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마모토 전기철도 소속의 전동차 | ||||
| {{{#!wiki style="color: #6c092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현재 운행 중 | |||
| 6000형 | 01형 | 03형 | 1000형 | |
| 퇴역 | ||||
| 모하 1형 | 모하 11형 (키쿠치 전궤 시절 도입) | 모하 11형 (구마모토 전철 시절 도입) | 모하 13형 | |
| 모하 15형 | 모하 41형 | 모하 71형 | 모하 121형 | |
| 200형(2대) | 200형(3대) | 모하 301형 | 500형 (600형) | |
| 5000형 |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구마모토 전기철도 01형 전동차 Kumamoto Electric Railway 01 Series (EMU) 熊本電気鉄道 01形 電車 | }}} | |||
| | |||||
| ▲ 외부 | |||||
| | |||||
| ▲ 내부 | |||||
| 차량 정보 | |||||
| 열차 형식 |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 편성대수 | 2량 1편성 | ||||
| 운행노선 | 키쿠치선, 후지사키선 | ||||
| 도입연도 | 2015년 ~ 2016년 | ||||
| 제작회사 | 일본차량제조 | ||||
| 소유기관 | 구마모토 전기철도 | ||||
| 운영기관 | |||||
| 운행시기 | 2015년 ~ 현재 | ||||
| 차량 제원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16,000㎜ | |||
| 전폭 | 2,998㎜ | ||||
| 전고 | 3,538㎜ | ||||
| 집전장치 탑재 | 4,007㎜ | ||||
| 궤간 | 1,067㎜[1] | ||||
| 정원[2] | 203명(72명) | ||||
| 대차 | efWING[3] KW206형 | ||||
| 차중 | 편성 | 58.8t | |||
| 신호장비 | ATS | ||||
| 급전방식 | 직류 600V 가공전차선 방식 | ||||
| 제어방식 | VVVF-IGBT | ||||
| 제동방식 | ATC연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 동력장치 (주전동기)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 동력전달장치 | WN 드라이브 | ||||
| 기어비 | 6.19 | ||||
| 주전동기 출력 | 160kW | ||||
| 최고속도 | 영업 | 50㎞/h | |||
| 설계 | 80㎞/h | ||||
| 가속도 | 3.0㎞/h/s | ||||
| 감속도 | 상용 | 4.0㎞/h/s | |||
| 비상 | 4.5㎞/h/s | ||||
| MT 비 | 1M 1T | }}}}}}}}} | |||
1. 개요
2. 개조 내역
- 개조는 관례대로 서일본 철도의 자회사인 니시테츠 테크노서비스[4]에서 담당하였다. 본래의 01계는 제3궤조 집전식에다가 1,435mm 표준궤를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차를 1,067mm로 개궤하고, 차체의 위에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2개 설치하였다. 이 때 대차는 가와사키 중공업의 신형 대차인 efWING을 탑재하였다. 또한 이 차량이 기존의 차량들에 비해 폭이 살짝 좁은 관계로, 출입문에 도어스텝을 설치하여 이를 극복하였다.
3. 운용
- 2015년 2월에 01계 36편성이 키타쿠마모토 차고에 반입되었으며, 1달 뒤인 3월에 첫 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다음 해 3월에는 35편성도 운용에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