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6:09:00

그림 명작동화


그림 명작동화 (1987~1989)
グリム名作劇場
<nopad> 파일:그림 명작동화 애니 포스터.jpg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동화
원작 그림 형제
제작 모토하시 코이치(本橋浩一)
기획 사토 쇼지(佐藤昭司)
캐릭터 디자인 세키 슈이치(関 修一)
모리 야스지(森 やすじ)
타카노 노보루(高野 登)
이시노 히로카즈(石之博和)
이시 슈이치(石井秀一)
시라우메 스스무(白梅 進)
타케마츠 카즈오(竹松一生)
이시카와 테츠야(石川哲也)
미술 감독 아베 타이사부로(阿部泰三郎)
사토 마코토(佐藤 信)
마츠미야 마사즈미(松宮正純)
치바 미도리(千葉みどり)
아카시 테이치(明石貞一)
색 지정 우노 카오루(宇野 薫)
카라사와 노부히코(唐沢伸彦)
콘노 미치요(河野美智代)
카리야 히로미(仮屋弘美)
촬영 감독 모리타 토시아키(森田俊昭)
편집 카사하라 요시히로(笠原義宏)
나토리 신이치(名取信一)
나카무라 시게토(中村誠人)
카도노 히데토시(上遠野英俊)
녹음 감독 후지노 사다요시(藤野貞義)
음악 시마즈 히데오(島津秀雄)
프로듀서 나베시마 신지(鍋島進二)
마츠도 타카지(松土隆二)
애니메이션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
제작사 아사히 방송
닛폰 애니메이션
방영 기간 1987. 10. 21. ~ 1988. 03. 30.
1988. 10. 02. ~ 1989. 03. 26.신편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히 방송
파일:투명.png (화) 18:50
파일:투명.png (일) 10:00신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파일:투명.png KBS 2TV[1]
한국 정식발매 대영팬더 (VHS, 1989년)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47화[2]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연소자 관람가 (VHS)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신 그림 명작동화)
}}}}}}}}}}}} ||
1. 개요2. 특징3. 주제가
3.1. 일본
3.1.1. OP3.1.2. ED
3.2. 한국
3.2.1. 대영팬더3.2.2. MBC
4. 에피소드 가이드
4.1. 수록 동화
5. 해외 공개
5.1. 대한민국

1. 개요

그림 형제의 작품 그림 동화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1기 24화, '신 그림 명작동화'란 명칭으로 방영된 2기 23화 모두 47편으로 제작되었다.

2. 특징

일어 제목은 그림 명작극장인데 그림 동화만 나오는 것은 아니고 세계 각지의 동화들도 같이 나왔다. 작품은 지금 봐도 괜찮을 정도의 수작이며 세계 각지에서 더빙판을 방영했을 만큼 인기도 많았지만 푸른 수염같은 잔혹동화의 잔인한 내용까지 여과없이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만약 어린이에게 보여줄 생각이라면 이 점을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우습게도 1990~1992년 국내 방영당시 이런 건 하나도 안 자르고 더빙하여 잘만 방영했다. 푸른 수염 에피소드에선 성주에게 죽은 아내들 시체가 썩은 채로 매달려 있고 오빠들이 도끼로 그 성주를 죽이는 것도 그대로 나왔다.

3. 주제가

3.1. 일본

3.1.1. OP

OP
虹の橋
무지개 다리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하시모토 우시오(橋本 潮)
작사 야마구치 미치오(山上路夫)
작곡 모리타 코이치(森田公一)
편곡 아오키 노조미(青木 望)


3.1.2. ED

ED
私の町はメリー・ゴーランド
우리 동네는 회전목마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하시모토 우시오(橋本 潮)
숲의 나무 어린이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작사 야마구치 미치오(山上路夫)
작곡 모리타 코이치(森田公一)
편곡 아오키 노조미(青木 望)


3.2. 한국

3.2.1. 대영팬더

주제가
그림 명작동화
VHS ver.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꿈속을 나는 날으며
아름다운 나라로 나는 가요 날개를 달고
창공을 훨훨 날아요 날아요

우리 모두 다 공상의 나라 가봐
환상의 나라 어딜까 우리 모두 가봐요
동물이야기 새들이야기 아름다운 백설공주도 있고
그림형제의 꿈의 궁전에 우리를 모두 불러요

지금도 부르고 있어요 우리 모두 가봐요
그림형제의 동화 속으로 가봐요
}}}}}}}}} ||

비디오판은 일본판 오프닝 곡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 1989년 VHS로 발매되었으며, 영상과 노래 가사는 사실상 로스트 미디어 였었으나, 2025년 3월 한 유저에 의해 발굴되었다.

3.2.2. MBC

주제가
그림 명작동화
TV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신해욱
작곡 이승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꿈길에 들었던, 꿈길에 놀았던
아름다운 얘기들이 여기있어요
엄마의 얘긴지, 햇님의 얘긴지
하늘높이 우리들을 데리고 가요
무지개 다리위를 미끄럼타고
전설의 성을 찾아 다함께 놀자
우우우~ 아름다운 꿈의 나라
우우우~ 하늘같은 동화의 나라
그림명작동화~ ♬
}}}}}}}}} ||

한국어 더빙 오프닝 55초에 잠깐 마녀가 나오는 그 에피소드인 <森の中のばあさん(Die Alte im Wald) 숲의 늙은 마녀> 에피소드에선 성주를 보호하던 병사들을 마녀가 불러온 고블린 부하들이 칼과 낫으로 학살[3]하는 장면도 그대로 나왔었다. 우습게도 이 장면은 유튜브로 올라왔다가 삭제된 영어더빙에선 통째로 잘렸다. 영어더빙에선 마녀가 마법으로 사람들을 나무로 만들고 고블린들이 창을 동강내는 것만 나온 바 있다.

4. 에피소드 가이드

4.1. 수록 동화

- 이하는 2기 격인 신 그림 명작 동화 수록작 -

5. 해외 공개

5.1. 대한민국

한국에선 1989년에 대영팬더에서 더빙하여 비디오로 먼저 나오고 나중에 MBC에서 1990년 4월에 7편만 방영하고 2년 뒤에 1,2기 합쳐 새롭게 방영했다. 다만, 2부작이 잘려서 45부만 방영했다. 한국 방영 제목은 그림 명작동화.

더빙판 성우진은 꽤 화려하여 손원일, 성유진, 김관철, 김기현, 권혁수, 박영희, 이미자, 김강산, 이종오, 이종혁, 이승환, 이도련, 이영달, 탁재인, 이인성, 송도영, 최성우 등 성우들이 참여했다. 다만 극중 일인 다역이 다음 에피소드에서 그대로 나왔는데 일어 더빙판도 다를 게 없다. 일어 더빙도 후루야 토오루 라든지 시오자와 가네토 등 유명 성우들이 여러 에피소드에서 1인 다역을 맡았다.

KBS 열려라 꿈동산에서도 방영했다.


[1] 열려라 꿈동산 내에서 방영[2] 24화 + 신편 23화[3] 그렇다고 노골적으로 죽이는 장면은 아니지만 병사들이 창칼들고 돌격하자 고블린들이 맞대응하면서 칼과 낫을 휘두르며 피가 화면을 붉게 물드는 장면.[4] 원전은 열두 공주의 비밀이지만 그만큼을 다 그려내긴 힘들었는지 세명으로 줄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