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8:53:59

귀신고래

귀신고래(쇠고래, 회색고래)
Gray whale
파일:쇠고래 최근.jpg
학명 Eschrichtius robustus
Lilljeborg, 186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우제목 Artiodactyla
귀신고래과 Eschrichtiidae
귀신고래속 Eschrichtius
귀신고래 E. robustus
파일:귀신고래 가족.jpg

1. 개요2. 특징3. 사육 사례

[clearfix]

1. 개요

우제목 귀신고래과에 속하는 유일한 고래. 다른 말로 쇠고래, 회색고래도 있다. 영어로는 Gray Back 또는 Devil Fish로도 불린다. 이름의 원인은 후술.

2. 특징

다른 대형 고래종과 같이 몸길이 11~15m, 몸무게 41t까지 자라며, 평균수명은 50~60년이다. 몸은 얼룩진 회색빛을 띠며 등에는 등지느러미 대신 작은 혹이 여러개 나 있다. 현재는 약 3만 마리가 남아있으며 북동태평양군과 북서태평양군에서 무리지어 살고 있다.[1] 흑고래와 함께 가장 긴 회유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무려 2만 km에 달하지만 북반구에서만 뺑뺑이를 돈다. 네비게이션 성능이 좋기 때문에 북동과 북서태평양군은 절대 만나지 않는다고 한다.

역시 다른 고래와 같이 멸종위기종이었으며, 대서양에서 살던 무리들은 남획으로 인해 이미 17~18세기에 말 그대로 귀신이 되었다.[2] 현재의 두 무리도 북동태평양군만 20세기부터 보호하기 시작해 현재는 2만 마리에 달하는 개체가 살고 있지만 일본과 맞닿아 있는 북서태평양군은 찾아보기 힘들다. 북서태평양군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쯤에 사멸하였고, 대한민국에선 1962년에 울산 앞바다에서 출현한 귀신고래를 천연기념물 126호로 지정하였으나 1977년 1월 3일 울산 방어진 앞바다에서 두 마리가 목격된 후 발견된 적이 없다. 다만 소련 붕괴 후, 그동안 접근하지 못했던 사할린 근처에 130마리 정도의 귀신고래가 발견되었다. 다른 개체들은 오호츠크해동해를 오가며, 한국계 귀신고래라고도 부르지만 유전적으로는 북동태평양군과 동일하다. 북동태평양군은 알래스카~미국 서해안~멕시코 라인에서만 머문다. 북동태평양군도 한때 2000 마리까지 급감하였으나 1937년부터 미정부에서 보호하기 시작한 결과 지금은 3만 마리 가까이로 회복했고 1994년에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되었다. 이 후 지구온난화로 북극해의 얼음이 제대로 얼지 않게 되자 북동태평양군 귀신고래가 대서양으로 진출하면서 대서양에서도 다시 귀신고래를 볼 수 있게 됐다.

성질이 포악하여 공격성이 강한 고래로도 유명해서 과거 귀신고래 포경이 성행하던 시절에는 포경업을 하던 선원들을 공격하는 사례 등이 많았다. 그래서 일명 Devil Fish라고도 불렸다는 점에서 그 악명을 짐작할만하다. 하지만 사실, 귀신고래는 새끼를 양육하는 상태에서만 포악할 뿐 실제로는 호기심이 많고 온순한 고래이다.

알래스카~미국 서해안~멕시코 라인의 귀신고래 개체군은 호기심이 많은 데다가 배를 발견하면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가까이 다가가 배 위에 탄 사람들을 구경(?)하기 때문에 해당 개체군이 서식하는 근해는 고래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고 한다.

귀신고래의 주식은 해저면의 무척추동물로, 침전물에 붙어있는 바다벼룩이나 새우 등을 걸러 먹는다. 이는 다른 수염고래들에게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식습관이며, 이 때문에 머리에 상처가 많다. 이 때 해저면을 훓어내면서 발생하는 유기물과 영양분이 해수와 뒤섞이면서 플랑크톤의 주요 먹이 공급원이 되게 해 주고,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 순환에 공헌하기 때문에 해양학자들 사이에서 '바다의 농부'라 불리고 있다.

천적은 범고래이다. 다만 성체가 아닌 새끼가 자주 먹이로 노려진다. 성체의 경우 크기가 크고 공격성이 강한 만큼 범고래 서너마리 정도는 거뜬히 상대할 수 있어 사냥감으로 삼지는 않는다. 그러나 새끼는 범고래가 사냥하기 딱 적당한 크기인 만큼 상당히 많이 사냥당한다.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와서 어미와 떨어트리고, 수면 위로 올라가지 못하게 막아 익사시키는 방법으로 사냥한다. 그외 백상아리도 새끼 귀신고래를 사냥했다는 기록이 있다.

3. 사육 사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raywhale_MMC.jpg

한때 사육을 목적으로 새끼를 기르는 시도를 해봤었지만, 아무래도 본질은 고래라는 거대한 생물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키우다가 크기가 감당할 수 없게 커지거나 세균감염 문제 탓에 폐사하거나 방류했다고 한다. 일단 위키피디아에 기록된 사례는 총 3번.
  • Gigi: 1965년 Scammon's Lagoon에서 포획되었다가 생포 2개월 뒤 감염으로 사망했다.
  • Gigi II: 1972년 Gigi와 같은 장소에서 포획했다가 사육 1년 뒤에 덩치가 너무 커지자 방류했다.
  • JJ: 1997년 1월 10일 캘리포니아 해변에서 부모를 잃은 채로 발견된 어린 암컷. 몸길이 4m에 체중이 680kg에 불과한 상태였고, 영양실조와 저혈당증으로 인해 완전히 탈진해서 죽어가고 있었다. 발견 직후 샌디에이고의 시월드로 옮겨졌고, 전문가들이 24시간 정성껏 돌봐 주자 금세 건강을 회복했고, 자연으로 돌아갈 때까지 샌디에이고 시월드에서 돌봤다. JJ가 시월드에서 지내는 동안 관람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고, 고래학자들의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야생적응을 위해 야생의 귀신고래들이 내는 주파수의 소리를 들려 주는 훈련 또한 꾸준히 행했다. 구조되고 약 15개월 뒤에 몸무게 약 7t에 몸길이 약 9.5m로 성장한 JJ는 극지방 바다에 방류되었다. 이 JJ는 인간이 사육한 가장 거대한 해양 포유류라는 기록을 남겼다. 발견 당시 새끼였고, 귀신고래의 수명이 50~60년이니 이변이 없다면 현재까지도 잘 살아있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 추적장치를 부착했지만 며칠 뒤에 스스로 떼어 버려서 추적이 불가능했다. 관련 내용은 시월드가 올린 영상을 참고할 것.
    참고로 이 문단의 귀신고래 사진이 바로 JJ를 찍은 사진이다. 고래 뒤의 배경이 이질적인 이유도 어릴 때 수족관에서 보호받을 당시 찍은 사진이라서 그렇다.

[1] 과거 20세기 초반에는 수천 마리로 줄어들었다가 1946년 이후로 다시 늘었다.[2] 인간이 멸종시킨 고래의 첫 사례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