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물 金汝岉 | |
<colbgcolor=#94153e'><colcolor=#ffc224,#db9e00> 출생 | 1548년(명종 3) |
황해도 평산도호부 (現 황해북도 평산군) | |
사망 | 1592년(선조 25년)(향년 45세) |
충청도 충주목 탄금대 (現 충청북도 충주시 탄금대 일원) | |
자 | 사수(士秀) |
호 | 피구자(披裘子), 외암(畏菴) |
시호 | 장의(壯毅) |
본관 | 순천 김씨 |
부모 | 부친 - 김훈(金壎) 모친 - 신천 강씨 강의(康顗)의 딸 |
형제 | 형 - 김여흘(金汝屹) 동생 - 김여율(金汝㟳) |
자녀 | 아들 - 김류 손자 - 김경징 |
참전 | 임진왜란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인조반정 공신인 김류의 아버지 및 김경징의 할아버지. 시호는 장의(壯毅).<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지략과 식견을 가진 인물이었던 듯하며 류성룡과 신립 역시 재주를 인정하였다고 한다.
2. 생애
1548년 황해도 평산도호부에서 찰방(察訪:종6품)을 지낸 아버지 김훈(金壎)과 어머니 신천 강씨(信川 康氏) 강의(康顗)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형 김여흘(金汝屹)과 아래로 동생 김여율(金汝㟳)이 있었다.1567년(선조 즉위년) 식년시 생원시에 3등 3위로 입격하였고 1577년(선조 10) 알성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급제하였다.# 이후 병조낭관(兵曹郞官), 충주도사(忠州都事)를 지내다가 의주 목사(義州牧使:정3품)로 있던 1591년 정철의 부하로 몰려 파직되어 투옥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의 명을 받고 신립 밑의 종사관으로 충주 방어에 나섰다. 조령의 문경새재를 이용하여 방어하자는 김여물의 건의를 신립이 묵살하는 대신 어리석은 계책을 세우자 필패할 것을 예견하고 아들에게 나라를 위해 죽을 것이라는 유서를 쓰는 한편 가족들을 피난시켰다고 한다.[1] 그의 예상대로 신립군은 탄금대 전투에서 대패하였고 김여물 역시 남한강에 투신 자결하였다.[2] 사후 아들인 김류가 인조대의 권신이 된 덕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