명왕의 본명인 '추모'의 앞글자이며[3], 고구려 당시에는 동명왕보단 추모왕이 더 많이 쓰였다는 점을 들어 동명왕이라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주장한다. 다만 이렇게 되면 추모가 서기 12년까지 재위했다는게 되는데, 삼국사기에 나온 추모의 사망 연도와는 서기 0년을 제외하여서 무려 30년 차이가 난다.

그런데, 대무신왕 어머니와 관련한 삼국사기의 오류로 삼국사기가 20년 정도 기년 오류가 있다는것이 확실한데다가 삼국사기에 따른 동명성왕의 사망 시점이 유리가 추모를 찾아온 그 해라는 점에서 고구려인들이 후일 국가의 시조가(정확히는 계루부의 시조지만) 이런 치욕을 당한 것을 숨기고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 일부러 유리가 찾아온 그 해에 사망한 것처럼 만들고 유리의 재위 기간을 앞당겼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저 논리대로라면 추모가 71세까지 살았다는 얘기가 되는데 그것도 좀 사실이라고 믿기는 어렵다. 실제로 고구려사 권위자인 노태돈 교수는 추를 추모로 보았지만 진짜로 추모와 동일 인물로 보고 있진 않고 당시 일반적인 고구려 지배자의 호칭으로 쓰였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병도 교수도 기사 내용 자체를 그대로 믿기는 미심쩍은 부분이 많은 과장된 사건으로 보았다. 그리고 노태돈 교수는 정사 삼국지, 후한서의 고구려 왕력보다 자체 전승된 고구려 왕가의 전승이 실린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왕력이 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고구려가 기원전 30~40년대에 건국된 것은 위서 고구려전, 일본서기, 당나라 고자묘지명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서나 고구려 관련 금석문에서도 교차검증되기 때문에 추모왕의 사망연대가 30년 이상 뒤로 미뤄졌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4] 고구려 멸망 20여년 후에 제작된 고구려 고자묘지명에선 고구려가 기원전 40년에 건국되었다고 나온다. 일본서기에선 고구려가 건국된지 이미 700년이 지났으니 망할 때가 되었다고 나온다. 위서 고구려전의 고구려 건국년도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와 동일하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건국년도는 해동고기 등 자체적인 기록 외에 고구려 양원왕 시기에 제작된 위서 고구려전 등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4. 결론

모두 그럴듯하게 서술해놓기는 했지만 사실 현재 학계에서 확정적인 정설은 없는 상태이다. 게다가 구려후 추의 존재를 삼국사기를 신뢰하여 연비라 보는 견해도 국내에 소수 존재[5]하며, 이 경우 연비(延丕)는 연타발(延陀勃)과 성씨가 같아 소서노 측 부족장으로 보는 추측이 있다. 만약 주몽설을 따를 경우 고구려 초기사를 아예 처음부터 다시 써야 하기에 구려후 추의 존재만 놓고 함부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이다.

물론 구려후 추가 추모를 호칭하는 기록이라는 학설이 일단 현재로서 주류설이기는 하나, 저 기록 자체가 프로파간다라고 보는 견해가 다수라 저 기사 자체를 그대로 신뢰하고 있지는 않다. 본문에서 삼국사기가 고구려인들이 자신들의 치욕을 감추기 위해 어느정도 조정해 기록한 기록을 따랐기에 오류일 수 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반대로 중국 사서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위 시점보다 더 뒤인 정사 삼국지도 기리영 전투 같이 중국측 전공이 과장되어 서술된 기록이 많기 때문에, 고구려와 신의 전투에서 붙잡힌 것이 실제로는 고구려의 지도자가 아닐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특히 단명왕조인 왕망이 다스리던 신나라의 당시 여론과 분위기 등을 고려하면 내부를 통제하기 위해 대외적 성과를 내세우는 프로파간다가 분명히 필요하긴 했다.

또한 여기서 언급되는 '추=추모'라고 하더라도 그게 정말 인물로서 동명성왕 추모를 뜻하는지, 고구려군의 지휘관을 일컫는지, 혹은 고구려의 당시 지배자를 뜻하는지도 불분명하다.

때문에 고구려와 신의 전쟁 중에 고구려의 군을 이끄는 누군가가 잡혀 죽임을 당하고, 고구려가 사실상 신에 의해 격하되었다는 것 자체는 사실로 보이나, 그 대상이 고구려의 지도자였는지 장군 중 한 명이었는지, 지도자였다면 주몽인지 유리왕인지 등은 모두 현재 추가 사료 없이는 명확한 정답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이다.

5. 참고 문서



[1] 태수의 신나라 이름.[2] 추(騶)라는 이름은 한서 왕망전에 의거한 것인데, 다른 중국 사서 삼국지 고구려전에선 '도(騊)'라고 나와있다. 騶, 騊, 鄒 다양한 글자가 보인다.[3] 물론 상기했듯 사서마다 추(騶) 외 도(騊), 騶, 騊, 鄒 다양한 글자가 보인다.[4] 이게 사실이라면 추모성왕의 재위 기간은 무려 50년에 달하는 장기 재위기간이 되는 것이다. 한국사에서 검증이 되는 인물들 중에 50년 이상 재위한 왕은 고구려 장수왕, 신라 진평왕, 발해 문왕, 조선 영조밖에 없다.[5] 과거만 해도 오히려 이쪽이 다수설이었는데, 대표적으로 이병도가 자신이 번역한 역주 삼국사기에서 주장했다. 시간이 지나며 이에 대한 의견이 역전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